큐라클(대표 유재현)은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와 면역항암제 병용용법 치료제 후보물질의 임상 용량 선택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고용량 임상1b상 IND(임상시험계획)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했다고 29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큐라클은 고용량 임상1b상을 통해 CU104(궤양성 대장염)의 임상2b상과 CU106(면역항암제 병용요법)의 임상2a상 등 후속 임상에서 투여 용량을 탄력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미리 안전성 범위를 최대화하겠다는 전략이다.
큐라클은 CU104 글로벌 임상2a상을 위해 지난 7월 미국 FDA의 IND 승인 후 유럽 3개국에 IND를 제출했다. 추후 한국 IND 승인을 거쳐 임상시험에 돌입할 예정이다.
큐라클 관계자는 “개념증명(Proof-of-Concept, PoC)을 위한 임상2a상에서 효과가 입증되면 최적의 용법·용량을 찾기 위해 임상2b상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번 임상1b상이 후속 임상에서 용량 선택의 유연성을 증가시켜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큐라클은 CU106의 공동개발을 위해 여러 파트너사와 다양한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을 검토하고 있으며, 용량 선택성의 증가로 인해 향후 진행할 임상2a상에서 면역항암제 중 최적의 조합을 찾는데 더욱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큐라클 관계자는 “CU104, CU106 등 임상시험 단계에 있는 후보 물질의 최대 안전역을 넓혀 보다 안전한 약물로 포지셔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돼 선제로 고용량 임상1b상을 준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 임상2a상을 진행 중인 CU06(당뇨병성 황반부종)도 CU104, CU106과 동일한 물질이어서 이번 임상1b상을 통해 안전 용량 범위를 넓게 확보하게 되면, 고령환자가 많은 망막질환 시장에서 의료진과 환자에게 더욱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메가트렌드 '비만치료제' 역사상 최단 1000억 달러 시장 전망" |
2 | 올해 바이오헬스 코스닥 상장 13건…지난해 간신히 넘을 듯 |
3 | 세계 최다 ADC 파이프라인 확보 '레고켐바이오' 글로벌 왕좌 노린다 |
4 | 지아이이노베이션 “기술수출보단 상업화 중요…바이오텍 성과 15~20년 걸리기도” |
5 | 전 세계 당뇨 환자 8억 예상…치료제 개발 위한 임상만 72개 |
6 | 바로팜, 피코몰, 블루엠텍..신흥 강자 연속 등장에 긴장'만' 하는 의약품유통업계 |
7 | “워라밸 받고 더” 제약업계, 이제는 ‘폭룡적’ 복지가 대세 |
8 | SK바이오사이언스, 3Q 해외매출 1852억원…전년동기比 203.1%↑ |
9 | [인터뷰] 하만 한국머크 GM, "한국 시장 APAC NO.1이 목표" |
10 | 오상헬스케어,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승인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큐라클(대표 유재현)은 궤양성 대장염 치료제와 면역항암제 병용용법 치료제 후보물질의 임상 용량 선택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고용량 임상1b상 IND(임상시험계획)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제출했다고 29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큐라클은 고용량 임상1b상을 통해 CU104(궤양성 대장염)의 임상2b상과 CU106(면역항암제 병용요법)의 임상2a상 등 후속 임상에서 투여 용량을 탄력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미리 안전성 범위를 최대화하겠다는 전략이다.
큐라클은 CU104 글로벌 임상2a상을 위해 지난 7월 미국 FDA의 IND 승인 후 유럽 3개국에 IND를 제출했다. 추후 한국 IND 승인을 거쳐 임상시험에 돌입할 예정이다.
큐라클 관계자는 “개념증명(Proof-of-Concept, PoC)을 위한 임상2a상에서 효과가 입증되면 최적의 용법·용량을 찾기 위해 임상2b상을 진행하게 되는데, 이번 임상1b상이 후속 임상에서 용량 선택의 유연성을 증가시켜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큐라클은 CU106의 공동개발을 위해 여러 파트너사와 다양한 면역항암제 후보물질을 검토하고 있으며, 용량 선택성의 증가로 인해 향후 진행할 임상2a상에서 면역항암제 중 최적의 조합을 찾는데 더욱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큐라클 관계자는 “CU104, CU106 등 임상시험 단계에 있는 후보 물질의 최대 안전역을 넓혀 보다 안전한 약물로 포지셔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돼 선제로 고용량 임상1b상을 준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미국 임상2a상을 진행 중인 CU06(당뇨병성 황반부종)도 CU104, CU106과 동일한 물질이어서 이번 임상1b상을 통해 안전 용량 범위를 넓게 확보하게 되면, 고령환자가 많은 망막질환 시장에서 의료진과 환자에게 더욱 유용하게 쓰일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