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사평가원이 약물 안전사용을 위해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UR) 기능 및 범위를 최대한 확대하고, 유통정보 관리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20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김선민 원장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보고한 심사평가원 하반기 업무에서는 이 같은 내용이 포함돼 있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은 올해 알레르기, 이상반응 등 수집 정보 환류방안을 마련하는 '약물 부작용 예방 DUR 연구'를 추진했다.
또한 교도소 등 교정시설 부속의원에도 DUR 점검을 추진해 법무부, 부속의원 인프라 구축 및 정보연계를 통한 DUR 사용 확대에 나선다고 밝혔다.
또한 활용 범위 확대를 위한 기능 확장에 나서는데, 감염병 및 위해 의약품의 점검 및 대응체계 구축을 위해 ITS 등 타 시스템과의 연계 및 위기 대응 매뉴얼을 마련한다.
식욕억제제 등 마약류 오남용 관리를 위해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마약류 통합관리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정보를 비교·분석한다.
의약품 유통정보 및 불법·위해 의약품 유통 차단 노력도 계속된다.
생산·수입부터 유통 전반 이력추적 관리체계를 구축해 최소 포장단위 일련번호 정보 수집 및 유통정보를 분석·활용한다.
또 의약품 유통정보 정확성을 제고하기 위해 제조·도매상 등 공급업체 현황 일제 정비를 추진하며(새올시스템 연계), ATC코드 상시 부여 및 관리주기 단축(반기→분기) 도 추진한다.
불법·위해 의약품 유통 차단을 위해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수사기관 등 협업체계 구축을 통한 불법유통 차단에 나서 2019년 일련번호 불일치 건 등 4,220품목, 244억원 불법 유통을 적발한 바 있다.
위해(회수대상)의약품 유통정보 자동 제공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공급 및 처방 비교 등 사용량 관리 계획 수립·시행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