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의약품유통업계 30년, 투쟁과 헌신의 길을 걷다
대한민국 약업대상 수상 이한우 고문 "업계위한 마음, 지금도 변함없어"
입력 2025.02.21 06:00 수정 2025.02.21 09:19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인터뷰 중인 이한우 고문. ©약업닷컴

한국의약품유통협회 이한우 고문(전 원일약품 회장)이 의약품유통 부문 '대한민국 약업대상'을 수상했다

대한민국 약업대상은 제약·유통 발전을 위한 약업계 노력과 봉사 공적을 대외에 알리고자 2020년 제정한 약업계 상이다올해로 6회째이며 대한약사회한국제약바이오협회한국의약품유통협회가 공동 수여한다

이한우 고문은 제31대 한국의약품유통협회 회장 재직 시절 불법유통의약품 근절에 앞장서고의약품유통업 선진화와 현대화를 통한 의약품 공급체계 건전성 유지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약업신문은 19일 엠베서더 서울 풀만 호텔에서 열린 한국의약품유통협회 정기총회 현장에서 이한우 고문을 만나 인터뷰를 진행했다

 

의약품유통업계 30정통맨의 발자취

"의약품유통업계 위기가 계속되는 지금협회를 중심으로 마주한 현안들을 해결해 나가야 합니다업계가 마주한 현안들이 제약사약사와 관련이 있는 만큼 협회를 비롯해 대한약사회,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세 개 단체가 모여 보람된 일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한우 고문은 "오래오래 기억될 상인 것 같다돌이켜보면 유통업계를 위해 맨 앞에 나서면서 성공을 이끈 적이 있다지금도 자부심을 느끼고 회원들에게 고마움을 느끼고 있다"고 말한 뒤 "앞으로 우리 업계는 한국제약바이오협회대한약사회와 단결하고 협조하면 안 될 게 없다는 생각이 든다감사하다"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이한우 고문은 건국대학교 상학과를 졸업한 뒤 1972 JW중외제약 영업사원을 시작으로 제약업계에 입문했다이후 이 고문은 원강약품과 원일약품을 설립하며 의약품유통업계에 입문했다. 

또 제32대 의의약품유통협회장을 역임하는 등 유통업계에서만 30년 이상 몸담은 '의약품유통업계 정통맨'이기도 하다

특히 그는 의약품유통업계가 위기에 처했을 때마다 전면에 나서 투쟁을 불사했던 인물로 기억되고 있다그중 쥴릭대책투쟁위원장으로 쥴릭파마코리아의 외국계 제약사 독점 공급을 막은 사건은 업계에서 지금도 전설처럼 회자 중이다.

이 고문은 "당시 복지부와 제약사를 찾아다니면서 문제 심각성을 알리는 데 노력했었다과정은 쉽지 않았지만 싸워야겠다고 생각했고그 결과 쥴릭코리아도 하나의 도매상으로 인정받아서 지금은 서로 선의의 경쟁을 하고 있다가장 기억에 남는 일 중 하나다"고 회상했다.

 

투쟁은 늘 앞장서서한국 의약품유통업계 위상, 세계에 알려

이 고문은 유통일원화 제도 폐지 반대에도 앞장섰다임시총회에서 삭발한 것을 시작으로 1인시위 등 강력한 대정부 투쟁을 벌이는 등 업계의 생존권이 걸린 현장에는 늘 그가 있었다

그는 "회장을 하면서 삭발만 세 번 했다. 그 과정이 너무 힘들었지만유통업계에서 요청한 사안에 발 벗고 나서서 해결하고 봉사하려는 마음이 컸다그마음은 지금도 변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이 고문은 세계의약품도매연맹(IFPW)을 서울 총회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당시 행사에는 미국유럽일본 등 21개국 도매업체들이 참석해 전세계 의약품 유통 및 제약산업 전반에 대한 트렌드를 살펴보고미래를 조망했다.

그는 "세계대회를 열기 위한 각본을 잘 짰다한복 패션부터 난타까지 한국의 미를 널리 알리는 데 주력했다. '대한민국이 최고로 잘했다'는 평가를 받고 마감한 것이 굉장히 뜻깊었다또 업계가 돈독해지고 업계 내에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알 수 있는 기회가 됐다"고 말했다.

현재 이 고문은 일선에서 벗어나 있다하지만 그 덕에 업계를 바라보는 시각은 좀 더 객관적으로 변했다이 고문은대리입찰국공립 의약품 입찰약가인하 등의 문제로 꼽으며 협회를 통해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 고문은 "업계를 생각하는 마음은 지금도 여전하다국공립 입찰 문제가 있는데 제대로 잡기 위해 협회의 다양한 시도가 필요할 것 같다협회를 중심으로 업계의 문제를 풀어나가야 한다최근 그런 의지가 보이지 않아 아쉬운데 회원사들이 협회에 힘을 실어줘야 같이 싸울 수 있는 의지도 생긴다"고 강조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비아트리스의 길, 한국에서 다시 시작된다”
앨리스랩 신재원 대표 “검증 안된 건기식 원료 난립…약국은 달라야 한다”
윤종배 인천시약사회장 “변화 중심에서 진정한 약사의 길을 찾겠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인터뷰] 의약품유통업계 30년, 투쟁과 헌신의 길을 걷다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인터뷰] 의약품유통업계 30년, 투쟁과 헌신의 길을 걷다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