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DA, 항염증제 ‘키너렛’ 코로나 치료제 ‘EUA’
산소공급 필요 호흡부전 위험 폐렴 동반 ‘코로나19’
입력 2022.11.11 06:00
수정 2022.11.11 06:01
스웨덴 제약기업 오르판 비오비트룸AB社(Orphan Biovitrum, 또는 소비社)는 자사의 류머티스 관절염 치료제 ‘키너렛’(Kineret: 아나킨라)이 FDA로부터 ‘코로나19’ 치료제로 ‘긴급사용 승인’(EUA)을 취득했다고 10일 공표했다.
이에 따라 ‘키너렛’은 보충적 산소공급(저유량 또는 고유량 산소공급)을 필요로 하고, 중증 호흡부전으로 진행될 위험성이 있는 성인 폐렴 동반 ‘코로나19’ 환자들을 위한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게 됐다.
‘코로나19’는 과도한 염증반응으로 인해 중증 호흡부전으로 진행되거나 사망에 이를 위험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키너렛’은 사이토킨 인터루킨-1α 및 β의 생물학적 활성을 중화시키는 항염증제의 일종이다.
인터루킨-1α 및 β는 ‘코로나19’에 의해 과(過)염증이 유도되는 과정에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과염증이 나타나는 과정에서 조기에 이들 두 사이토킨들을 차단하면 ‘코로나19’의 진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고 있다.
‘키너렛’은 보충적 산소공급을 필요로 하는 폐렴 동반 ‘코로나19’ 입원환자들에게서 중증 호흡부전 및 사망 위험성을 낮춰 치료효과를 개선하고, 그 같은 유익성이 장기간 동안 유지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으로 입증됐다.
소비社(Sobi)의 안데르스 울만 연구‧개발 담당대표 겸 최고 의학책임자는 “오늘 ‘긴급사용 승인’을 취득한 것이 소비가 다시 한번 중요한 성과에 도달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면서 “이에 따라 미국에서 환자 및 의사들은 폐렴 동반 ‘코로나19’에 대응할 치료대안을 추가할 수 있게 됐다”는 말로 의의를 강조했다.
FDA는 임상 3상 ‘SAVE-MORE 시험’에서 도출된 자료를 근거로 ‘긴급사용 승인’을 결정한 것이다.
‘SAVE-MORE 시험’의 결과는 지난 9월 3일 의학 학술지 ‘네이처 메디슨’誌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