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 문을 새롭게 열거나 이전 계획이 있다면 ‘어디서, 어떤 약국을 하나’를 고민할 것이다. 이미 포화상태인 대형병원이나 메디컬센터 자리에만 연연할 것이 아니라, 지역 특성과 요양기관 현황을 파악해 동네에 꼭 필요한 약국을 만들어 가는 것도 성공적인 약국경영에 필수요소이다. 이제 첫 단추를 끼는 의사와 약사들을 위해 약업신문에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를 활용해 개국/개원에 필요한 지역별 (구/동별) 의료기관현황과 처방조제 상위 병의원 및 약국, 다빈도처방 성분을 분석해 연중기획으로 보도한다.
- 편집자 주-
서울의 남동부에 위치한 송파구는 경기도 하남시, 서로는 탄천을 경계로 강남구, 남으로는 경기도 성남시, 북으로는 한강을 경계로 광진구와 접하고 있다. 국내 요양기관 BIG 5 중 하나인 서울아산병원과 잠실종합운동장과 올림픽 공원, 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과 롯데월드 등 편리시설과 상업시설을 골고루 갖춘 지역으로 서울에서 중산층 거주자가 많은 지역으로 꼽히고 있다.
요양기관 현황
2013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청구기준으로 송파구의 요양기관은 총 1,332개소로 병의원(상급종합병원 제외)이 473개소, 약국 319개소, 치과 313개소, 한의원이 227개소로 나타났다. 송파구는 강남구, 서초구 다음으로 요양기관이 많이 분포된 지역으로 꼽힌다.
송파구에서 가장 많은 요양기관이 있는 곳은 잠실동으로 병의원이 108개소, 약국 50개소, 치과 61개소, 한의원 58개소이다. 잠실동은 병의원 수가 다른 동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수를 나타냈으며, 이에 반해 약국 수는 병의원의 절반가량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가락동과 방이동, 신천동 등도 요양기관이 밀집된 지역으로 꼽히며 요양기관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곳은 장지동과 오금동, 삼전동 등으로 나타났다.
10만건 이상 청구는 단 1곳, 1만건 이하가 절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3년 청구를 기준으로 송파구에서 가장 청구건수가 많은 병의원은석촌동에 위치한 H병원으로 청구건수가 11만건을 넘고 있다. H병원은 복지부가 지정한 대장항문전문병원이다.
그 다음으로 청구가 많은 병의원은 지난해 의료과실로 사회적 이슈가 됐었던 S병원이며, 가락동에 위치한 P 산부인과도 청구건수가 높게 나타났다.
병의원이 밀집된 송파구는 10만건이 넘는 요양기관(상급종합병원 제외)은 1곳뿐이며 1만건 이상의 청구 병의원이 277개소이며 나머지 절반정도의 요양기관은 1만건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처방조제청구 상위 약국
송파구에서 처방조제청구를 많이 한 약국은 당연히 서울아산병원 앞 문전약국이라고 예상했으나, 12만건의 청구건수를 나타낸 거여동의 H약국이 차지했다.
H약국은 역세권과 대단위 아파트 단지, 상업시설 등을 두루 갖춘 곳에 위치해 있다. 또, 약국이 자리한 메디컬빌딩에 다양한 진료과가 병의원이 포진해 집중적인 처방전을 흡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두 번째로 청구가 많은 약국인 잠실동의 C약국도 메디컬빌딩에 자리한 곳으로 상가 밀집 지역에 위치한 것이 특징이다. 도로를 사이에 두고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형성돼 있고, 주변에는 식당이나 주점과 같은 유흥시설과 미용실 등 생활시설이 골고루 갖춰진 곳이다.
상위청구 3~6위 약국은 서울아산병원의 문전약국들이 차지했다.
상위처방 성분은
송파구에서 가장 처방이 많이 되는 성분은 감기, 부비강염, 알레르기 등 상기도질환 등에 처방되는 호흡기관약제인 pseudoephedrine HCl이다. 그 다음으로 많은 처방 성분은 소염제제성분인 streptokinase·streptodornas
(streptokinase10000IU,streptodornase2500IU)으로 나타났다. 페니실린계 항생제로서 세균에 의한 감염증에 쓰이는 amoxicillin sodium성분도 처방이 많이 되고 있었다. 소화기관 치료제 성분인 bacillus subtilis·streptococcus faecium(streptococcus faecium 2.25억마리, bacillus subtilis 0.25억마리)도 처방건수가 높았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블록버스터 의약품 시대 끝나나?…'바이오시밀러 폭풍' 코 앞 |
2 | 환인제약, 지난해 매출 2596억원...전년동기比 12.7%↑ |
3 | 고려제약, 상품 매출과 영업이익 크게 하락...순익은 '흑자전환' |
4 | 한국 자생식물이 화장품 원료로…연구개발 활발 |
5 | 디지털 치료제 100억 달러 성장 전망…보험수가‧경제성 평가 기준 확립 요구 |
6 | 폴라리스AI파마, 지난해 영업이익 96.7% 폭락...순이익은↑ |
7 | 다계통 위축증 치료제 FDA ‘희귀의약품’ 지정 |
8 | 메디컬아이피, 비전프로로 보는 3D 인체…GTC서 첫 공개 |
9 | 제테마,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에피티크 바이덤’ 패키지 디자인 전면 리뉴얼 |
10 | 돌아오지 않는 전공의-의대생...한의협 "한의사 활용이 답"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약국 문을 새롭게 열거나 이전 계획이 있다면 ‘어디서, 어떤 약국을 하나’를 고민할 것이다. 이미 포화상태인 대형병원이나 메디컬센터 자리에만 연연할 것이 아니라, 지역 특성과 요양기관 현황을 파악해 동네에 꼭 필요한 약국을 만들어 가는 것도 성공적인 약국경영에 필수요소이다. 이제 첫 단추를 끼는 의사와 약사들을 위해 약업신문에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를 활용해 개국/개원에 필요한 지역별 (구/동별) 의료기관현황과 처방조제 상위 병의원 및 약국, 다빈도처방 성분을 분석해 연중기획으로 보도한다.
