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바이오텍이 2023년 1분기 실적을 12일 발표했다.
차바이오텍의 별도기준 매출액은 315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20% 증가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204억원과 178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3월 일본 글로벌 제약회사 아스텔라스(Astellas Pharma)의 자회사인 아스텔라스 재생의학센터(AIRM, Astellas Institute for Regenerative Medicine)와 3200만 달러(약 430억 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 체결이 실적 상승의 주요인이다. 이 계약으로 반환 조건 없는 선지급금(Upfront Payment) 1500만 달러(약 200억 원)가 입금돼 모두 매출로 반영됐다.
차바이오텍은 사업부문에서 높은 매출 성장과 함께 수익을 실현해 자체 현금창출로 R&D를 지속할 수 있는 차별화된 사업구조를 구축했다. 이를 바탕으로 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의 글로벌 임상, 추가 파이프라인 확충 등 세포치료제 상업화 시기를 앞당기고 있다.
연결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364억원과 121억원이다.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26% 증가한 것으로 미국 · 호주 등 해외 사업의 꾸준한 매출 증가와 차바이오텍 및 국내 종속회사의 매출과 이익 호조가 실적 상승의 요인이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172억 원 개선됐다.
차바이오텍은 2017년 1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930억원 달성 이후 2023년 1분기까지 연평균 성장률 17%로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이어 나가고 있다. 국내사업은 지난 몇 년간 진행해온 마케팅 강화, 영업채널 확충 등 사업구조 혁신에 힘입어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미국 · 호주 등 해외사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함께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이 본격 진행될 경우 매출과 수익성이 크게 좋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에스티큐브, 바이오USA 출격…"기술이전 총력" |
2 | 큐라티스, 공모가 4000원…5~7일 청약 |
3 | 2023년 1분기 영업이익 톱5 삼바∙셀트리온∙한미약품∙종근당∙대웅제약 |
4 | 1분기 매출 톱10 제약사, 여성임원 고작15%...291명 중 44명 |
5 | "바이오도 한류" 韓 바이오 위상 떨친 'BIO USA' |
6 | 앱클론, 국제세포치료학회서 'CD30 CAR-T 치료제' 공동연구 발표 |
7 | “기업의 국제 공중보건 기여, 사회적 가치와 이윤추구간 균형 찾았다” |
8 | 제약바이오 산업 전망…올해 하락하고 내년부터 회복? |
9 | 압타바이오, 바이오USA서 글로벌 제약사와 기술수출 논의 |
10 | [인터뷰] "최고 피임률 '피하 이식형 피임제', 편리성·안전성 두루 갖춰"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차바이오텍이 2023년 1분기 실적을 12일 발표했다.
차바이오텍의 별도기준 매출액은 315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220% 증가했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은 각각 204억원과 178억원을 기록했다.
지난 3월 일본 글로벌 제약회사 아스텔라스(Astellas Pharma)의 자회사인 아스텔라스 재생의학센터(AIRM, Astellas Institute for Regenerative Medicine)와 3200만 달러(약 430억 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 체결이 실적 상승의 주요인이다. 이 계약으로 반환 조건 없는 선지급금(Upfront Payment) 1500만 달러(약 200억 원)가 입금돼 모두 매출로 반영됐다.
차바이오텍은 사업부문에서 높은 매출 성장과 함께 수익을 실현해 자체 현금창출로 R&D를 지속할 수 있는 차별화된 사업구조를 구축했다. 이를 바탕으로 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의 글로벌 임상, 추가 파이프라인 확충 등 세포치료제 상업화 시기를 앞당기고 있다.
연결기준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2364억원과 121억원이다.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26% 증가한 것으로 미국 · 호주 등 해외 사업의 꾸준한 매출 증가와 차바이오텍 및 국내 종속회사의 매출과 이익 호조가 실적 상승의 요인이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172억 원 개선됐다.
차바이오텍은 2017년 1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930억원 달성 이후 2023년 1분기까지 연평균 성장률 17%로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이어 나가고 있다. 국내사업은 지난 몇 년간 진행해온 마케팅 강화, 영업채널 확충 등 사업구조 혁신에 힘입어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미국 · 호주 등 해외사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함께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이 본격 진행될 경우 매출과 수익성이 크게 좋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