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슐린제제 등 생물학적 제제 배송 관리 강화로 의약품 배송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의약품유통업체들을 지원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업체들을 방문, 관련 가이드라인에 현장 목소리를 반영하기 시작했다.
이런 상황에서 정작 제품을 공급하고 있는 다국적 제약사들은 유통업계의 협의 요청에도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는 등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어 업계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유통업계에 따르면 최근 식약처가 생물학적제제 관리 규정 일부를 수정해 인슐린제제 등 생물학적제제 배송에 다소 숨통이 틔었다.
하지만 관련 제약사들이 유통마진 인상 등 별도의 논의를 이어갈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어 의약품유통업체들이 생물학적제제 관리 강화에 따른 고정비 상승 부담을 고스란히 떠안아야 하는 상황이다.
지금처럼 관련 제약사들이 현 상황을 유지하려고 할 경우 유통업체들은 약국에 생물학적제제를 공급할수록 손해를 볼 수밖에 없어 자칫 의약품 공급에 차질이 빚어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의약품유통업체들이 약국에 납품하는 인슐린제제 경우 유통마진이 4~5% 수준인데 문제는 약국 거래에서 발생되는 카드 수수료 등으로 대부분이 지출되고 있다. 업계에서는 공급과정에서 지출되는 수수료 등이 약 4% 안팎이라고 전했다. 결국 현재 마진으로는 관련 인건비, 물류비 등 관련 비용을 충당하기에도 부족하다는 것.
한국의약품유통협회는 약국 인슐린제제 배송 비용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해당 다국적제약사들과 간담회를 추진했지만 다국적제약사들이 참석하지 않아 간담회 자체가 열리지 못했다.
의약품유통협회 고위 관계자는 “강화된 약국 인슐린제제 등 생물학적제제 배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마진 등 비용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안된다”며 “정책적인 부분에선 식약처가 적극적으로 현장을 방문하고 시장 상황을 고려한만큼, 다국적제약사들도 제도가 변경에 따른 시장 상황을 고려해 현실적인 마진을 제공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