제6회 KAPAL(한미생명과학인협회) 온에어 웨비나(Webinar)가 오는 30일 오전 10시(한국시간) 개최된다. 이번 웨비나는 '글로벌 의약품 개발의 가속화: 아시아를 대상으로 실행된 임상실험을, 미국/유럽 등에 글로벌 신약개발 승인을 신속히 받기 위한 임상 전략(Accelerating Global Drug Development: Ethnobridging Strategies for Asia)'을 주제로 진행된다. 파렉셀(PAREXEL international)의 부회장 스탠포드 지(Stanford Jhee)박사가 발표할 예정이다.
온에어 웨비나는 한국에서 미국으로 진출하려는 국내 회사들과 양국의 제약바이오에 관련된 사람들이 참여하여 토론과 정보들을 나눌 수 있는 웨비나 시리즈다. 기존 대면으로 진행했던 바이오 포럼을,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인해 2020년 초부터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함께 KAPAL 온에어 웨비나 시리즈로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번 발표를 맡게될 스탠포드 지(Stanford Jhee)박사는 임상생리학을 전공했다. 제약 개발의 초기단계인 First-in-Human 임상실험부터 Proof-of-Concept 실험을 포함, 다양한 단계 뿐 아니라 많은 질병연구에 참여했다. 뿐만 아니라 다수의 제약회사들과 전략적인 설립을 통한 프로토콜 개발, 임상실험, 데이터 분석 및 리포트 전문가로 협력하고 있다.
최근 지 박사는 'Ethnic Sensitivity Studies (Ethnobridging)'의 전문가로서 아시아 인구에 대한 임상데이터를 기반으로 미국과 유럽을 통해 제약 개발을 돕고 있다.
KAPAL은 Korean-American Professional Association in Life Sciences로 2,000여명의 회원들로 구성된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의 미국진출을 돕는 비영리 전문가 단체이다.
4월 30일 오전 10시(한국시간)에 개최될 '제6회 카팔 온에어 웨비나'는
https://bit.ly3sP6sLF 를 통해 등록하고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www.kapal.org 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바뀌는 소비 트렌드, 올해 ‘맞춤형 건기식 시장’ 주목 |
2 | [DI+의약정보] 파미셀 '줄기세포 신약 개발·바이오케미컬 원료 생산' 등 사업 탄탄대로 |
3 | 10개 이상 약 먹는 노인, 사망확률↑...인식 개선·제도인프라 확충해야 |
4 | [바이오이코노미가 온다] "바이오와 디지털 융합 가속화" |
5 | 식약처, '자가 치료용 대마 성분 의약품 구매 절차' 안내 |
6 | 복사 붙여넣기 '오가노이드'…①내 조직으로 미리 임상시험을? |
7 | 한계 분명한 한국식 본인부담 상한제, 독일 제도가 대안될까? |
8 | [인터뷰] "실명질환, '안저검사'·생활습관 개선이 최선의 치료" |
9 | 한국비엔씨 "덱시부프로펜 주사제형 개량신약 개발 나선다" |
10 | [2023 국제의료 키워드 ① 엔데믹] 新감염병 출현 가능성에도 ‘팬데믹’ 막 내리나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제6회 KAPAL(한미생명과학인협회) 온에어 웨비나(Webinar)가 오는 30일 오전 10시(한국시간) 개최된다. 이번 웨비나는 '글로벌 의약품 개발의 가속화: 아시아를 대상으로 실행된 임상실험을, 미국/유럽 등에 글로벌 신약개발 승인을 신속히 받기 위한 임상 전략(Accelerating Global Drug Development: Ethnobridging Strategies for Asia)'을 주제로 진행된다. 파렉셀(PAREXEL international)의 부회장 스탠포드 지(Stanford Jhee)박사가 발표할 예정이다.
온에어 웨비나는 한국에서 미국으로 진출하려는 국내 회사들과 양국의 제약바이오에 관련된 사람들이 참여하여 토론과 정보들을 나눌 수 있는 웨비나 시리즈다. 기존 대면으로 진행했던 바이오 포럼을,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인해 2020년 초부터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함께 KAPAL 온에어 웨비나 시리즈로 온라인으로 진행하고 있다.
이번 발표를 맡게될 스탠포드 지(Stanford Jhee)박사는 임상생리학을 전공했다. 제약 개발의 초기단계인 First-in-Human 임상실험부터 Proof-of-Concept 실험을 포함, 다양한 단계 뿐 아니라 많은 질병연구에 참여했다. 뿐만 아니라 다수의 제약회사들과 전략적인 설립을 통한 프로토콜 개발, 임상실험, 데이터 분석 및 리포트 전문가로 협력하고 있다.
최근 지 박사는 'Ethnic Sensitivity Studies (Ethnobridging)'의 전문가로서 아시아 인구에 대한 임상데이터를 기반으로 미국과 유럽을 통해 제약 개발을 돕고 있다.
KAPAL은 Korean-American Professional Association in Life Sciences로 2,000여명의 회원들로 구성된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의 미국진출을 돕는 비영리 전문가 단체이다.
4월 30일 오전 10시(한국시간)에 개최될 '제6회 카팔 온에어 웨비나'는
https://bit.ly3sP6sLF 를 통해 등록하고 누구나 참여 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www.kapal.org 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