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체 기반 신약이 제약바이오 산업의 핵심으로 자리 잡으며, 국내 기업들도 빠르게 항체 신약 개발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과거에는 글로벌 기업들과 비교해 기술력에서 밀렸지만, 최근 몇 년 사이 눈에 띄는 성장을 이루며 글로벌 무대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실제 라이선스 계약과 임상시험 성과로 그 가치를 입증하며 시장의 주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항종양, 자가면역질환, 중추신경계 등 다양한 질환 영역에서 항체 신약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질환에서 의미 있는 라이선스 아웃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는 국내 기업들이 세계적 수준의 연구개발 역량을 확보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국내 항체 신약의 글로벌 경쟁력은 지난달 28일 서울 강남구 삼정호텔에서 열린 '대한민국신약개발상 시상식'에서도 확인됐다. 이날 기술수출상을 받은 기업 세 곳 중 두 곳이 항체 신약 개발 기업이었다. 넥스아이와 아이엠바이오로직스가 그 주인공이다.
넥스아이는 지난해 3월 일본 오노약품공업(Ono Pharmaceutical)에 계열 내 최초(First-in-class) 단일클론항체 신약 후보물질 'NXI-101'을 글로벌 기술수출하는 데 성공했다. 해당 거래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넥스아이는 반환 없는 선급금과 단계별 마일스톤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계약을 통해 오노약품공업은 NXI-101의 글로벌 임상 개발 및 상업화에 관한 모든 책임과 독점 권리를 보유하게 됐다. 넥스아이는 상업화 후 판매 로열티를 받기로 했다.
NXI-101은 넥스아이의 면역항암제 불응성 원인 인자 발굴 기술인 '온코카인(ONCOKINE)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됐다. NXI-101은 암세포가 면역항암제에 반응하지 않는 주요 원인인자 중 하나인 '온코카인-1(ONCOKINE-1)'을 타깃, 해당 기능을 저해하는 기전을 가진다.
넥스아이 윤경완 대표는 시상식에서 "현재 면역항암제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항암제로, 시장 규모만 해도 약 70조원에 달한다"면서도 "기존 면역항암제의 반응률은 10~20%에 불과해, 여전히 많은 환자가 치료 효과를 보지 못하는 현실"이라며 아쉬움을 표했다.
이어 그는 "넥스아이는 면역항암제의 불응성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다양한 모델을 구축해 왔으며, 암세포가 직접 분비하는 면역억제 인자를 차단하는 혁신적인 접근법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며 "이는 면역항암 치료의 한계를 뛰어넘을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윤 대표는 "NXI-101은 현재 임상 1상 진입을 위한 마지막 단계를 밟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온코카인 플랫폼을 확장해 5개 이상의 신규 항체 기반 신약을 개발할 계획이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아이엠바이오로직스도 2024년 기술수출상의 영예를 안았다. 아이엠바이오로직스는 OX40L과 TNF를 동시에 타깃하는 이중항체 기반 신약 후보물질 'IMB-101'을 개발해 지난해 6월과 8월 두 건의 기술수출 계약을 성사시켰다.
아이엠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6월 미국 네비게이터 메디신(Navigator Medicine)과 9억4000만 달러(약 1조3000억원)규모의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해당 거래의 계약금만 2000만 달러(약 290억원)며, 개발 및 상업화 단계에 따라 최대 9억2475만 달러(약 1조3500억원)를 받을 예정이다. 이어 8월 중국 화동제약(Huadong Medicine)과도 3억 달러(약 4380억원)규모의 추가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계약의 선급금은 800만 달러(약 116억원)다.
IMB-101은 혁신적인 이중항체 모달리티를 활용해 TNF를 타깃으로 염증성 사이토킨을 조절하는 동시에, OX40L을 표적해 면역세포 및 적응면역을 조절하는 기전을 갖추고 있다. IMB-101은 기존 치료제 대비 높은 유효성, 반응률, 뼈 손상 완화, 자가항체 생성 감소 및 안전성 개선 등의 강점을 지닌다. 특히 OX40-OX40L 신호 경로가 류머티스성 관절염, 아토피, 염증성 장질환 등 면역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향후 적응증 확장이 기대된다.
아이엠바이오로직스는 독자 개발한 '이펜디(ePENDY)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기존 IgG 항체 기반 모달리티와 달리, IgM 항체 기반 다중 결합기 항체 백본(Multivalent antibody backbone) 기술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IMB-101은 지난해 미국에서 임상 1상 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해당 임상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단회 투여 임상 1a와 환자 대상 반복 투여 임상 1b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형태로 진행됐다.
