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탈모환자 109만명 · 치료비 1,486억원
각각 11.3% · 46.5% 증가…여성탈모 지난해 10만명
입력 2020.10.25 19:46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최근 장년층만의 고민으로 여겨졌던 탈모가 2030세대 청년들의 고민거리로 급부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국회 전문기자협의회 제공
더불어민주당 김원이 의원이 25일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탈모 진료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탈모증으로 병원을 방문해 진료를 받은 국민이 109만에 이르고 있었다.

2015년 208,601명이던 탈모 환자는 2016년 212,141명(1.7% 증가), 2017년 214,217명(1.0% 증가), 2018년 224,743명(4.9% 증가), 2019년 232,167명(3.3% 증가)으로, 2019년 현재 2015년 대비 11.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 국민이 지난 5년간 1,486억원을 탈모 진료비로 지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246억원 수준이던 탈모 진료비는 2016년 268억원, 2017년 286억원, 2018년 323억원, 2019년 361억원으로, 2015년 대비 2019년 현재 46.5% 급증했다. 

최근 5년간 탈모 치료를 받은 환자 1,09만1,869명 중 남성은 60만9,781명(55.8%), 여성은 48만2,088명(44.2%)으로 여전히 남성의 탈모 비율이 높았다. 다만, 2015년 9만 4천명 수준이었던 여성 탈모 환자 수가 지난해인 2019년 10만명을 넘어서 여성 역시 탈모의 위험에 노출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령별로는 30대, 40대, 20대 순으로 탈모 진료를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5년간 30대 탈모 환자는 전체의 23.4%인 25만5,802명, 40대는 전체 22.1%인 24만1,096명, 20대는 19.8%인 21만6,220명으로 확인됐다. 이 중 20대 탈모 환자의 수는 2015년 4만321명에서 2016년 4만1,834명(3.7% 증가), 2017년 4만2,263명(1.0% 증가), 2018년 4만4,940명(6.3% 증가), 2019년 4만6,862명(4.27% 증가)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었다.

김원이 의원은 "최근 스트레스와 식습관의 변화로 청년층의 탈모가 늘어나면서 병원을 찾는 탈모 환자 수도 매년 급증하고 있다"며 "진료 받지 않는 '샤이' 탈모인까지 포함하면 우리나라 탈모인의 수는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어 "탈모는 꾸준한 관리와 치료가 필요한 질환으로 근본적인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라며 "탈모로 인해 고통받고 있는 국민들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제도]최근 5년간 탈모환자 109만명 · 치료비 1,486억원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제도]최근 5년간 탈모환자 109만명 · 치료비 1,486억원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