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약물설계 전문기업 보로노이(대표 김대권, 김현태)는 인공지능(AI) 신약개발 오픈이노베이션 비즈니스를 본격화한다고 28일 밝혔다.
보로노이 관계자는 “창업 초기부터 국내 최대 실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고도화해 온 AI 신약개발 플랫폼에 대한 다각도의 검증을 최근 완료했다”면서 “앞으로 AI 신약개발 오픈이노베이션을 공식적으로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보로노이는 이날 파이프라인 후보 물질의 최적화(Lead Optimization)와 관련한 AI 기술 특허를 출원했다.
보로노이 경영 부문 김현태 대표는 “공동연구기업은 보로노이 AI 플랫폼을 활용해 빠른 속도로 선택성(Selectivity)과 뇌혈관장벽(BBB)투과도가 높은 후보물질을 도출할 수 있다”면서 “보로노이는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해 도출한 파이프라인 지분 확보로 수익성을 높이는 한편 연구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보로노이는 국내 최대 규모인 연 4000여 개의 물질 합성과 연 1만8000두의 동물실험을 통해 그동안 수백만 개의 실험 데이터를 확보하면서 동종 분야 세계 10위권 수준의 물질 특허 출원을 동시에 진행해왔다. 이를 바탕으로 물질 발굴, 특허성 판단, 합성 가능성 분석, 약물성 개선 진단, 후보 물질 최적화 등 신약개발 모든 프로세스에 AI를 접목한 플랫폼 ‘보로노믹스’를 완성해 왔다.
보로노이는 2020년 이후 글로벌 제약사 4곳을 포함한 총 5건의 파이프라인 기술이전에 성공한 바 있다. 또한 다음달 세계폐암학회(WCLC)에서 VRN11의 높은 약효와 뇌투과도 100% 데이터 전임상 결과를 발표도 예정 중이다.
아울러 보로노이는 10월 유럽종양학회(ESMO)에서도 기술이전 파트너 오릭사의 임상 1상 결과 발표를 앞두고 있다.
보로노이 관계자는 “기술이전과 잇따른 임상 검증 스케줄을 통해 해외에서 보로노이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졌다”면서 “최근 미국 등에서 오픈이노베이션 협의가 진행되고 있어 공식적으로 AI신약개발 오픈이노베이션 계획을 발표하게 됐다”고 배경 설명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2023년 상반기 순이익 톱5 삼바∙셀트리온∙종근당∙한미약품∙대웅제약 |
2 | 의약품 성공 징검다리 '대행기관' 성장 '쑥'…사업 영역도 확장 |
3 | [인터뷰] "mRNA, 다양한 질환을 하나의 백신으로 예방할 계획" |
4 | 상반기 화장품 기업 평균 순이익 115억, 전년비 23%↑ |
5 | 복지위 국감, 11일 복지부‧질병청 시작…25일 종합감사 |
6 | 獨 머크, 인공지능(AI) 기반 신약발굴 전략제휴 |
7 | 릴리, ‘마운자로’ 위조품 공급업체들에 소송제기 |
8 | 11월 건보료 소득 정산제도 도입 첫 적용 "편법 회피 막는다" |
9 | 에이비엘바이오 이상훈 대표, 마약 예방·근절 캠페인 ‘NO EXIT’ 참여 |
10 | 큐로셀, 우리금융지주 임종룡 회장 본사 방문…기업 금융 혁신 논의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글로벌 약물설계 전문기업 보로노이(대표 김대권, 김현태)는 인공지능(AI) 신약개발 오픈이노베이션 비즈니스를 본격화한다고 28일 밝혔다.
보로노이 관계자는 “창업 초기부터 국내 최대 실험 데이터를 바탕으로 고도화해 온 AI 신약개발 플랫폼에 대한 다각도의 검증을 최근 완료했다”면서 “앞으로 AI 신약개발 오픈이노베이션을 공식적으로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보로노이는 이날 파이프라인 후보 물질의 최적화(Lead Optimization)와 관련한 AI 기술 특허를 출원했다.
보로노이 경영 부문 김현태 대표는 “공동연구기업은 보로노이 AI 플랫폼을 활용해 빠른 속도로 선택성(Selectivity)과 뇌혈관장벽(BBB)투과도가 높은 후보물질을 도출할 수 있다”면서 “보로노이는 오픈이노베이션을 통해 도출한 파이프라인 지분 확보로 수익성을 높이는 한편 연구 영역을 확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보로노이는 국내 최대 규모인 연 4000여 개의 물질 합성과 연 1만8000두의 동물실험을 통해 그동안 수백만 개의 실험 데이터를 확보하면서 동종 분야 세계 10위권 수준의 물질 특허 출원을 동시에 진행해왔다. 이를 바탕으로 물질 발굴, 특허성 판단, 합성 가능성 분석, 약물성 개선 진단, 후보 물질 최적화 등 신약개발 모든 프로세스에 AI를 접목한 플랫폼 ‘보로노믹스’를 완성해 왔다.
보로노이는 2020년 이후 글로벌 제약사 4곳을 포함한 총 5건의 파이프라인 기술이전에 성공한 바 있다. 또한 다음달 세계폐암학회(WCLC)에서 VRN11의 높은 약효와 뇌투과도 100% 데이터 전임상 결과를 발표도 예정 중이다.
아울러 보로노이는 10월 유럽종양학회(ESMO)에서도 기술이전 파트너 오릭사의 임상 1상 결과 발표를 앞두고 있다.
보로노이 관계자는 “기술이전과 잇따른 임상 검증 스케줄을 통해 해외에서 보로노이에 대한 인지도가 높아졌다”면서 “최근 미국 등에서 오픈이노베이션 협의가 진행되고 있어 공식적으로 AI신약개발 오픈이노베이션 계획을 발표하게 됐다”고 배경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