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나코리아가 2022년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이 가장 높은 기업으로 확인됐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최근 발간한 ‘2023 보건산업 통계집’을 통해 2022년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 상위 10개 업체를 공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진흥원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생산실적 상위 10개 업체는 △모더나코리아 1조2756억원 △셀트리온 1조2226억원 △한미약품 1조2018억원 △종근당 1조594억원 △녹십자 8147억원 △대웅제약 7787억원 △HK이노엔 7727억원 △LG화학 7518억원 △유한양행 6026억원 △대웅바이오 5519억원 순이다.
전년대비 실적 증감률 또한 모더나코리아의 성장률이 179.7%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반면 생산실적 2위를 차지한 셀트리온은 –3.6%를 기록했고, 한미약품 6.4%, 종근당 6.9%, 녹십자 –3.4%, 대웅제약 22.9%, HK이노엔 15.9%, LG화학 27.8%, 유한양행 4.5%, 대웅바이오 16.6%로 전반적으로 전년대비 실적이 상승했다.
해당 년도의 국내 매출액 1위 제약기업은 삼성바이오로직스로 나타났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2년 매출액 2조4373억원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CAGR)은 46%를 기록했다. 뒤를 이은 2위 기업은 셀트리온으로 매출액 1조9375억원, CAGR은 22.4%다.
이어 △유한양행 1조7264억원(3.5%) △종근당 1조4723억원(11.4%) △녹십자 1조2,449억원(2.2%) △대응제약 1조1613억원(5.3%) △한미약품 9820억원(5.4%) △광동제약 8505억원(5.1%) △HK이노엔 8465억원(859.2%) △제일약품 7252억원(3.7%) 순으로 나타났다.
2022년 국내 제약산업 시장규모 역시 전년대비 상승했다. 생산액 28조9503억원, 수출액 10조4428억원, 수입액 11조3632억원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각각 8.2%, 19.4%, 12.3%로 나타났다.
진흥원은 최근 2년간 주춤했던 국내 제약산업 시장규모가 올해부터 다시 성장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측했다. 코로나19가 기승이던 2021년 국내 제약산업 시장규모는 240억 달러로 국내 증가율 20.7%를 기록했지만, 이듬해인 2022년 220억 달러로 시장 증가율은 –7%로 내려앉은 바 있다. 지난해에는 210억 달러를 기록해 시장규모가 더 감소했으나 시장 증가율은 –3%로 마이너스를 이어갔다.
하지만 올해는 230억 달러의 시장규모와 함께 국내 증가율은 8.3%로 예상되고 있다. 내년에는 250억 달러의 시장규모와 12.8%의 국내 증가율이 예상되면서 제약시장이 보다 활기를 띨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2022년 국내 보건산업 수출 상위 10개 품목은 △기초화장용 제품류(60억8000만 달러) △바이오의약품(36억2600만 달러) △체외 진단기기(33억5300만 달러) △백신류(9억4100만 달러) △색조화장용 제품류(8억9900만 달러) △초음파 영상진단기(7억6900만 달러) △임플란트(7억700만 달러) △기타 조제용약(7억600만 달러) △방사선 촬영기기(7억500만 달러) △원료 기타(6억3300만 달러) 순이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중국 제약사 비인두 암 치료제 FDA 허가관문 통과 |
2 | 박셀바이오, NK, CAR, 자가골수유래 세포처리시설 식약처 인허가 |
3 | 지난해 12월 상장 제약바이오 유보율 코스피 1898.07%-코스닥 2586.69% |
4 | 바이오스타 정상목 박사 "FDA를 임상개발 전략으로 설득하라” 성공 노하우 제시 |
5 | [기업분석] 상장 화장품기업 2024년 부채비율 59.53% …전년比 3.62%p↓ |
6 | AWS가 제시한 '병원·헬스케어 디지털 혁신' 4대 키워드 |
7 | 고려대 류혜진 교수 연구팀, 현대약품 '당뇨 신약' 근감소 억제 가능성 규명 |
8 | "신뢰받는 전문가로" 대한약사회, 4대 TF로 직능 미래 설계 |
9 | 신라젠 'BAL0891', 면역관문억제제 병용 효과 가능성 미국암연구학회 발표 |
10 | 한독, 5월 회사 분할...건기식사업 법인 신설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모더나코리아가 2022년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이 가장 높은 기업으로 확인됐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최근 발간한 ‘2023 보건산업 통계집’을 통해 2022년 국내 의약품 생산실적 상위 10개 업체를 공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진흥원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생산실적 상위 10개 업체는 △모더나코리아 1조2756억원 △셀트리온 1조2226억원 △한미약품 1조2018억원 △종근당 1조594억원 △녹십자 8147억원 △대웅제약 7787억원 △HK이노엔 7727억원 △LG화학 7518억원 △유한양행 6026억원 △대웅바이오 5519억원 순이다.
전년대비 실적 증감률 또한 모더나코리아의 성장률이 179.7%로 압도적으로 높았다. 반면 생산실적 2위를 차지한 셀트리온은 –3.6%를 기록했고, 한미약품 6.4%, 종근당 6.9%, 녹십자 –3.4%, 대웅제약 22.9%, HK이노엔 15.9%, LG화학 27.8%, 유한양행 4.5%, 대웅바이오 16.6%로 전반적으로 전년대비 실적이 상승했다.
해당 년도의 국내 매출액 1위 제약기업은 삼성바이오로직스로 나타났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22년 매출액 2조4373억원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CAGR)은 46%를 기록했다. 뒤를 이은 2위 기업은 셀트리온으로 매출액 1조9375억원, CAGR은 22.4%다.
이어 △유한양행 1조7264억원(3.5%) △종근당 1조4723억원(11.4%) △녹십자 1조2,449억원(2.2%) △대응제약 1조1613억원(5.3%) △한미약품 9820억원(5.4%) △광동제약 8505억원(5.1%) △HK이노엔 8465억원(859.2%) △제일약품 7252억원(3.7%) 순으로 나타났다.
2022년 국내 제약산업 시장규모 역시 전년대비 상승했다. 생산액 28조9503억원, 수출액 10조4428억원, 수입액 11조3632억원으로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각각 8.2%, 19.4%, 12.3%로 나타났다.
진흥원은 최근 2년간 주춤했던 국내 제약산업 시장규모가 올해부터 다시 성장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측했다. 코로나19가 기승이던 2021년 국내 제약산업 시장규모는 240억 달러로 국내 증가율 20.7%를 기록했지만, 이듬해인 2022년 220억 달러로 시장 증가율은 –7%로 내려앉은 바 있다. 지난해에는 210억 달러를 기록해 시장규모가 더 감소했으나 시장 증가율은 –3%로 마이너스를 이어갔다.
하지만 올해는 230억 달러의 시장규모와 함께 국내 증가율은 8.3%로 예상되고 있다. 내년에는 250억 달러의 시장규모와 12.8%의 국내 증가율이 예상되면서 제약시장이 보다 활기를 띨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2022년 국내 보건산업 수출 상위 10개 품목은 △기초화장용 제품류(60억8000만 달러) △바이오의약품(36억2600만 달러) △체외 진단기기(33억5300만 달러) △백신류(9억4100만 달러) △색조화장용 제품류(8억9900만 달러) △초음파 영상진단기(7억6900만 달러) △임플란트(7억700만 달러) △기타 조제용약(7억600만 달러) △방사선 촬영기기(7억500만 달러) △원료 기타(6억3300만 달러) 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