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국 문을 새롭게 열거나 이전 계획이 있다면 ‘어디서, 어떤 약국을 하나’를 고민할 것이다. 이미 포화상태인 대형병원이나 메디컬센터 자리에만 연연할 것이 아니라, 지역 특성과 요양기관 현황을 파악해 동네에 꼭 필요한 약국을 만들어 가는 것도 성공적인 약국경영에 필수요소이다. 이제 첫 단추를 끼는 의사와 약사들을 위해 약업신문에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를 활용해 개국/개원에 필요한 지역별 (구/동별) 의료기관현황과 처방조제 상위 병의원 및 약국, 다빈도처방 성분을 분석해 연중기획으로 보도한다.
- 편집자 주-
성동구는 서울 동부에 있는 자치구로 왕십리를 중심으로 강남, 북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로 2호선 3호선, 5호선과 국철이 통과하는 15개 역과 지하철 분당선이 연결되어 있다. 동호대교, 성수대교를 축으로 강남, 강북을 연결하는 서울 동북부의 교통 중심지로 꼽히며 면적은 서울시의 2.8%를 차지하는 16.85㎢이다.
행당동 일대를 중심으로 낙후된 생활시설과 공공시설 등을 개선하는 행당도시개발사업이 추진 중이다.
요양기관 현황
2013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청구기준으로 성동구는 병의원이 177개소, 약국 152개소, 치과 118개소, 한의원 82개소가 분포된 곳이다. 한양대학교병원이 위치해 있으며 성동구는 요양기관 수에서 25개 서울시 행정구 중 22번째에 해당하는 곳이다. 성동구에서 요양기관이 가장 많은 곳은 성수동으로 약국이 42개소, 병의원 35개소, 치과 30개소, 한의원이 16개소이다.
성수동은 병의원 수보다 약국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병의원이 가장 많은 지역은 행당동이다. 요양기관이 적은 곳은 응봉동과 홍익동으로 나타났다.
처방건수 1위 병의원은 ‘이비인후과 의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3년 청구수를 기준으로 성동구에서 가장 많은 처방을 청구한 곳은 성수동에 위치한 ㅅ이비인후과의원이다. 청구 수는 4만8천여건으로 성동구에서 청구건수가 4만건이 넘는 곳은 14기관에 불과하다.
그 다음으로 청구 건수가 많은 곳은 금호동에 위치한 ㅊ마취통증의학과의원이 2천여건 차이로 두 번째를 차지했고, 행당동의 ㅅ안과의원이 그 다음을 이었다.
처방조제청구 상위 약국 ‘행당동’ 밀집
성동구에서 가장 많은 처방조제청구를 한 곳은 행당동의 ㄷ약국. ㄷ약국은 대학병원 앞의 문전 약국으로 10만여건의 청구건수를 나타냈다. 그 다음으로는 청구가 많은 약국은 ㅁ약국으로 대로변이 아닌 대단위 아파트 단지 내에 위치하고 있다는 특성이 있다. 세 번째로 청구가 많은 약국은 성수동에 위치한 ㅍ약국으로 지하철 역사가 가까이 있고, 약국 주변이 주택가와 사무실 등이 갖춰진 곳이다.
처방조제청구 건수가 높은 약국 20곳 중 행당동에 위치한 약국이 9곳이나 있다. 행당동은 성동구에서 병의원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 병의원의 분포에 따른 약국의 처방조제 건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상위처방 성분은
성동구에서 가장 처방이 많이 되는 성분은 감기, 부비강염, 알레르기 등 상기도질환 등에 처방되는 호흡기관약제 성분인 pseudoephedrine HCl이다. pseudoephedrine HCl는 다른 지역에서도 상위 처방약제 성분에 속하지만 성동구의 처방상위 병의원에 이비인후과가 많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 다음으로는 소염제제성분인 streptokinase·streptodornas(streptokinase10000IU,streptodornase2500IU)이며 위궤양과 급성위염 등에 처방되는 rebamipide성분과 소화관 평활근 운동을 촉진하는 물질을 분비하게 해 소화관 운동을 촉진시키는 성분인 mosapride citrate이 상위처방 성분으로 꼽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HLB, 리보세라닙 FDA 승인 미궁 속으로…"CMC 문제 여전" |
2 |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2년 연속 순이익 1000억대 '충격 적자' |
3 | 네이처셀, 조인트스템 FDA '혁신적 치료제 지정' 획득 |
4 | "ADC, 1차 치료제 시대 임박…혁신 표적·페이로드 기술이 승부수" |
5 | HLB테라퓨틱스, 전년 영업익 -76억원·순익 -235억원 '적자 지속' |
6 | 블록버스터 의약품 시대 끝나나?…'바이오시밀러 폭풍' 코 앞 |
7 | HLB파나진, 분자진단 매출 100억원 '임박' 전년比 17% 상승 |
8 | “또 보완?” HLB, 리보세라닙 FDA 제동…반복된 실책에 쏟아지는 의문 |
9 | 바이넥스, 수익성 지표 하락세…2024년 매출 1301억원 전년比 16% 감소 |
10 | 알테오젠,미국 '메드이뮨'사와 총 8,700억원 규모 라이선스 계약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약국 문을 새롭게 열거나 이전 계획이 있다면 ‘어디서, 어떤 약국을 하나’를 고민할 것이다. 이미 포화상태인 대형병원이나 메디컬센터 자리에만 연연할 것이 아니라, 지역 특성과 요양기관 현황을 파악해 동네에 꼭 필요한 약국을 만들어 가는 것도 성공적인 약국경영에 필수요소이다. 이제 첫 단추를 끼는 의사와 약사들을 위해 약업신문에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를 활용해 개국/개원에 필요한 지역별 (구/동별) 의료기관현황과 처방조제 상위 병의원 및 약국, 다빈도처방 성분을 분석해 연중기획으로 보도한다.
