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 "DUR 이용·기능 범위 확장 최대로"
국감 업무보고…일련번호 불일치 적발 및 ATC코드 관리주기 분기별 단축
입력 2020.10.20 10:46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심사평가원이 약물 안전사용을 위해 의약품 안전사용 서비스(DUR) 기능 및 범위를 최대한 확대하고, 유통정보 관리를 강화한다고 밝혔다.

20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김선민 원장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보고한 심사평가원 하반기 업무에서는 이 같은 내용이 포함돼 있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하 심평원)은 올해 알레르기, 이상반응 등 수집 정보 환류방안을 마련하는 '약물 부작용 예방 DUR 연구'를 추진했다.

또한 교도소 등 교정시설 부속의원에도 DUR 점검을 추진해 법무부, 부속의원 인프라 구축 및 정보연계를 통한 DUR 사용 확대에 나선다고 밝혔다.

또한 활용 범위 확대를 위한 기능 확장에 나서는데, 감염병 및 위해 의약품의 점검 및 대응체계 구축을 위해 ITS 등 타 시스템과의 연계 및 위기 대응 매뉴얼을 마련한다.

식욕억제제 등 마약류 오남용 관리를 위해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마약류 통합관리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해 정보를 비교·분석한다.

의약품 유통정보 및 불법·위해 의약품 유통 차단 노력도 계속된다.

생산·수입부터 유통 전반 이력추적 관리체계를 구축해 최소 포장단위 일련번호 정보 수집 및 유통정보를 분석·활용한다.

또 의약품 유통정보 정확성을 제고하기 위해 제조·도매상 등 공급업체 현황 일제 정비를 추진하며(새올시스템 연계), ATC코드 상시 부여 및 관리주기 단축(반기→분기) 도 추진한다.

불법·위해 의약품 유통 차단을 위해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수사기관 등 협업체계 구축을 통한 불법유통 차단에 나서 2019년 일련번호 불일치 건 등 4,220품목, 244억원 불법 유통을 적발한 바 있다.

위해(회수대상)의약품 유통정보 자동 제공 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공급 및 처방 비교 등 사용량 관리 계획 수립·시행중이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한국 바이오헬스케어, 미국서 왜 안 통하나…기술은 '기본' 시장이 '기준'"
우주와 별을 탐구한 과학자, ‘의료AI’로 ‘소우주’ 인간을 연구하다
"객관적 효능평가, 우리가 책임진다" 디티앤씨알오, 안 질환 분석 깊이를 더하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정책]심평원 "DUR 이용·기능 범위 확장 최대로"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정책]심평원 "DUR 이용·기능 범위 확장 최대로"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