아이엠바이오로직스 하경식 대표는 시상식에서 "IMB-101은 임상 1a상에서 총 30명 대상 시험에서 약물 관련 부작용이 단 1건(Grade 1 수준)만 발생할 정도로 우수한 내약성과 안전성을 입증했다"며 "임상 1a는 성공적으로 완료됐으며, 현재 미국과 중국에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1b 진행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향후 2~3년 내 글로벌 임상 데이터를 확보한 뒤, 글로벌 빅파마와 추가 기술이전 협상을 진행할 계획"이라며 "또 한 번의 글로벌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아이엠바이오로직스는 현재 국내외 기업들과 함께 10개 이상의 파이프라인을 공동 연구개발 중이다.
항체하면 빼놓을 수 없는 국내 대표 기업인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다수의 항체 신약을 개발, 기술이전 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ABL001(CTX-009)’의 담도암 환자 대상 임상 2/3상 톱라인이 올해 상반기 내 공개될 예정이라 주목받고 있다.
ABL001은 2018년 11월 미국 컴퍼스 테라퓨틱스(Compass Therapeutics)에 4억1000만 달러(약 5990억원) 규모로 기술수출됐다. ABL001은 DLL4/VEGF 타깃 이중항체로, 혈관신생을 차단해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억제하는 기전을 가진다. 주요 적응증은 고형암(대장암, 담도암, 위암 등)이다.
또한 에이비엘바이오는 2022년 사노피에 뇌혈관장벽(BBB) 투과 플랫폼 '그랩바디-B(Grabody-B)'를 적용한 이중항체 파킨슨병 신약 후보 'ABL301'을 기술이전했다. 이 계약은 계약금 7500만 달러(약 1090억원)를 포함해 총 10억6000만 달러(약 1조5486억원) 규모로 체결돼, 에이비엘바이오의 글로벌 기술력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계기가 됐다. 현재 ABL301은 글로벌 임상 1상이 진행 중이다.
이 외에도 와이바이오로직스, 파멥신, 에이프릴바이오, 샤페론, 이수앱지스, 한올바이오파마, 지놈앤컴퍼니, 큐라클, 다안바이오테라퓨틱스, 노벨티노빌리티 등 여러 기업이 항체 기반 신약 개발에 집중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항체 기반 신약이 제약바이오 산업의 핵심으로 자리 잡으며, 국내 기업들도 빠르게 항체 신약 개발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과거에는 글로벌 기업들과 비교해 기술력에서 밀렸지만, 최근 몇 년 사이 눈에 띄는 성장을 이루며 글로벌 무대에서 존재감을 드러내고 있다. 실제 라이선스 계약과 임상시험 성과로 그 가치를 입증하며 시장의 주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항종양, 자가면역질환, 중추신경계 등 다양한 질환 영역에서 항체 신약을 개발하고 있다. 특히 특정 분야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질환에서 의미 있는 라이선스 아웃 성과를 거두고 있다. 이는 국내 기업들이 세계적 수준의 연구개발 역량을 확보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국내 항체 신약의 글로벌 경쟁력은 지난달 28일 서울 강남구 삼정호텔에서 열린 '대한민국신약개발상 시상식'에서도 확인됐다. 이날 기술수출상을 받은 기업 세 곳 중 두 곳이 항체 신약 개발 기업이었다. 넥스아이와 아이엠바이오로직스가 그 주인공이다.
넥스아이는 지난해 3월 일본 오노약품공업(Ono Pharmaceutical)에 계열 내 최초(First-in-class) 단일클론항체 신약 후보물질 'NXI-101'을 글로벌 기술수출하는 데 성공했다. 해당 거래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으나, 넥스아이는 반환 없는 선급금과 단계별 마일스톤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계약을 통해 오노약품공업은 NXI-101의 글로벌 임상 개발 및 상업화에 관한 모든 책임과 독점 권리를 보유하게 됐다. 넥스아이는 상업화 후 판매 로열티를 받기로 했다.
NXI-101은 넥스아이의 면역항암제 불응성 원인 인자 발굴 기술인 '온코카인(ONCOKINE)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됐다. NXI-101은 암세포가 면역항암제에 반응하지 않는 주요 원인인자 중 하나인 '온코카인-1(ONCOKINE-1)'을 타깃, 해당 기능을 저해하는 기전을 가진다.
넥스아이 윤경완 대표는 시상식에서 "현재 면역항암제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항암제로, 시장 규모만 해도 약 70조원에 달한다"면서도 "기존 면역항암제의 반응률은 10~20%에 불과해, 여전히 많은 환자가 치료 효과를 보지 못하는 현실"이라며 아쉬움을 표했다.