- 편집자 주-
서울의 남동부에 위치한 송파구는 경기도 하남시, 서로는 탄천을 경계로 강남구, 남으로는 경기도 성남시, 북으로는 한강을 경계로 광진구와 접하고 있다. 국내 요양기관 BIG 5 중 하나인 서울아산병원과 잠실종합운동장과 올림픽 공원, 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과 롯데월드 등 편리시설과 상업시설을 골고루 갖춘 지역으로 서울에서 중산층 거주자가 많은 지역으로 꼽히고 있다.
요양기관 현황
2013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청구기준으로 송파구의 요양기관은 총 1,332개소로 병의원(상급종합병원 제외)이 473개소, 약국 319개소, 치과 313개소, 한의원이 227개소로 나타났다. 송파구는 강남구, 서초구 다음으로 요양기관이 많이 분포된 지역으로 꼽힌다.
송파구에서 가장 많은 요양기관이 있는 곳은 잠실동으로 병의원이 108개소, 약국 50개소, 치과 61개소, 한의원 58개소이다. 잠실동은 병의원 수가 다른 동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은 수를 나타냈으며, 이에 반해 약국 수는 병의원의 절반가량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가락동과 방이동, 신천동 등도 요양기관이 밀집된 지역으로 꼽히며 요양기관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곳은 장지동과 오금동, 삼전동 등으로 나타났다.
10만건 이상 청구는 단 1곳, 1만건 이하가 절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3년 청구를 기준으로 송파구에서 가장 청구건수가 많은 병의원은석촌동에 위치한 H병원으로 청구건수가 11만건을 넘고 있다. H병원은 복지부가 지정한 대장항문전문병원이다.
그 다음으로 청구가 많은 병의원은 지난해 의료과실로 사회적 이슈가 됐었던 S병원이며, 가락동에 위치한 P 산부인과도 청구건수가 높게 나타났다.
병의원이 밀집된 송파구는 10만건이 넘는 요양기관(상급종합병원 제외)은 1곳뿐이며 1만건 이상의 청구 병의원이 277개소이며 나머지 절반정도의 요양기관은 1만건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처방조제청구 상위 약국
송파구에서 처방조제청구를 많이 한 약국은 당연히 서울아산병원 앞 문전약국이라고 예상했으나, 12만건의 청구건수를 나타낸 거여동의 H약국이 차지했다.
H약국은 역세권과 대단위 아파트 단지, 상업시설 등을 두루 갖춘 곳에 위치해 있다. 또, 약국이 자리한 메디컬빌딩에 다양한 진료과가 병의원이 포진해 집중적인 처방전을 흡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두 번째로 청구가 많은 약국인 잠실동의 C약국도 메디컬빌딩에 자리한 곳으로 상가 밀집 지역에 위치한 것이 특징이다. 도로를 사이에 두고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형성돼 있고, 주변에는 식당이나 주점과 같은 유흥시설과 미용실 등 생활시설이 골고루 갖춰진 곳이다.
상위청구 3~6위 약국은 서울아산병원의 문전약국들이 차지했다.
상위처방 성분은
송파구에서 가장 처방이 많이 되는 성분은 감기, 부비강염, 알레르기 등 상기도질환 등에 처방되는 호흡기관약제인 pseudoephedrine HCl이다. 그 다음으로 많은 처방 성분은 소염제제성분인 streptokinase·streptodornas
(streptokinase10000IU,streptodornase2500IU)으로 나타났다. 페니실린계 항생제로서 세균에 의한 감염증에 쓰이는 amoxicillin sodium성분도 처방이 많이 되고 있었다. 소화기관 치료제 성분인 bacillus subtilis·streptococcus faecium(streptococcus faecium 2.25억마리, bacillus subtilis 0.25억마리)도 처방건수가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