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변 처방전 모이는 약국, 입지아닌 무엇(?)이 있다
심평원빅데이터 활용 개국개원 가이드 ⑧서울특별시 금천구
입력 2014.11.17 06:38 수정 2014.11.17 11:44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약국 문을 새롭게 열거나 이전 계획이 있다면 ‘어디서, 어떤 약국을 하나’를 고민할 것이다. 이미 포화상태인 대형병원이나 메디컬센터 자리에만 연연할 것이 아니라, 지역 특성과 요양기관 현황을 파악해 동네에 꼭 필요한 약국을 만들어 가는 것도 성공적인 약국경영에 필수요소이다. 이제 첫 단추를 끼는 의사와 약사들을 위해 약업신문에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를 활용해 개국/개원에 필요한 지역별 (구/동별) 의료기관현황과 처방조제 상위 병의원 및 약국, 다빈도처방 성분을 분석해 연중기획으로 보도한다.
                                                                                                      - 편집자 주-

 


금천구는 서울특별시의 남·서단에 위치하여 동쪽으로는 관악구, 서쪽은 광명시, 남쪽은 안양시와 경계를 이루며, 북쪽은 구로구와 접해있다. 금천구는 서울의 대표적인 공업지역으로 꼽히며  토지용도가 공업지역과 주거지역으로 양분되었으나, 공업지역에 소규모 공장이 밀집되고 주택이 들어서면서 토지 이용이 혼재된 지역이다.

요양기관 수, 서울 25개 구 중 24번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2013년 청구기준으로 서울 금천구의 요양기관 수는 총447개(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제외)로 병의원이 150개, 약국 122개, 치과 150개, 한의원은 70개이다. 서울 25개 행정구역 중 요양기관 수로 24번째에 해당된다.


금천구는 서울시의 2.1%에 해당되는 면적으로 시흥동, 독산동, 가산동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요양기관이 가장 많이 분포된 지역은 시흥동으로 병의원이 72개, 약국 56개, 한의원 42개, 치과 39개가 위치하고 있다.

독산동에도 병의원(59개)과 약국(53개)의 분포가 높았고, 약국이 병의원보다 6개소 정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흥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병의원에 비해 약국 수가 많은 것으로 분석될 수 있다. 가산동에는 병의원 13개 약국 19개에 비해 치과가 35개로 나타나 치과가 많이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약국, 처방조제는 얼마나

금천구에서 가장 많은 처방전을 발행한 병의원은 시흥동에 위치한 A의원(소아청소년과)로 2013년 7만여건의 처방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천구는 대형 의료기관이 없는 대신 의원급 의료기관의 진료가 높고, 내과뿐만 아니라 정형외과, 이비인후과, 안과 등의 청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약국은 시흥동에 위치한 ㅂ약국이 가장 처방 조제를 많이 한곳으로 나타났다. ㅂ약국은 시장과 대형유통매장 인근에 위치해 있어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이라는 특징이 있으나, 무엇보다 주거시설과 상업시설이 고루 위치한 곳이라는 장점이 있는 곳이다.

2013년 기준으로 16만건의 처방조제를 한 것으로 나타나 주변 처방전이 ㅂ약국으로 집중 됐음을 알 수 있다.

상위처방 성분은

금천구에서 가장 많이 처방된 의약품 성분은 streptokinase·streptodornase(streptokinase10000IU,streptodornase2500IU)으로 이 성분은 대부분 기침가래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감기약 등에 사용된다. 


알레르기용약인 chlorpheniramine maleate 성분과 해열소염제로 쓰이는 loxoprofen sodium 등도 감기 등의 질환에 많이 쓰이는 성분이다.

또한, 안과 수술에서 세포의 보호, 조직간극의 유지, 조직윤활을 위해 사용되는 점성고분자 물질의 대표 물질이라 할수 있는 sodium hyaluronate의 성분도 처방이 높았다.

이 밖에 천식치료제 성분인 formoterol fumarate과 진해거담제 성분인 levodropropizine,  항히스타민제로 급성비염 치료제로 쓰이는 levocetirizine도 처방 상위 성분으로 나타났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파브리병 '조기 진단'과 '효소 대체 요법'…"합병증 예방의 '열쇠'"
P-CAB으로 보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의 새로운 방향
[인터뷰] AI, 신약 개발 핵심으로…AI신약융합연구원, 경쟁력 강화 박차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병원·의료]주변 처방전 모이는 약국, 입지아닌 무엇(?)이 있다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병원·의료]주변 처방전 모이는 약국, 입지아닌 무엇(?)이 있다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