이어 그는 "넥스아이는 면역항암제의 불응성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다양한 모델을 구축해 왔으며, 암세포가 직접 분비하는 면역억제 인자를 차단하는 혁신적인 접근법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며 "이는 면역항암 치료의 한계를 뛰어넘을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윤 대표는 "NXI-101은 현재 임상 1상 진입을 위한 마지막 단계를 밟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온코카인 플랫폼을 확장해 5개 이상의 신규 항체 기반 신약을 개발할 계획이며,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아이엠바이오로직스도 2024년 기술수출상의 영예를 안았다. 아이엠바이오로직스는 OX40L과 TNF를 동시에 타깃하는 이중항체 기반 신약 후보물질 'IMB-101'을 개발해 지난해 6월과 8월 두 건의 기술수출 계약을 성사시켰다.
아이엠바이오로직스는 지난해 6월 미국 네비게이터 메디신(Navigator Medicine)과 9억4000만 달러(약 1조3000억원)규모의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해당 거래의 계약금만 2000만 달러(약 290억원)며, 개발 및 상업화 단계에 따라 최대 9억2475만 달러(약 1조3500억원)를 받을 예정이다. 이어 8월 중국 화동제약(Huadong Medicine)과도 3억 달러(약 4380억원)규모의 추가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했다. 이 계약의 선급금은 800만 달러(약 116억원)다.
IMB-101은 혁신적인 이중항체 모달리티를 활용해 TNF를 타깃으로 염증성 사이토킨을 조절하는 동시에, OX40L을 표적해 면역세포 및 적응면역을 조절하는 기전을 갖추고 있다. IMB-101은 기존 치료제 대비 높은 유효성, 반응률, 뼈 손상 완화, 자가항체 생성 감소 및 안전성 개선 등의 강점을 지닌다. 특히 OX40-OX40L 신호 경로가 류머티스성 관절염, 아토피, 염증성 장질환 등 면역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향후 적응증 확장이 기대된다.
아이엠바이오로직스는 독자 개발한 '이펜디(ePENDY)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기존 IgG 항체 기반 모달리티와 달리, IgM 항체 기반 다중 결합기 항체 백본(Multivalent antibody backbone) 기술을 적용한 것이 특징이다.
IMB-101은 지난해 미국에서 임상 1상 시험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 해당 임상은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한 단회 투여 임상 1a와 환자 대상 반복 투여 임상 1b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형태로 진행됐다.
아이엠바이오로직스 하경식 대표는 시상식에서 "IMB-101은 임상 1a상에서 총 30명 대상 시험에서 약물 관련 부작용이 단 1건(Grade 1 수준)만 발생할 정도로 우수한 내약성과 안전성을 입증했다"며 "임상 1a는 성공적으로 완료됐으며, 현재 미국과 중국에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1b 진행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향후 2~3년 내 글로벌 임상 데이터를 확보한 뒤, 글로벌 빅파마와 추가 기술이전 협상을 진행할 계획"이라며 "또 한 번의 글로벌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아이엠바이오로직스는 현재 국내외 기업들과 함께 10개 이상의 파이프라인을 공동 연구개발 중이다.
항체하면 빼놓을 수 없는 국내 대표 기업인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다수의 항체 신약을 개발, 기술이전 하는 데 성공했다. 특히 ‘ABL001(CTX-009)’의 담도암 환자 대상 임상 2/3상 톱라인이 올해 상반기 내 공개될 예정이라 주목받고 있다.
ABL001은 2018년 11월 미국 컴퍼스 테라퓨틱스(Compass Therapeutics)에 4억1000만 달러(약 5990억원) 규모로 기술수출됐다. ABL001은 DLL4/VEGF 타깃 이중항체로, 혈관신생을 차단해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를 억제하는 기전을 가진다. 주요 적응증은 고형암(대장암, 담도암, 위암 등)이다.
또한 에이비엘바이오는 2022년 사노피에 뇌혈관장벽(BBB) 투과 플랫폼 '그랩바디-B(Grabody-B)'를 적용한 이중항체 파킨슨병 신약 후보 'ABL301'을 기술이전했다. 이 계약은 계약금 7500만 달러(약 1090억원)를 포함해 총 10억6000만 달러(약 1조5486억원) 규모로 체결돼, 에이비엘바이오의 글로벌 기술력을 다시 한번 입증하는 계기가 됐다. 현재 ABL301은 글로벌 임상 1상이 진행 중이다.
이 외에도 와이바이오로직스, 파멥신, 에이프릴바이오, 샤페론, 이수앱지스, 한올바이오파마, 지놈앤컴퍼니, 큐라클, 다안바이오테라퓨틱스, 노벨티노빌리티 등 여러 기업이 항체 기반 신약 개발에 집중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