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로노이(대표 김대권 김현태)는 다음 달 9-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세계폐암학회(WCLC 2023)에서 비소세포폐암치료제 VRN11 파이프라인을 처음 공개한다고 30일 밝혔다.
보로노이는 기존 폐암치료제 타그리소 내성 돌연변이 EGFR C797S 치료제 독자 임상과는 별개로, C-MET 치료제 병용 임상을 위한 글로벌 빅파마와의 협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비소세포폐암(NSCLC)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EGFR(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 변이를 치료하는 3세대 치료제(타그리소, 렉라자)의 경우, 치료제를 복용한 환자의 상당수가 내성 기전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다. 대표적인 내성 기전인 EGFR C797S 돌연변이는 타그리소 복용환자의 10~25%에서, C-MET 과발현은 15~50%의 환자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로노이는 앞서 EGFR C797S 독자 임상을 위해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임상 승인신청서를 제출했으며, 삼성서울병원을 비롯해 국내 주요 병원에서 임상 개시를 준비하고 있다. 세계폐암학회에서는 C797S를 포함한 Del19 등의 원발암을 포함한 다양한 EGFR 변이와 관련한 VRN11의 월등한 효능과, 100% 수준에 이르는 뇌투과도 등을 담은 전임상 데이터가 공개될 예정이다.
보로노이는 EGFR 내성 기전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C-MET 과발현 관련 표적치료제를 보유한 복수의 글로벌 제약사들과 병용 임상을 위한 파트너링 논의를 진행한다.
보로노이 관계자는 “VRN11은 타그리소, 렉라자 내성 치료제 시장의 절반 이상에 진출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면서 “블록버스터 치료제 타그리소는 지난해 7조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2025년 12조원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말했다.
보로노이 연구부문 김대권 대표는 “VRN11의 임상개발에 최선을 다해, 하루빨리 더 많은 비소세포폐암환우와 가족들이 고통과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2023년 상반기 순이익 톱5 삼바∙셀트리온∙종근당∙한미약품∙대웅제약 |
2 | 의약품 성공 징검다리 '대행기관' 성장 '쑥'…사업 영역도 확장 |
3 | [인터뷰] "mRNA, 다양한 질환을 하나의 백신으로 예방할 계획" |
4 | 상반기 화장품 기업 평균 순이익 115억, 전년비 23%↑ |
5 | 복지위 국감, 11일 복지부‧질병청 시작…25일 종합감사 |
6 | 獨 머크, 인공지능(AI) 기반 신약발굴 전략제휴 |
7 | 릴리, ‘마운자로’ 위조품 공급업체들에 소송제기 |
8 | 11월 건보료 소득 정산제도 도입 첫 적용 "편법 회피 막는다" |
9 |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 마약 예방·근절 캠페인 ‘NO EXIT’ 참여 |
10 | 큐로셀, 우리금융지주 임종룡 회장 본사 방문…기업 금융 혁신 논의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보로노이(대표 김대권 김현태)는 다음 달 9-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리는 세계폐암학회(WCLC 2023)에서 비소세포폐암치료제 VRN11 파이프라인을 처음 공개한다고 30일 밝혔다.
보로노이는 기존 폐암치료제 타그리소 내성 돌연변이 EGFR C797S 치료제 독자 임상과는 별개로, C-MET 치료제 병용 임상을 위한 글로벌 빅파마와의 협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비소세포폐암(NSCLC)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EGFR(상피세포성장인자수용체) 변이를 치료하는 3세대 치료제(타그리소, 렉라자)의 경우, 치료제를 복용한 환자의 상당수가 내성 기전으로 인해 고통받고 있다. 대표적인 내성 기전인 EGFR C797S 돌연변이는 타그리소 복용환자의 10~25%에서, C-MET 과발현은 15~50%의 환자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로노이는 앞서 EGFR C797S 독자 임상을 위해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임상 승인신청서를 제출했으며, 삼성서울병원을 비롯해 국내 주요 병원에서 임상 개시를 준비하고 있다. 세계폐암학회에서는 C797S를 포함한 Del19 등의 원발암을 포함한 다양한 EGFR 변이와 관련한 VRN11의 월등한 효능과, 100% 수준에 이르는 뇌투과도 등을 담은 전임상 데이터가 공개될 예정이다.
보로노이는 EGFR 내성 기전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C-MET 과발현 관련 표적치료제를 보유한 복수의 글로벌 제약사들과 병용 임상을 위한 파트너링 논의를 진행한다.
보로노이 관계자는 “VRN11은 타그리소, 렉라자 내성 치료제 시장의 절반 이상에 진출할 가능성이 높아졌다”면서 “블록버스터 치료제 타그리소는 지난해 7조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2025년 12조원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고 말했다.
보로노이 연구부문 김대권 대표는 “VRN11의 임상개발에 최선을 다해, 하루빨리 더 많은 비소세포폐암환우와 가족들이 고통과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