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 2價 코로나 백신 뇌졸중 연관성 주시”
CDCㆍFDA, 고령자 2價 백신 접종 상관성 배제 못해
미국 질병관리센터(CDC)와 FDA는 화이자社 및 독일 생명공학기업 바이오엔테크社의 ‘코로나19’ 개량 2價 백신을 접종받은 65세 이상의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허혈성 뇌졸중 위험 안전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13일 공표했다.
CDC의 근실시간 감시 시스템인 백신 안전성 데이터링크(VSD)에서 허혈성 뇌졸중 안전성 우려에 대한 즉각적인 추가조사가 필요함을 뒷받침하는 통계가 집계되었다는 것.
이처럼 백신 안전성 데이터링크에서 나타난 징후에 대해 신속한 조사를 진행한 결과 화이자 및 바이오엔테크의 ‘코로나19’ 개량 2價 백신을 접종받았던 65세 이상의 고령자들에게서 접종 후 21일 이내에 허혈성 뇌졸중이 발생할 위험성이 접종 후 22~42일 기간에 비해 높게 나타날 수 있다는 의문을 제기케 했다고 CDC와 FDA는 설명했다.
CDC와 FDA는 이 같은 예비적 징후가 모더나 테라퓨틱스社의 ‘코로나19’ 2價 백신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또한 백신 안전성 데이터링크에서 확인된 징후에 다른 요인들이 원인으로 관여했을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추가조사가 필요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다만 현재까지는 다른 안전성 시스템에서 유사한 징후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점을 환기하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연방의료보장‧의료보호서비스센터(CMS)와 미국 보훈처(VA)의 데이터베이스, CDC와 FDA의 백신 부작용 보고 시스템(VAERS), 화이자 및 바이오엔테크의 글로벌 안전성 데이터베이스 및 기타 세계 각국에서 도출된 대규모 자료 등을 보면 화이자 및 바이오엔테크의 또는 모더나 테라퓨틱스의 ‘코로나19’ 개량 2價 백신 접종과 허혈성 뇌졸중 증가 위험성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CDC와 FDA는 이처럼 현재까지 확보된 전체 자료를 보면 CDC의 백신 안전성 데이터링크에서 시사된 임상적 위험성이 확인될 가능성은 대단히 낮은 것으로 보임에도 불구, 이 같은 정보를 일반대중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믿음에 따라 공개하는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