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보건산업정책국을 이끌어갈 임인택 국장이 제약·의료기기 등 보건의료 산업 발전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제약 등 보건의료 산업계와는 간담회를 통해 의견을 수렴한다는 것과, 최근 상황리에 개최된 제약·바이오 일자리 박람회 정례화에 대한 의지도 함께 밝혔다.
보건복지부 임인택 보건산업정책국장(50)<사진>은 지난 2일 전문기자협의회와 만난 자리에서 신규 발령에 대한 소회와 포부를 밝혔다.
임 국장은 보건산업정책과장과 산업재해보상보험 재심사위원회 상임위원, 노인정책관 등을 역임했다.
특히 2010년 보건산업정책과장 재직 당시에는 메디칼코리아 국가브랜드화 등 의료, 의료기기, 제약, 화장품 등 보건산업 활성화를 위해 활발한 활동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임 국장은 "7~8년 만에 보건산업분야로 돌아왔다"며 "예전에는 보건산업정책과에서 산업을 총괄해온 사업들이 화장품, 통합의료, 재생, 원격의료 등으로 모두 분할된 것이나, 빅데이터 등 새로운 사업분야가 나타난 것을 보고 보건산업이 더 많이 커진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어 "R&D 산업생태계지원은 규제개선 등 큰 틀에서는 그대로이지만 지원규모가 많이 커진 것도 확인했다"며 "좀더 신경써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보건산업정책국은 제약업계에서도 관심있는 혁신형 제약기업 정책 등을 주관하고 있는데, 이에 대한 목소리도 최대한 수용하겠다는 입장이다.
임인택 국장은 "제약·의료기기는 보건산업진흥과에서 담당하고 있기 때문에 보건산업정책과장 재직 당시에는 제약사와 직접 만나지는 못하고 화장품 업계와 주로 만났다"면서도 "기본적으로 산업국장이 산업발전을 위해 일을 하지, 저해하려고 하진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는 "보건산업진흥과를 통해서 업체들과 간담회를 진행해 이야기를 듣고 의견수렴해서 개선할 부분 있으면 할 것"이라며 "그동안 해왔던 사업은 좀더 탄력을 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첨언했다.
최근 열렸던 제약·바이오 채용박람회에 대해서도 정례화를 검토해보겠다고 밝혔다.
임 국장은 "(채용박람회 정례화를) 검토해 보겠다"며 "취업시장이 어려운데 보건의료분야는 일자리 창출효과가 있다. 병원산업, 제약·바이오 등 고용유발계수가 높은 분야이기에 일자리 창출에 도움이 된다는데, 정부가 못 할 것은 없다"고 긍정적인 전망을 냈다.
이와 함께 "의료기기 분야는 국회에 혁신의료기기법, 의료기기 육성지원법 등 관련 법안이 올라가 있는데, 제약산업과 함께 유사한 지원체계를 갖추게 되면 의료기기 지원이 늘어날 것이라 본다"고 말했다.
한편, 일각에서 복지부가 보건의료 '산업'까지 담당할 필요가 있냐는 지적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보건의료산업'의 특징을 강조했다.
임 국장은 "(복지부가 산업을 관리하지 않는다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에서 연구개발(R&D)을 일괄적으로 관리하고 산업 지원해야 한다는 논리인데 그것은 안된다"고 못박았다.
보건의료산업의 특성이 있기에 산업 특성을 이해야 하고 규제와 맞물린 분야이기에 규제제도와 육성을 맞물려 가야 하는 부분이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산업일원화도 방법이 될 수 있겠지만, 효율성 측면에서 생각한다면 규제정책과 육성정책을 같이 병행할 필요가 있다"며 "규제와 육성이 믹스돼 같이 가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임인택 국장은 보건의료계에 대해 "기대가 많은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그 책임감이) 무겁다"며 "좋은 방안을 만들어 협의하고 나아가겠다. 잘 도와주기를 부탁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