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업닷컴이 분석한 상장 88개 제약바이오사(코스피 41개사, 코스닥 47개사)의 올해 2분기 자기자본이익율(ROE)이 전년동기 대비 코스피는 1.15%p 하락, 코스닥은 1.65%p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6월 기준 ROE는 코스피 0.23%, 코스닥 0.74%를 각각 기록했다.
자기자본이익율(ROE)은 기업이 자기자본(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해 준다. ROE가 타 기업들보다 낮으면 경영진이 무능하거나 그 업종이 불황이라는 뜻이 된다.
올해 6월 기준 분기 ROE가 가장 높은 곳은 종근당으로 27.31%다. 이어 △한미약품 18.68% △JW생명과학 17.20% △삼진제약 14.11% △JW중외제약 13.06% △대웅제약 12.45% △보령 11.50% △SK바이오팜 10.73% △삼성바이오로직스 10.47% △유나이티드 8.65% 순으로 나타났다.
전기 대비 증감율이 가장 큰 제약바이오사는 16.43%p를 기록한 SK바이오팜으로 확인됐다. 이어 △일동제약 9.31%p △삼진제약 8.67%p △국제약품 8.43%p △종근당바이오 8.20%p △유유제약 4.04%p △신풍제약 2.80%p △파미셀 2.68%p △한미약품 2.29%p △보령 1.89%p 순으로 전기 대비 증감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41개사 중 전년동기 대비 증감율이 가장 큰 제약바이오사는 36.03%p를 기록한 SK바이오팜으로 확인됐다. 이어 △영진약품 22.67%p △일동제약 21.44%p △유유제약 8.70%p △종근당 8.56%p △종근당바이오 8.32%p △국제약품 7.89%p △한미약품 7.07%p △삼진제약 5.10%p △대웅제약 4.53%p 순으로 높았다.
코스닥 제약바이오사 47개사 중 올해 2분기 ROE가 가장 높은 기업은 39.53%를 기록한 엘앤씨바이오다. 이어 △제테마 33.81% △파마리서치 20.88% △휴엠앤씨 18.66% △테라젠이엑스 17.70% △휴메딕스 16.24% △바이오플러스 16.12% △JW신약 15.60% △케어진 15.25% △휴젤 14.56% 순으로 확인됐다.
전기대비 증감율이 가장 높은 제약바이오는 113.45%p를 기록한 JW신약으로 나타났다. 이어 △경남제약 24.02%p △제테마 11.20%p △현대바이오사이언스 9.14%p △아이큐어 5.75%p △안국약품 5.43%p △고려제약 4.87%p △바이오솔루션 4.21%p △이수앱지스 4.13%p △휴메딕스 3.36%p 순으로 확인됐다.
전년동기 대비 증감율이 높은 기업은 116.23%p를 기록한 JW신약이다. 이어 △제테마 64.94%p △엘앤씨바이오 35.28%p △CJ바이오사이언스 25.75%p △테라젠이텍스 14.67%p △아이큐어 11.60%p △바이오솔루션 9.99%p △한국파마 9.80%p △경남제약 8.78%p △현대바이오사이언스 8.15%p 순으로 나타났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미국, 비만 치료 확대· 치료제 의료보험 적용 추진...왜? |
2 | “양손 가득 돌아오겠습니다” K제약바이오 'BIO USA'서 승부수 띄운다 |
3 | 상장 제약바이오 1분기 평균 연구개발비, 코스피 176억원‧코스닥 29억원 |
4 | 화장품 기업 76개사 1Q 순이익 평균 84억…전년대비 28.6%↑ |
5 | “비아트리스의 길, 한국에서 다시 시작된다” |
6 | 휴레이포지티브-Xlife Sciences-온코마스터,디지털 헬스·정밀의료 협력 |
7 | 강희철 대표 "지에프씨생명과학, 식물 유래 '엑소좀' 넘버원 기업 도약할 것" |
8 | 빅데이터로 본 코로나·실손·지역격차...건보공단, 정책 성과 제시 |
9 | 큐로셀, BIO USA 기업 발표자로 선정…"글로벌 파트너십 본격화" |
10 | 일본 LIPS 어워즈서 'K-뷰티 열풍' 재확인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약업닷컴이 분석한 상장 88개 제약바이오사(코스피 41개사, 코스닥 47개사)의 올해 2분기 자기자본이익율(ROE)이 전년동기 대비 코스피는 1.15%p 하락, 코스닥은 1.65%p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6월 기준 ROE는 코스피 0.23%, 코스닥 0.74%를 각각 기록했다.
자기자본이익율(ROE)은 기업이 자기자본(주주지분)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경영효율성을 표시해 준다. ROE가 타 기업들보다 낮으면 경영진이 무능하거나 그 업종이 불황이라는 뜻이 된다.
올해 6월 기준 분기 ROE가 가장 높은 곳은 종근당으로 27.31%다. 이어 △한미약품 18.68% △JW생명과학 17.20% △삼진제약 14.11% △JW중외제약 13.06% △대웅제약 12.45% △보령 11.50% △SK바이오팜 10.73% △삼성바이오로직스 10.47% △유나이티드 8.65% 순으로 나타났다.
전기 대비 증감율이 가장 큰 제약바이오사는 16.43%p를 기록한 SK바이오팜으로 확인됐다. 이어 △일동제약 9.31%p △삼진제약 8.67%p △국제약품 8.43%p △종근당바이오 8.20%p △유유제약 4.04%p △신풍제약 2.80%p △파미셀 2.68%p △한미약품 2.29%p △보령 1.89%p 순으로 전기 대비 증감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41개사 중 전년동기 대비 증감율이 가장 큰 제약바이오사는 36.03%p를 기록한 SK바이오팜으로 확인됐다. 이어 △영진약품 22.67%p △일동제약 21.44%p △유유제약 8.70%p △종근당 8.56%p △종근당바이오 8.32%p △국제약품 7.89%p △한미약품 7.07%p △삼진제약 5.10%p △대웅제약 4.53%p 순으로 높았다.
코스닥 제약바이오사 47개사 중 올해 2분기 ROE가 가장 높은 기업은 39.53%를 기록한 엘앤씨바이오다. 이어 △제테마 33.81% △파마리서치 20.88% △휴엠앤씨 18.66% △테라젠이엑스 17.70% △휴메딕스 16.24% △바이오플러스 16.12% △JW신약 15.60% △케어진 15.25% △휴젤 14.56% 순으로 확인됐다.
전기대비 증감율이 가장 높은 제약바이오는 113.45%p를 기록한 JW신약으로 나타났다. 이어 △경남제약 24.02%p △제테마 11.20%p △현대바이오사이언스 9.14%p △아이큐어 5.75%p △안국약품 5.43%p △고려제약 4.87%p △바이오솔루션 4.21%p △이수앱지스 4.13%p △휴메딕스 3.36%p 순으로 확인됐다.
전년동기 대비 증감율이 높은 기업은 116.23%p를 기록한 JW신약이다. 이어 △제테마 64.94%p △엘앤씨바이오 35.28%p △CJ바이오사이언스 25.75%p △테라젠이텍스 14.67%p △아이큐어 11.60%p △바이오솔루션 9.99%p △한국파마 9.80%p △경남제약 8.78%p △현대바이오사이언스 8.15%p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