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54년 약업신문이 창간된 이후 약업계와 호흡을 같이하면서 영광과 오욕의 순간들을 함께했다. 이에 지난 60년 동안 약업계를 뜨겁게 달구었던 핫이슈 및 사건들을 찾아 시간여행을 떠나본다.
<편집자 주>
◆1970년대
▷ 외국기업과 합작‧기술도입 급가속
1971년 6월 정부는 외국상표나 완제품을 안일하게 수입하는 식의 정책은 지양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천명하고 나섰다. 하지만 같은 해 살충제 생산업체인 미국 S.C. 존슨의 100% 외자투자가 허가되어 50% 이상의 외국인 투자를 허용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정부 스스로 뒤엎은 정책혼선이 빚어졌다.
▷ 국내 최초 ‘週 5일 근무제’의 도입
1972년에 삼아약품이 국내기업 가운데 최초로 ‘주 5일 근무제’를 도입했다. 이것은 1974년 들어 일동제약 등 10여개 제약업체들로 확산되는 계기가 됐다.
▷ ‘의약품 보호제도’ 도입 연구개발 장려
보건사회부는 1975년 10월 들어 국내에서 합성에 성공한 원료의약품에 대해 5년 이내의 기간 동안 허가를 보호하는 약정시책을 채택했다. 이에 따라 동명산업(東明産業)의 광범위 항생물질 가나마이신(kanamycin)이 1975년 10월 제 1호 대상품목으로 지정됐다.
▷ ‘약효 재평가 사업’과 밀가루藥 시비
1975년 들어 정부는 제약업계의 체질개선과 국제경쟁력 배양을 위한 약정정책의 일환으로 ‘약효 재평가 사업’의 착수를 서두르기 시작했다. 그런데 약효 재평가 결과가 발표되자 “밀가루藥이 사용됐다”는 식의 잘못된 보도로 어처구니없는 부작용이 뒤따랐다.
▷ 약사와 약국 급증 거래질서 이슈화
1976년에 들어 최초로 개국약사 수가 10,000명을 돌파했다. 과도한 약사배출은 필연적으로 약국의 난립과 경쟁이 나타나게 했고, 거래질서 확립이 풀리지 않는 숙제로 부각됐다.
▷ 의료보험제도의 도입과 점진적 발전
의료보험제도가 1977년 7월 1일 출범해 우리나라의 복지사회 구현을 앞당기겠다는 정부의 의지에 따라 괄목할 만한 성장을 거듭했다. 의료보험법이 처음 제정된 것은 1963년의 일이었지만, 당시에는 강제적용 규정이 없었다.
▷ 대규모 제약 클러스터 조성사업 “첫삽”
국내 제약기업들은 1970년대 중반 무렵부터 시설확장의 필요성을 절감하기에 이르렀지만, 1977년 초 건설부가 과밀화 억제, 공해업소 외곽이전, 산업합리화 등을 이유로 수도권 공장 신‧증축 금지조치를 내렸다. 이때 대단위 제약공업단지 조성방안이 ‘솔로몬의 묘안’으로 등장했고, 1979년 6월 경기도 화성군 향남면 상신리 일원이 제약공업단지 입지로 지정됐다.
▷ 의약품 도매업계 두통거리 越境파문 돌출
1976년 들어 다른 지역의 한 대형 의약품 도매상이 대전과 부산‧경남지역 등에 진출을 추진했던 것을 둘러싸고 법정다툼 직전까지 비화되어 약업계를 들끓게 했다. 1988년 1월에도 타 지역 도매상의 ‘창원(昌原) 지점 개설 파동’이 불거져 또 한번 일파만파를 몰고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리가켐바이오, 일본 오노약품공업과 ADC 기술이전 계약 |
2 | 브릿지바이오, 특발성 페섬유증 치료제 임상2상 성공 가능성↑ |
3 | HLB 간암신약,미국 FDA 본심사 Class 2 분류...조만간 현장실사 진행 |
4 | '한의사 2년 추가교육 의사대체 가능' 한의계 내부서도 반박 |
5 | "니클로사마이드 기반 범용항바이러스제, 여러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증 혁신 치료법" |
6 | 2024 식약처 국정감사, 키워드는 '원스트라이크'·'의약품 수급'·'오남용' |
7 | 유바이오로직스, 면역증강 물질 ‘EcML’ 제조법 특허 한국·미국 등록 확정 |
8 | 세계 무대 도전장 낸 '바이오 스타트업'…투자자만 100여명 몰려 |
9 | “가을 캠핑 환경, 날씨…Even하지 않아요” 상비약은 필수 |
10 | "유방암, 조기발견 위해 매달 자가검진 추천...비급여 약제 급여화 필요"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지난 1954년 약업신문이 창간된 이후 약업계와 호흡을 같이하면서 영광과 오욕의 순간들을 함께했다. 이에 지난 60년 동안 약업계를 뜨겁게 달구었던 핫이슈 및 사건들을 찾아 시간여행을 떠나본다.