- 편집자 주-
성동구는 서울 동부에 있는 자치구로 왕십리를 중심으로 강남, 북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로 2호선 3호선, 5호선과 국철이 통과하는 15개 역과 지하철 분당선이 연결되어 있다. 동호대교, 성수대교를 축으로 강남, 강북을 연결하는 서울 동북부의 교통 중심지로 꼽히며 면적은 서울시의 2.8%를 차지하는 16.85㎢이다.
행당동 일대를 중심으로 낙후된 생활시설과 공공시설 등을 개선하는 행당도시개발사업이 추진 중이다.
요양기관 현황
2013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청구기준으로 성동구는 병의원이 177개소, 약국 152개소, 치과 118개소, 한의원 82개소가 분포된 곳이다. 한양대학교병원이 위치해 있으며 성동구는 요양기관 수에서 25개 서울시 행정구 중 22번째에 해당하는 곳이다. 성동구에서 요양기관이 가장 많은 곳은 성수동으로 약국이 42개소, 병의원 35개소, 치과 30개소, 한의원이 16개소이다.
성수동은 병의원 수보다 약국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병의원이 가장 많은 지역은 행당동이다. 요양기관이 적은 곳은 응봉동과 홍익동으로 나타났다.
처방건수 1위 병의원은 ‘이비인후과 의원’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3년 청구수를 기준으로 성동구에서 가장 많은 처방을 청구한 곳은 성수동에 위치한 ㅅ이비인후과의원이다. 청구 수는 4만8천여건으로 성동구에서 청구건수가 4만건이 넘는 곳은 14기관에 불과하다.
그 다음으로 청구 건수가 많은 곳은 금호동에 위치한 ㅊ마취통증의학과의원이 2천여건 차이로 두 번째를 차지했고, 행당동의 ㅅ안과의원이 그 다음을 이었다.
처방조제청구 상위 약국 ‘행당동’ 밀집
성동구에서 가장 많은 처방조제청구를 한 곳은 행당동의 ㄷ약국. ㄷ약국은 대학병원 앞의 문전 약국으로 10만여건의 청구건수를 나타냈다. 그 다음으로는 청구가 많은 약국은 ㅁ약국으로 대로변이 아닌 대단위 아파트 단지 내에 위치하고 있다는 특성이 있다. 세 번째로 청구가 많은 약국은 성수동에 위치한 ㅍ약국으로 지하철 역사가 가까이 있고, 약국 주변이 주택가와 사무실 등이 갖춰진 곳이다.
처방조제청구 건수가 높은 약국 20곳 중 행당동에 위치한 약국이 9곳이나 있다. 행당동은 성동구에서 병의원이 가장 많은 지역으로 병의원의 분포에 따른 약국의 처방조제 건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상위처방 성분은
성동구에서 가장 처방이 많이 되는 성분은 감기, 부비강염, 알레르기 등 상기도질환 등에 처방되는 호흡기관약제 성분인 pseudoephedrine HCl이다. pseudoephedrine HCl는 다른 지역에서도 상위 처방약제 성분에 속하지만 성동구의 처방상위 병의원에 이비인후과가 많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 다음으로는 소염제제성분인 streptokinase·streptodornas(streptokinase10000IU,streptodornase2500IU)이며 위궤양과 급성위염 등에 처방되는 rebamipide성분과 소화관 평활근 운동을 촉진하는 물질을 분비하게 해 소화관 운동을 촉진시키는 성분인 mosapride citrate이 상위처방 성분으로 꼽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