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 전화 진료 77만건…내과 39만건으로 최다
신현영 의원 "만성질환 담당하는 과에서 전화진료 집중"
입력 2020.10.29 11:45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코로나19가 본격화된 올해 2월부터 최근까지 77만3천건의 비대면 전화 진료가 이뤄진 것으로 확인됐다.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은 29일 보건복지부에서 제출받은 '비대면 전화 진료 현황'을 추가 분석했다. 

77만3,772건 중 내과가 39만4,192건(50.9%)을 기록해 가장 많은 전화 진료가 이뤄졌고, 다음으로 △일반의(8민2,754건, 10.7%), △신경과(4만5,489건, 5.9%), △소아청소년과(4만3,165건, 5.6%), △가정의학과(3만9,591건, 5.1%) 순으로 확인됐다.


의원급에서 가장 많은 전화 진료가 이뤄졌는데(43만4,079건), 이 중 △내과(24만1,484건, 55.6%) △일반의(8만2,754건, 19.1%) △가정의학과(2만6,999건, 6.2%) △소아청소년과(2만6,652건, 6.1%) △이비인후과(1만882건, 2.5%) 순이었다.

병원급에서 전체 6만1,499건 중에서 내과(2만5,535건, 41.5%) △정신건강의학과(1만1,927건, 19.4%) △소아청소년과(5,974건, 9.7%) △외과(4,187건, 6.8%) △신경과(3,034건, 4.9%) 순이었고, 요양병원은 모두 1만1,811건으로 △내과·정신건강의학과 (각각 2,972건, 25.2%) △신경과(1,858건, 15.7%) △가정의학과(1,330건, 11.3%) △재활의학과(948건, 8.0%) 순이었다.

종합병원은 전체 16만6,830건 중에서 △내과(7만8,660건, 47.1%) △신경과(2만4,063건, 14.4%) △정신건강의학과(9,359건, 5.6%) △신경외과(8,798건, 5.3%) △가정의학과(8,079건, 4.8%) 순이었고, 상급종합병원 9만9,553건 중에서 △내과(4만5,541건, 45.7%) △신경과(1만1,531건, 11.6%) △외과(7,513건, 7.5%) △소아청소년과(6,134건, 6.2%) △산부인과(6,096건, 6.1%) 순이었다.


신현영 의원은 "감염병 시대에 만성질환을 주로 담당하는 과에서 비대면 전화 진료가 집중되어 진행된 것으로 확인됐다"며 "비대면 진료의 단순 분석에 그치지 않고, 이를 경험한 환자와 의사에게 이에 대한 효과성과 안전성에 대한 추가 조사를 진행한다면 보건의료계의 디지털 뉴딜 정책에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제도]비대면 전화 진료 77만건…내과 39만건으로 최다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제도]비대면 전화 진료 77만건…내과 39만건으로 최다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