<편집자 주>
◆1970년대
▷ 외국기업과 합작‧기술도입 급가속
1971년 6월 정부는 외국상표나 완제품을 안일하게 수입하는 식의 정책은 지양하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천명하고 나섰다. 하지만 같은 해 살충제 생산업체인 미국 S.C. 존슨의 100% 외자투자가 허가되어 50% 이상의 외국인 투자를 허용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정부 스스로 뒤엎은 정책혼선이 빚어졌다.
▷ 국내 최초 ‘週 5일 근무제’의 도입
1972년에 삼아약품이 국내기업 가운데 최초로 ‘주 5일 근무제’를 도입했다. 이것은 1974년 들어 일동제약 등 10여개 제약업체들로 확산되는 계기가 됐다.
▷ ‘의약품 보호제도’ 도입 연구개발 장려
보건사회부는 1975년 10월 들어 국내에서 합성에 성공한 원료의약품에 대해 5년 이내의 기간 동안 허가를 보호하는 약정시책을 채택했다. 이에 따라 동명산업(東明産業)의 광범위 항생물질 가나마이신(kanamycin)이 1975년 10월 제 1호 대상품목으로 지정됐다.
▷ ‘약효 재평가 사업’과 밀가루藥 시비
1975년 들어 정부는 제약업계의 체질개선과 국제경쟁력 배양을 위한 약정정책의 일환으로 ‘약효 재평가 사업’의 착수를 서두르기 시작했다. 그런데 약효 재평가 결과가 발표되자 “밀가루藥이 사용됐다”는 식의 잘못된 보도로 어처구니없는 부작용이 뒤따랐다.
▷ 약사와 약국 급증 거래질서 이슈화
1976년에 들어 최초로 개국약사 수가 10,000명을 돌파했다. 과도한 약사배출은 필연적으로 약국의 난립과 경쟁이 나타나게 했고, 거래질서 확립이 풀리지 않는 숙제로 부각됐다.
▷ 의료보험제도의 도입과 점진적 발전
의료보험제도가 1977년 7월 1일 출범해 우리나라의 복지사회 구현을 앞당기겠다는 정부의 의지에 따라 괄목할 만한 성장을 거듭했다. 의료보험법이 처음 제정된 것은 1963년의 일이었지만, 당시에는 강제적용 규정이 없었다.
▷ 대규모 제약 클러스터 조성사업 “첫삽”
국내 제약기업들은 1970년대 중반 무렵부터 시설확장의 필요성을 절감하기에 이르렀지만, 1977년 초 건설부가 과밀화 억제, 공해업소 외곽이전, 산업합리화 등을 이유로 수도권 공장 신‧증축 금지조치를 내렸다. 이때 대단위 제약공업단지 조성방안이 ‘솔로몬의 묘안’으로 등장했고, 1979년 6월 경기도 화성군 향남면 상신리 일원이 제약공업단지 입지로 지정됐다.
▷ 의약품 도매업계 두통거리 越境파문 돌출
1976년 들어 다른 지역의 한 대형 의약품 도매상이 대전과 부산‧경남지역 등에 진출을 추진했던 것을 둘러싸고 법정다툼 직전까지 비화되어 약업계를 들끓게 했다. 1988년 1월에도 타 지역 도매상의 ‘창원(昌原) 지점 개설 파동’이 불거져 또 한번 일파만파를 몰고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