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진은 조양제 기술총괄대표(CTO)가 16일 보건복지부와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이 개최한 ‘2023년 세계 임상시험의 날 기념행사’에서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정부 포상은 우리나라 임상시험 분야의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에게 수여됐다.
조양제 기술총괄대표는 아이진의 공동 창업자로서 현재 부설연구소의 연구개발(R&D)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아이진 창립 이후 각종 허혈성 질환 치료제와 대상포진 백신 등의 국내외 임상시험을 수행해왔다. 특히 2020년부터는 국내기술로 자체 개발한 코로나19 예방 mRNA 백신 임상시험을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노년기 삶의 질 향상과 백신주권 확보를 위한 그동안의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에 장관 표창을 받는 영예를 안았다.
조 대표는 그동안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질환 및 백신 분과위원을 비롯해, 한국산업기술진흥원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등 국가기관의 각종 자문역할을 수행해 왔고, 지난 2020년 5월에도 바이오의약품 산업 발전에 이바지한 공로로 식약처장 표창장을 받은 바 있다.
조 대표가 연구개발과 임상시험을 주도하고 있는 아이진은 손상된 혈관의 정상화 및 안정화에 도움을 주는 원료물질 ‘EGT022’를 발굴하고, 이를 이용해 각종 허혈성 질환 치료제를 개발해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또한 자체 개발한 면역 보조제(‘EG-Vac’) 시스템을 적용한 대상포진 백신(‘EG-HZ’) 등 각종 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임상시험을 통해 확보해 나가고 있다.
특히 조 대표는 코로나19가 사실상 엔데믹 국면에 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적 보건안보와 백신주권을 확보와 또다른 펜데믹 도래에 대비하기 위해 mRNA 백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자체 기술인 양이온성 리포좀 기반 mRNA 전달체를 이용해 우한주 예방 백신(‘EG-COVID’)과 오미크론 변이주 예방 백신(‘EG-COVARo’)을 개발했고, 2분기 안으로 임상 2a상 시험을 개시할 예정이다.
아이진의 백신은 현재 상용화된 기존 mRNA 백신들의 주요 단점들을 모두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동결건조가 가능한 제형으로 개발돼, 기존 제품들과 같이 초저온 냉동(-70~-20℃) 상태가 아니더라도 상온 조건(2~8℃)에서도 장기간(18개월) 안정함이 확인됐다. 이에 따라 아직 백신 접종율이 낮고 초저온운송(콜드체인) 인프라가 취약한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 국가에서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LNP(지질나노입자) 기반의 기존 백신들에 포함돼 부작용을 유발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사용하지 않아 안전성 측면에서도 우수함을 임상시험을 통해 확인했다.
한편 ‘세계 임상시험의 날’은 영국 해군 군의관 제임스 린드(James Lind)가 항해 중 많은 선원의 목숨을 위협했던 괴혈병을 치료하기 위해 1747년 5월 20일 최초의 근대적 임상시험을 시행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지정됐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에스티큐브, 바이오USA 출격…"기술이전 총력" |
2 | 큐라티스, 공모가 4000원…5~7일 청약 |
3 | 2023년 1분기 영업이익 톱5 삼바∙셀트리온∙한미약품∙종근당∙대웅제약 |
4 | 1분기 매출 톱10 제약사, 여성임원 고작15%...291명 중 44명 |
5 | "바이오도 한류" 韓 바이오 위상 떨친 'BIO USA' |
6 | 앱클론, 국제세포치료학회서 'CD30 CAR-T 치료제' 공동연구 발표 |
7 | “기업의 국제 공중보건 기여, 사회적 가치와 이윤추구간 균형 찾았다” |
8 | 제약바이오 산업 전망…올해 하락하고 내년부터 회복? |
9 | 압타바이오, 바이오USA서 글로벌 제약사와 기술수출 논의 |
10 | [인터뷰] "최고 피임률 '피하 이식형 피임제', 편리성·안전성 두루 갖춰"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아이진은 조양제 기술총괄대표(CTO)가 16일 보건복지부와 국가임상시험지원재단이 개최한 ‘2023년 세계 임상시험의 날 기념행사’에서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정부 포상은 우리나라 임상시험 분야의 발전에 기여한 유공자에게 수여됐다.
조양제 기술총괄대표는 아이진의 공동 창업자로서 현재 부설연구소의 연구개발(R&D) 업무를 총괄하고 있다. 아이진 창립 이후 각종 허혈성 질환 치료제와 대상포진 백신 등의 국내외 임상시험을 수행해왔다. 특히 2020년부터는 국내기술로 자체 개발한 코로나19 예방 mRNA 백신 임상시험을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노년기 삶의 질 향상과 백신주권 확보를 위한 그동안의 공로를 인정받아 이번에 장관 표창을 받는 영예를 안았다.
조 대표는 그동안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질환 및 백신 분과위원을 비롯해, 한국산업기술진흥원과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등 국가기관의 각종 자문역할을 수행해 왔고, 지난 2020년 5월에도 바이오의약품 산업 발전에 이바지한 공로로 식약처장 표창장을 받은 바 있다.
조 대표가 연구개발과 임상시험을 주도하고 있는 아이진은 손상된 혈관의 정상화 및 안정화에 도움을 주는 원료물질 ‘EGT022’를 발굴하고, 이를 이용해 각종 허혈성 질환 치료제를 개발해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또한 자체 개발한 면역 보조제(‘EG-Vac’) 시스템을 적용한 대상포진 백신(‘EG-HZ’) 등 각종 백신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임상시험을 통해 확보해 나가고 있다.
특히 조 대표는 코로나19가 사실상 엔데믹 국면에 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적 보건안보와 백신주권을 확보와 또다른 펜데믹 도래에 대비하기 위해 mRNA 백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자체 기술인 양이온성 리포좀 기반 mRNA 전달체를 이용해 우한주 예방 백신(‘EG-COVID’)과 오미크론 변이주 예방 백신(‘EG-COVARo’)을 개발했고, 2분기 안으로 임상 2a상 시험을 개시할 예정이다.
아이진의 백신은 현재 상용화된 기존 mRNA 백신들의 주요 단점들을 모두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동결건조가 가능한 제형으로 개발돼, 기존 제품들과 같이 초저온 냉동(-70~-20℃) 상태가 아니더라도 상온 조건(2~8℃)에서도 장기간(18개월) 안정함이 확인됐다. 이에 따라 아직 백신 접종율이 낮고 초저온운송(콜드체인) 인프라가 취약한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 국가에서의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LNP(지질나노입자) 기반의 기존 백신들에 포함돼 부작용을 유발하는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사용하지 않아 안전성 측면에서도 우수함을 임상시험을 통해 확인했다.
한편 ‘세계 임상시험의 날’은 영국 해군 군의관 제임스 린드(James Lind)가 항해 중 많은 선원의 목숨을 위협했던 괴혈병을 치료하기 위해 1747년 5월 20일 최초의 근대적 임상시험을 시행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지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