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954년 약업신문이 창간된 이후 약업계와 호흡을 같이하면서 영광과 오욕의 순간들을 함께했다. 이에 지난 60년 동안 약업계를 뜨겁게 달구었던 핫이슈 및 사건들을 찾아 시간여행을 떠나본다.
<편집자 주>
◆ 2010년대
▷ ‘시장형 실거래가 상환제’와 ‘리베이트 쌍벌제’ 시행
보건복지가족부는 2010년 2월 16일 ‘의약품 거래 및 약가제도 투명화 방안’으로 ‘시장형 실거래가 상환제도’(즉, 저가구매 인센티브 제도)를 발표하고 10월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간다고 예고해 격랑을 몰고왔다. 같은 해 4월 28일에는 ‘의약품 리베이트 쌍벌제’가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데 이어 5월 18일 국무회의에서 공포안이 원안대로 가결됐다.
▷ 의약품 슈퍼판매 “뜨거운 감자”
약사회의 강력한 반대에도 아랑곳없이 그 동안 약국에서 판매되어 왔던 48개 일반의약품이 2011년 7월 21일 의약외품으로 전환되어 슈퍼마켓 또는 편의점 판매가 허용됐다. 뒤이어 해열진통제, 감기약, 소화제, 파스 등 13개 품목들이 이듬해 11월 편의점 판매가 허용됐다.
▷ 일괄 약가인하, 제약업계에 메가톤급 파장
2012년 2월 27일 보건복지부는 4월부터 기(旣) 등재 의약품들에 대한 약가인하를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보험재정 안정화에 목적을 둔 일괄 약가인하는 제약업계를 타깃삼은 대학살극이었을 뿐 아니라 제약기업들의 영업과 마케팅 행태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 복지부, ‘혁신형 제약기업’ 선정‧발표
2012년 6월 18일 보건복지부는 초미의 관심이 집중된 가운데 ‘2012년도 혁신형 제약기업’ 43곳을 선정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에 대해 보다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을지 여부는 정부의 제약산업 육성의지를 명확하게 가늠케 하는 리트머스 시험지가 될 전망이다.
▷ 셀트리온 ‘램시마주’ 국내 첫 바이오시밀러 승인
셀트리온이 개발한 관절염 치료제 ‘램시마주’가 2012년 7월 국내 최초의 바이오시밀러(biosimilar‧오리지널 제품 ‘레미케이드주’) 의약품으로 허가를 취득했다. ‘램시마주’는 또 모노클로날 항체 바이오시밀러 의약품으로는 세계 최초라는 타이틀까지 거머쥐었다.
▷ 시장형 실거래가제도 존폐 논란
2013년 들어 시장형 실거래가제도(저가구매 인센티브제도)가 제약업계와 의약품 도매업계를 관통하면서 뜨거운 감자로 떠올라 해가 바뀌면서까지 존폐 논란이 후끈 달아올랐다.
▷ 신약개발 G7 “가시권”...국산신약 20호 시대
2013년 3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7월 4일 종근당이 국내 최초로 개발한 글리타존 계열의 경구용 당뇨병 치료제 ‘듀비에정’(로베글리타존)을 허가함에 따라 우리나라는 총 20개의 국내개발 신약을 보유하면서 ‘신약개발 G7’ 국가라는 야심찬 목표의 실현에 성큼 다가섰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메지온,'유데나필' 폰탄 치료제 적응증 확대 미국 FDA 추가임상 '순항' |
2 | "나 지금 떨고 있니?" FDA '보완요구서한(CRL)' 공개에 기업은 긴장 투자자는 환영 |
3 | 아마존 프라임데이 뷰티 부문 매출 1위 '메디큐브' |
4 | 케어젠, 먹는 GLP-1 펩타이드 ‘코글루타이드’ 에콰도르 등록 완료 |
5 | "신약개발 실패, 이유는 현장 단절" 바이오의약공방, 임상 수요 기반 모델 제시 |
6 | 의약품유통업계 "지출보고서 정정,기준 없는 책임 전가..금융비용,리베이트 오인" |
7 | 프리시젼바이오, 씨티바이오와 면역 진단 제품 기술협력 계약 |
8 | 정은경 “‘불법 리베이트 근절’ 제도 보완해야…‘성분명처방’ 도입 협의 필요” |
9 | "30분의 1 용량, 수년간 효과" 뉴라클제네틱스 'NG101' 12조 아일리아 뛰어넘나 |
10 | “합성제제 부작용 넘는다”…천연물 기반 GLP-1 등장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지난 1954년 약업신문이 창간된 이후 약업계와 호흡을 같이하면서 영광과 오욕의 순간들을 함께했다. 이에 지난 60년 동안 약업계를 뜨겁게 달구었던 핫이슈 및 사건들을 찾아 시간여행을 떠나본다.
