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바이오산업 미래를 논의하는 소통의 장이 열렸다.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코리아 2022(BIOPLUS-INTERPHEX KOREA 2022)가 지난 3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5일까지 코엑스에서 진행되며, 40개의 세션, 120명의 연사, 200개 기업 및 참관객 등 최대 만명이 참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전시 카테고리는 ▲디지털 헬스케어 ▲실험 장비 및 분석 ▲제조 및 설비 ▲패키징 ▲물류 ▲바이오테크놀로지 ▲원료(의약품·식품·화장품) ▲서비스 ▲병원·대학 및 공공기관으로 구성된다. 특히 `2022 특별관’에서는 올해 바이오·제약산업 이슈라고 할 수 있는 ▲CMO·CDMO ▲디지털 헬스케어 ▲콜드체인 물류 ▲바이오소재·부품·장비를 소개한다.
한국바이오협회 고한승 회장은 개회사를 통해 “바이오플러스-인터펙스코리아는 국내외 바이오산업 관계자 수천 명이 참여할 만큼 위상이 높아졌다. 다수 글로벌 기업, 바이오 선진국의 기관에서도 한국 바이오 기업과 협업하기 위해 대거 참여했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이번 행사는 세계에서 가장 실용적인 헬스케어 컨벤션(World’s Most Tangible Healthcare Convention)을 주제로 잡은 만큼 바이오제약 산업의 전 밸류체인을 만나볼 수 있는 기회”라며 “행사를 통해 바이오산업의 밝은 미래를 여는 열쇠를 찾길 기원한다. 또한 앞으로도 한국바이오협회는 국내 바이오산업의 발전을 위한 조력자가 되겠다”고 밝혔다.
이어
산업통상자원부 장영진 제1차관은 “한국 바이오산업은 나날이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지난 6월 미국에서 열린 글로벌 최대 바이오행사인 BIO USA에는 한국이 참가기업 수가 두 번째로 높았다”라며 “이러한 성장에 따라 해외 투자도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지난 2016년에는 4억 불 규모에서 지난해에는 10억 불 규모를 웃도는 괄목한 성과를 이뤘다”고 전했다.
이어 “이러한 눈부신 성장에 맞춰 정부에서도 바이오산업 육성을 위해 적극 지원할 계획”이라며 “윤석열 정부는 민간 주도로 기업의 활력을 회복시킴으로써 기업과 산업이 성장하는 철학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규제 완화, 세제 지원 등 전폭적인 지원을 위한 움직임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또한 “현재 모든 정부 부처가 힘을 합쳐 규제 완화를 추진하고 있고, 산업부에서도 대규모의 금전적 지원 프로젝트를 통해, 성과를 도출하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정부에서는 각종 규제 완화, 세제 지원뿐만 아니라 유망 분야인 바이오디지털, 세포유전자치료제, 합성생물학, 소부장, 디지털헬스케어, 우수 인력 양성 등, 실질적인 정책을 통해 한국 바이오산업이 글로벌 선두가 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다음으로 이어진 기조강연에서는 '한국 바이오산업 현재와 미래를 그리다'를 주제로 한국투자파트너스 황만순 대표,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 이정규 대표, 산업연구원 최윤희 선임연구위원, 한국경제신문 안현실 논설위원(좌장)이 국내 바이오산업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
황만순 대표는 국내 바이오산업이 한 단계 더 성장하기 위해선 ▲M&A 확대 ▲민간투자 연계 ▲코스닥 시장 활성화 ▲이사회 중심 지배구조 문화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국내 바이오 기업이 글로벌에서 경쟁하기 위해선 질적으로 성장해야 하며, 이를 위해선 M&A가 활성화 돼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황 대표는 “국내에서는 M&A 사례가 많지 않고, 이는 환경적 요인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라며 “M&A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지분상속에 대한 혜택 등, 장기적 세제지원이 필요하다. 또한 이사회 중심의 지배구조를 위한 다양한 정책도 마련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코스닥 시장의 활성화도 필요하다. 바이오산업과 같은 4차 산업혁명 관련 주식은 한시적 공매도 제한, 자금조달 및 산업 성장 선순환 유도 등의 정책도 함께 병행돼야 한다”라며 “각 부처 정부과제의 민간 투자자 및 은행과의 협력을 통한 민간투자연계 과제의 확대를 통해 초기 바이오기업을 지원하고 재원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정규 대표는 황 대표 의견에 동의하며 “향후 10년을 내다봤을 때, 바이오분야 발전을 위해선 M&A가 필수적이다. 현재 수많은 기업의 기술력이 글로벌 기업들과 경쟁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바이오 같이 하이테크(첨단기술) 기업을 자식에게 물려주기 위해 M&A를 꺼리는 문화는 성장을 저해하는 요인”이라며 “지분율 중심의 경영개념에서 이사회 중심으로 경영이 이뤄지도록, 개선을 넘어선 혁파를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이 대표는 국내 바이오기업들의 꾸준한 기술이전 성공은 괄목할 만한 성과며, 특히 과학기술과 자본시장이 밀접하게 상호작용하면서, 과학기술-사업-자본시장의 연결이 탄탄하게 이어진 것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어
최윤희 위원은 바이오 경제시대가 도래했다는 데에는 이견이 없다면서도 “국내 주력 산업인 자동차 산업의 생산액은 200조 원, 반도체 산업 생산액은 150조 원이다. 그러나 바이오산업 생산액은 최대 30조 원 내외로 퀀텀 점프가 필요한 시점”이라며, ▲민간 주도의 산업 생태계 활성화 ▲정책 효율성 제고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까지 정부의 바이오 투자 비중은 최고 수준으로 더 이상 확대는 한계가 있다. 이제는 민간으로부터 투자 촉진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라며 "이를 위한 각종 정책이 마련돼야 하며, 이미 정책적으로 제안됐던 임상 3상 후반 단계의 자금 환경 개선을 위한 메가펀드 등의 포트폴리오가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정책을 효율화할 필요가 있다. 한국 바이오산업 정책 효율성은 지난 2019년 44개국 중 16위로 중위권 수준"이라며 "연구개발 투자 등, 공급 정책과 함께 시장정책, 기업정책 등이 균형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라며, 범부처 정책 연계 협력 거버넌스의 필요성을 다시금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