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바이오의 니클로사마이드 기반 항바이러스제 제프티(Xafty) 코로나19 전임상·임상 결과'를 토대로 단국대 의과대학 최진호 교수 연구팀 등(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지능형나노바이오소재연구센터 연구팀: 최진호 석좌교수, N. Sanoj Rejinold 교수, 최고은 교수 / 생명공학연구원 연구팀: 류영배·권형준·이인철 박사 / 한양대학교 약학대학 유혜현 교수 / 현대바이오사이언스 진근우 부사장) 공동 연구논문(The Next Generation COVID-19 Antiviral; Niclosamide-Based Inorganic Nanohybrid System Kills SARS-CoV-2 / 차세대 COVID-19 항바이러스제; 니클로사마이드 기반의 무기 나노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코로나19를 사멸시킴)이 2024년 9월 26일 발행된 Small지 커버논문으로 선정·게재됐다. Small지는 피인용지수(Impact Factor)가 13.0인 나노기술 분야 국제 저명 과학 저널이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현재 승인된 코로나19 치료제는 모두 바이러스 표적 항바이러스제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돌연변이를 일으키면 항바이러스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세포 자가포식 작용으로 코로나19, 메르스, 에볼라, 지카 등 각종 바이러스 및 그 변이 바이러스에 범용적으로 항바이러스 효능을 갖는 물질인 니클로사마이드를 기반으로 하는 범용 항바이러스제가 개발돼야 한다고 밝혔다.
또 니클로사마이드는 그 성질상 입자가 서로 뭉쳐서 큰 덩어리를 이루기 때문에, 소화기관 막을 통과하기 힘들어 생체 내 흡수율이 낮고 혈중 유효약물농도 유지시간이 짧지만, 현대바이오는 '나노공학을 접목한 약물전달체 특허기술'로 니클로사마이드를 나노화해 니클로사마이드가 생체 내 흡수가 잘 되도록 함과 동시에 혈중 유효약물농도가 장시간 유지되도록 하여 항바이러스제 ‘제프티’를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제프티는 코로나19 임상시험을 통해 니클로사마이드의 한계인 '낮은 흡수율'과 '짧은 혈중 유효약물농도 유지시간' 문제를 극복했음이 확인됐고, 제프티 이 임상시험 결과는 '세포실험을 통해 니클로사마이드가 특정 바이러스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프티가 사람의 그 바이러스 감염증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현대바이오에 따르면 코로나19 임상을 통해 안전성과 코로나19 증상 개선 유효성을 입증했고, 현재 고위험군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코로나19 임상3상 절차를 진행 중이다. 또 지난 9월 미국 캘리포니아 샌디에고대학(UCSD: University of California-San Diego) 스미스 교수(Dr. David Smith) 연구팀과 '제프티의 롱코비드 연구자임상'을 실시하기로 했고, 베트남 국립열대병병원과 모기 매개 바이러스인 뎅기·지카·치쿤구니야는 물론 코로나19·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등 계열과 종을 달리하는 여러 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범용 항바이러스제 제프티의 바스켓임상을 실시키로 했다.
최진호 석좌교수는 "나노공학으로 니클로사마이드 흡수율을 개선해 탄생한 제프티는 코로나19는 물론 미래 팬데믹을 초래할 수 있는 여러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하는 혁신적인 범용항바이러스제"라고 밝혔다.
