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에도 의료이용 3.4% 감소에 그쳐
올해 상반기 건강보험 수진자수 전년동기 대비 153만명 감소
입력 2020.10.20 10:12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코로나19 팬데믹에서도 전반적인 의료이용이 지난해와 비교할 소폭 감소하는 데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 국회 전문기자협의회 제공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제출한 '코로나19 전후 의료이용 현황'자료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수진자수는 전년동기 대비 153만명(△3.4%) 감소했고, 진료비는 전년동기 대비 3,721억원(△0.8%) 감소했으며, 1인당 입내원일수는 전년동기 대비 1.8일(△9.6%) 감소하는 등 소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도 만성질환자들이 꾸준히 진료받고 있는 등 대부분의 국민들께서 안정적 의료이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어 "하지만 진료과별 현황을 살펴보면, 올해 상반기 진료비의 경우 전년동기 대비 소아청소년과가 △3,266억원(△22.4%), 이비인후과가 △1,714억원(15.5%), 응급의학과가 △628억원(△9.9%) 감소하는 등 진료비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대별로는 올해 상반기 진료비가 0~9세 △7,204억원(△29.1%), 10~19세 △2,346억원(△17.2%) 감소하는 등 19세 이하의 진료비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남인순 의원은 또 "상병별 수진자수 현황을 보면, 올해 상반기 수진자수 감소 상위 10순위 중에서 급성기관지염 △383만명(△33.9%), 급성상기도강염 △117만명(△32.2%) 등 8개 호흡기질환 상병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국민들께서 사회적 거리두기와 함께 마스크 착용과 올바른 손씻기 등 코로나19 개인위생수칙을 준수하여 호흡기질환 환자수가 크게 줄어든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히고, "올해 상반기 만성질환 수진자수의 경우 고혈압 18만명(3.0%), 2형 당뇨병 12만명(4.6%) 증가하는 등 코로나19 팬데믹에도 안정적 의료이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그리고 "정신건강질환의 경우 올해 상반기 수면장애 4만명(9.6%), 우울에피소드 질환 3만명(5.7%) 증가하는 등 정신건강의학과 수진자수는 전년동기 대비 8.6만명(4.7%) 증가하였으며, 중증질환의 경우 암질환 수진자수가 전년동기 대비 2.8만명(2.6%) 증가하는 등 코로나19 팬데믹에도 안정적 의료이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심장질환과 뇌혈관질환 수진자수는 전년동기 대비 각각 △0.3만명(△4.6%), △0.1만명(△3.6%) 감소하는 등 수진자수가 다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편, 올해 상반기 코로나19 관련 진료비 수진자수는 50만 3,001명, 건강보험 청구금액은 1,438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한국 바이오헬스케어, 미국서 왜 안 통하나…기술은 '기본' 시장이 '기준'"
우주와 별을 탐구한 과학자, ‘의료AI’로 ‘소우주’ 인간을 연구하다
"객관적 효능평가, 우리가 책임진다" 디티앤씨알오, 안 질환 분석 깊이를 더하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정책]코로나19 팬데믹에도 의료이용 3.4% 감소에 그쳐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정책]코로나19 팬데믹에도 의료이용 3.4% 감소에 그쳐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