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이자 2價 코로나 백신 뇌졸중 연관성 주시”
CDCㆍFDA, 고령자 2價 백신 접종 상관성 배제 못해
입력 2023.01.17 10:33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미국 질병관리센터(CDC)와 FDA는 화이자社 및 독일 생명공학기업 바이오엔테크社의 ‘코로나19’ 개량 2價 백신을 접종받은 65세 이상의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허혈성 뇌졸중 위험 안전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13일 공표했다.

CDC의 근실시간 감시 시스템인 백신 안전성 데이터링크(VSD)에서 허혈성 뇌졸중 안전성 우려에 대한 즉각적인 추가조사가 필요함을 뒷받침하는 통계가 집계되었다는 것.

이처럼 백신 안전성 데이터링크에서 나타난 징후에 대해 신속한 조사를 진행한 결과 화이자 및 바이오엔테크의 ‘코로나19’ 개량 2價 백신을 접종받았던 65세 이상의 고령자들에게서 접종 후 21일 이내에 허혈성 뇌졸중이 발생할 위험성이 접종 후 22~42일 기간에 비해 높게 나타날 수 있다는 의문을 제기케 했다고 CDC와 FDA는 설명했다.

CDC와 FDA는 이 같은 예비적 징후가 모더나 테라퓨틱스社의 ‘코로나19’ 2價 백신에서는 확인되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또한 백신 안전성 데이터링크에서 확인된 징후에 다른 요인들이 원인으로 관여했을 개연성을 배제할 수 없으므로 추가조사가 필요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다만 현재까지는 다른 안전성 시스템에서 유사한 징후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점을 환기하는 것이 중요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연방의료보장‧의료보호서비스센터(CMS)와 미국 보훈처(VA)의 데이터베이스, CDC와 FDA의 백신 부작용 보고 시스템(VAERS), 화이자 및 바이오엔테크의 글로벌 안전성 데이터베이스 및 기타 세계 각국에서 도출된 대규모 자료 등을 보면 화이자 및 바이오엔테크의 또는 모더나 테라퓨틱스의 ‘코로나19’ 개량 2價 백신 접종과 허혈성 뇌졸중 증가 위험성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CDC와 FDA는 이처럼 현재까지 확보된 전체 자료를 보면 CDC의 백신 안전성 데이터링크에서 시사된 임상적 위험성이 확인될 가능성은 대단히 낮은 것으로 보임에도 불구, 이 같은 정보를 일반대중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믿음에 따라 공개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전체댓글 1
  • ssam 2023.01.18 00:31 신고하기
    고령자,노약자들만이 아니다. 너무도 건강하던 40대도 30대도 화이자 2차 접종 후 갑작스런 뇌출혈 뇌졸증으로 떠나갔다. 백신..안전치도 않은걸 대통령까지 나서서 그 많은 국민들 맞게하고... 하루에도 대여섯번씩 보는 119응급구조차가 왜.. 백신과 무과하지 않다는 생각만들까... 이미 맞은거 어쩔 수없고, 사람 잘못된 것도 어쩔 수 없지만, 사과는 해라. 사과는 해야된다.
인기기사 더보기 +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글로벌]“화이자 2價 코로나 백신 뇌졸중 연관성 주시”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글로벌]“화이자 2價 코로나 백신 뇌졸중 연관성 주시”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