진근우 현대바이오 부사장은 "코로나19 임상3상과 베트남에서 실시하기로 한 뎅기·지카·치쿤구니야·인플루엔자A 등 여러 바이러스 감염증 환자 대상 바스켓임상을 신속히 추진해, 치료제 제프티 하나로 여러 바이러스 감염증을 동시에 치료하는 범용항바이러스제 시대를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메지온,'유데나필' 폰탄 치료제 적응증 확대 미국 FDA 추가임상 '순항' |
2 | "나 지금 떨고 있니?" FDA '보완요구서한(CRL)' 공개에 기업은 긴장 투자자는 환영 |
3 | 아마존 프라임데이 뷰티 부문 매출 1위 '메디큐브' |
4 | 케어젠, 먹는 GLP-1 펩타이드 ‘코글루타이드’ 에콰도르 등록 완료 |
5 | "신약개발 실패, 이유는 현장 단절" 바이오의약공방, 임상 수요 기반 모델 제시 |
6 | 의약품유통업계 "지출보고서 정정,기준 없는 책임 전가..금융비용,리베이트 오인" |
7 | 프리시젼바이오, 씨티바이오와 면역 진단 제품 기술협력 계약 |
8 | 정은경 “‘불법 리베이트 근절’ 제도 보완해야…‘성분명처방’ 도입 협의 필요” |
9 | "30분의 1 용량, 수년간 효과" 뉴라클제네틱스 'NG101' 12조 아일리아 뛰어넘나 |
10 | “합성제제 부작용 넘는다”…천연물 기반 GLP-1 등장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현대바이오의 니클로사마이드 기반 항바이러스제 제프티(Xafty) 코로나19 전임상·임상 결과'를 토대로 단국대 의과대학 최진호 교수 연구팀 등(단국대학교 의과대학 지능형나노바이오소재연구센터 연구팀: 최진호 석좌교수, N. Sanoj Rejinold 교수, 최고은 교수 / 생명공학연구원 연구팀: 류영배·권형준·이인철 박사 / 한양대학교 약학대학 유혜현 교수 / 현대바이오사이언스 진근우 부사장) 공동 연구논문(The Next Generation COVID-19 Antiviral; Niclosamide-Based Inorganic Nanohybrid System Kills SARS-CoV-2 / 차세대 COVID-19 항바이러스제; 니클로사마이드 기반의 무기 나노하이브리드 시스템이 코로나19를 사멸시킴)이 2024년 9월 26일 발행된 Small지 커버논문으로 선정·게재됐다. Small지는 피인용지수(Impact Factor)가 13.0인 나노기술 분야 국제 저명 과학 저널이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현재 승인된 코로나19 치료제는 모두 바이러스 표적 항바이러스제기 때문에 바이러스가 돌연변이를 일으키면 항바이러스 효과가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세포 자가포식 작용으로 코로나19, 메르스, 에볼라, 지카 등 각종 바이러스 및 그 변이 바이러스에 범용적으로 항바이러스 효능을 갖는 물질인 니클로사마이드를 기반으로 하는 범용 항바이러스제가 개발돼야 한다고 밝혔다.
또 니클로사마이드는 그 성질상 입자가 서로 뭉쳐서 큰 덩어리를 이루기 때문에, 소화기관 막을 통과하기 힘들어 생체 내 흡수율이 낮고 혈중 유효약물농도 유지시간이 짧지만, 현대바이오는 '나노공학을 접목한 약물전달체 특허기술'로 니클로사마이드를 나노화해 니클로사마이드가 생체 내 흡수가 잘 되도록 함과 동시에 혈중 유효약물농도가 장시간 유지되도록 하여 항바이러스제 ‘제프티’를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제프티는 코로나19 임상시험을 통해 니클로사마이드의 한계인 '낮은 흡수율'과 '짧은 혈중 유효약물농도 유지시간' 문제를 극복했음이 확인됐고, 제프티 이 임상시험 결과는 '세포실험을 통해 니클로사마이드가 특정 바이러스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프티가 사람의 그 바이러스 감염증도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현대바이오에 따르면 코로나19 임상을 통해 안전성과 코로나19 증상 개선 유효성을 입증했고, 현재 고위험군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코로나19 임상3상 절차를 진행 중이다. 또 지난 9월 미국 캘리포니아 샌디에고대학(UCSD: University of California-San Diego) 스미스 교수(Dr. David Smith) 연구팀과 '제프티의 롱코비드 연구자임상'을 실시하기로 했고, 베트남 국립열대병병원과 모기 매개 바이러스인 뎅기·지카·치쿤구니야는 물론 코로나19·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등 계열과 종을 달리하는 여러 바이러스 감염증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범용 항바이러스제 제프티의 바스켓임상을 실시키로 했다.
최진호 석좌교수는 "나노공학으로 니클로사마이드 흡수율을 개선해 탄생한 제프티는 코로나19는 물론 미래 팬데믹을 초래할 수 있는 여러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증을 치료하는 혁신적인 범용항바이러스제"라고 밝혔다.
진근우 현대바이오 부사장은 "코로나19 임상3상과 베트남에서 실시하기로 한 뎅기·지카·치쿤구니야·인플루엔자A 등 여러 바이러스 감염증 환자 대상 바스켓임상을 신속히 추진해, 치료제 제프티 하나로 여러 바이러스 감염증을 동시에 치료하는 범용항바이러스제 시대를 앞당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