<편집자 주>
◆ 2010년대
▷ ‘시장형 실거래가 상환제’와 ‘리베이트 쌍벌제’ 시행
보건복지가족부는 2010년 2월 16일 ‘의약품 거래 및 약가제도 투명화 방안’으로 ‘시장형 실거래가 상환제도’(즉, 저가구매 인센티브 제도)를 발표하고 10월 1일부터 시행에 들어간다고 예고해 격랑을 몰고왔다. 같은 해 4월 28일에는 ‘의약품 리베이트 쌍벌제’가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데 이어 5월 18일 국무회의에서 공포안이 원안대로 가결됐다.
▷ 의약품 슈퍼판매 “뜨거운 감자”
약사회의 강력한 반대에도 아랑곳없이 그 동안 약국에서 판매되어 왔던 48개 일반의약품이 2011년 7월 21일 의약외품으로 전환되어 슈퍼마켓 또는 편의점 판매가 허용됐다. 뒤이어 해열진통제, 감기약, 소화제, 파스 등 13개 품목들이 이듬해 11월 편의점 판매가 허용됐다.
▷ 일괄 약가인하, 제약업계에 메가톤급 파장
2012년 2월 27일 보건복지부는 4월부터 기(旣) 등재 의약품들에 대한 약가인하를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보험재정 안정화에 목적을 둔 일괄 약가인하는 제약업계를 타깃삼은 대학살극이었을 뿐 아니라 제약기업들의 영업과 마케팅 행태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 복지부, ‘혁신형 제약기업’ 선정‧발표
2012년 6월 18일 보건복지부는 초미의 관심이 집중된 가운데 ‘2012년도 혁신형 제약기업’ 43곳을 선정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들에 대해 보다 실질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을지 여부는 정부의 제약산업 육성의지를 명확하게 가늠케 하는 리트머스 시험지가 될 전망이다.
▷ 셀트리온 ‘램시마주’ 국내 첫 바이오시밀러 승인
셀트리온이 개발한 관절염 치료제 ‘램시마주’가 2012년 7월 국내 최초의 바이오시밀러(biosimilar‧오리지널 제품 ‘레미케이드주’) 의약품으로 허가를 취득했다. ‘램시마주’는 또 모노클로날 항체 바이오시밀러 의약품으로는 세계 최초라는 타이틀까지 거머쥐었다.
▷ 시장형 실거래가제도 존폐 논란
2013년 들어 시장형 실거래가제도(저가구매 인센티브제도)가 제약업계와 의약품 도매업계를 관통하면서 뜨거운 감자로 떠올라 해가 바뀌면서까지 존폐 논란이 후끈 달아올랐다.
▷ 신약개발 G7 “가시권”...국산신약 20호 시대
2013년 3월 식품의약품안전처가 7월 4일 종근당이 국내 최초로 개발한 글리타존 계열의 경구용 당뇨병 치료제 ‘듀비에정’(로베글리타존)을 허가함에 따라 우리나라는 총 20개의 국내개발 신약을 보유하면서 ‘신약개발 G7’ 국가라는 야심찬 목표의 실현에 성큼 다가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