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독과 도매업계간의 의약품 유통마진을 둘러싼 대립이 격화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한독이 도매업체들에게 제공하는 유통마진을 놓고 양측간의 진실공방이 나타나고 있다.
도매업계는 한독이 업체들의 손익분기점 수준인 8.8%에 훨씬 못미치는 5%대를 제공해 팔면 팔수록 손해를 보는 구조이기 때문에 생존권 차원에서 유통마진 인상을 요구하며 집단행동에 나서게 됐다고 설명한다.
이에 대해 한독은 '정보제공료 1%를 포함한 기본마진 6%와 도협에서 주장하는 회전에 따른 금융비용을 포함해서 평균 8.8% 이상을 이미 지급하고 있다"고 반박하고 있다.
한독이 도매업체에 제공하는 유통마진이 8.8%인지 5%인지는 보는 시각에 따라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
한독은 주장하는 유통마진 8.8% 이상은 전체 의약품 물동량의 평균치이다. 병원도매와 약국도매를 포함해 제공하는 평균 유통마진이 8.8% 이상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도매업계는 이를 다르게 해석하고 있다. 약국을 주거래선으로 종합도매업체들의 유통마진은 5%이고, 한독측이 주장하는 8.8%이상의 유통마진은 병원도매업체들의 회전기일까지 반영한 허수라는 주장이다.
또 도매업계는 정보제공료는 유통마진에 포함해서는 안되고 의약품 공급 흐름도 등 도매업체들의 용역에 따른 수수료라는 입장이다.
도매업계는 약국을 주거래선으로 하는 종합도매업체들의 경우 배송비용, 인건비 등 제반비용이 병원도매업체들보다 많이 투입되는데 업체들의 평균 손익분기점 이하 수준이 5%를 제공하는 것은 제약회사의 횡포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이를 반영이라도 하듯 이번 한독 제품 취급 거부 결정 과정에서는 지오영, 백제약품, 동원약품 등 주요 대형도매업체들이 앞장서고 있는 상황이다.
이같은 도매업계의 주장에 대해 한독측은 일정부분 공감을 표시하면서도 회사 경영이 어려운 관계로 유통마진 인상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한독의 '8.8% 이상 유통마진 제공'과 도매업계의 '5%대 유통마진'의 간극을 해소하지 않을 경우 한독과 도매업계간의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지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카나리아바이오, 오레고보맙 글로벌 임상 3상 환자 모집 마감 |
2 | 2023년 1분기 매출 톱5 삼바∙셀트리온∙유한양행∙종근당∙한미약품 |
3 | 키트루다 다음은 '대사항암제'㊦…춘추전국시대 최강자 자리 접전 |
4 | 병협 1.9% 치협 3.2% 한의협 3.6% 수가협상 '타결'...의협·약사회 결렬 |
5 | 젬백스, 알츠하이머병 신약후보 'GV1001' 글로벌 기술이전 검토 |
6 | 삼천당제약, 2023년 1Q 안과용제 매출 1위...전년동기比 10%↑ |
7 | 소통 자리까지 마련했지만...수가협상, 가입자-공급자 간극은 '여전' |
8 | [인터뷰] 건선치료제 '스카이리치' ㊤…'효과·안전성·편의성' 두루 갖춘 치료제 |
9 | 일라이 릴리, 인공지능 적용 신약개발 진행 제휴 |
10 | 이노큐브, S to B 챌린지 1기, 4곳 선정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한독과 도매업계간의 의약품 유통마진을 둘러싼 대립이 격화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한독이 도매업체들에게 제공하는 유통마진을 놓고 양측간의 진실공방이 나타나고 있다.
도매업계는 한독이 업체들의 손익분기점 수준인 8.8%에 훨씬 못미치는 5%대를 제공해 팔면 팔수록 손해를 보는 구조이기 때문에 생존권 차원에서 유통마진 인상을 요구하며 집단행동에 나서게 됐다고 설명한다.
이에 대해 한독은 '정보제공료 1%를 포함한 기본마진 6%와 도협에서 주장하는 회전에 따른 금융비용을 포함해서 평균 8.8% 이상을 이미 지급하고 있다"고 반박하고 있다.
한독이 도매업체에 제공하는 유통마진이 8.8%인지 5%인지는 보는 시각에 따라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
한독은 주장하는 유통마진 8.8% 이상은 전체 의약품 물동량의 평균치이다. 병원도매와 약국도매를 포함해 제공하는 평균 유통마진이 8.8% 이상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도매업계는 이를 다르게 해석하고 있다. 약국을 주거래선으로 종합도매업체들의 유통마진은 5%이고, 한독측이 주장하는 8.8%이상의 유통마진은 병원도매업체들의 회전기일까지 반영한 허수라는 주장이다.
또 도매업계는 정보제공료는 유통마진에 포함해서는 안되고 의약품 공급 흐름도 등 도매업체들의 용역에 따른 수수료라는 입장이다.
도매업계는 약국을 주거래선으로 하는 종합도매업체들의 경우 배송비용, 인건비 등 제반비용이 병원도매업체들보다 많이 투입되는데 업체들의 평균 손익분기점 이하 수준이 5%를 제공하는 것은 제약회사의 횡포에 불과하다는 지적이다.
이를 반영이라도 하듯 이번 한독 제품 취급 거부 결정 과정에서는 지오영, 백제약품, 동원약품 등 주요 대형도매업체들이 앞장서고 있는 상황이다.
이같은 도매업계의 주장에 대해 한독측은 일정부분 공감을 표시하면서도 회사 경영이 어려운 관계로 유통마진 인상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한독의 '8.8% 이상 유통마진 제공'과 도매업계의 '5%대 유통마진'의 간극을 해소하지 않을 경우 한독과 도매업계간의 갈등의 골은 더욱 깊어지게 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