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근육통 치료제 시장이 2024~2034년 기간 동안 연평균 3.8% 준수한 확대 추세를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지난해 19억 달러 규모를 형성한 글로벌 섬유근육통 치료제 마켓이 오는 2034년에 이르면 29억 달러 볼륨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이다.
미국 델라웨어州 윌밍턴에 소재한 시장조사기관 트랜스페어런시 마켓 리서치社(Transparency market Research)는 15일 공개한 ‘섬유근육통 치료제 시장’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섬유근육통 치료제 시장은 이 만성 통증장애 증상에 대한 인식도의 향상과 진단률 증가에 힘입어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골격계 통증과 피로, 수면장애 및 인지력 문제 등을 수반하는 섬유근육통은 세계 각국에 다수의 환자들이 존재하는 가운데 여성들에게서 발병률이 훨씬 높게 나타나고 있는 추세이다.
섬유근육통은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지 못했지만, 유전적‧환경적 요인들과 심리적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면서 뇌와 척수 내부에서 비정상적인 통증절차가 진행되는 것으로 사료되고 있다.
기존의 섬유근육통 치료제들은 증상들을 완화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주안점이 두어지고 있을 뿐, 완치요법제는 부재한 형편이다.
현재 섬유근육통 치료제 시장은 약리학적 치료제와 비 약리학적 치료제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약리학적 치료제들로는 진통제, 항우울제, 항경련제 및 근육이완제 등이 꼽히고 있는데, 이 같은 약물들은 통증을 관리하고 기분장애와 수면장애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리리카’(프레가발린), ‘심발타’(둘록세틴) 및 ‘익셀’(밀나시프란) 등이 광범위하게 처방되면서 섬유근육통에 수반되는 증상들을 완화시키는 데 효능을 나타내고 있다.
비 약리학적 치료제들의 경우 포괄적인 섬유근육통 관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물리치료, 운동 프로그램, 인지-행동 치료(CBT) 및 스트레스 관리기술 등이 섬유근육통 환자들에게 빈도높게 권고되고 있다.
규칙적인 운동과 건강한 식생활, 충분한 수면 등의 라이프스타일 개선 또한 섬유근육통을 치료하는 데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포함되고 있다.
섬유근육통을 치료하는 약물들로 생물학적 제제들과 모노클로날 항체, 기타 새로운 계열의 신약들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치료효과의 개선을 기대케 해 주고 있다.
여기에 원격의료, 모바일 헬스 애플리케이션 등의 디지털 건강 기술들이 결합되면서 환자들의 증상관리를 돕고 있고, 자연스럽게 섬유근육통 치료제 시장이 확대되는 데 기폭제 역할을 하고 있다.
글로벌 섬유근육통 치료제 시장에서 지난해 최대의 마켓셰어를 점유한 지역은 북미시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시장은 오는 2034년까지도 현재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섬유근육통 치료제 시장에서 아시아‧태평양시장은 중국과 인도 등의 의료 인프라 향상에 힘입어 마켓셰어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아울러 중국과 인도의 제네릭 제약사들이 볼륨확대에 힘을 보태고 있다.
통계자료에 따르면 미국 내 섬유근육통 환자 수가 50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이 중 80~90%가 여성환자들일 것으로 사료되고 있다.
섬유근육통을 치료하는 데 비 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들(NSAIDs)은 권고되지 않고 있다.
주요한 섬유근육통 치료제 발매 제약사들은 마켓셰어를 유지하고 존재감을 끌어올리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예를 들면 일라이 릴리社는 지난 2021년 12월 섬유근육통을 치료하는 데 ‘엠겔러티’(갈카네주맙)이 나타내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본임상 시험의 막바지 단계에 돌입했다.
원래 ‘엠겔러티’는 군발성 두통과 편두통을 치료하는 용도로 허가를 취득한 제품이다.
이밖에 ‘SP-104’의 임상 1상 시험에서 도출된 자료를 보면 건강한 피험자들에게서 속효성 날트렉손을 사용한 대조그룹에 비해 부작용이 수반된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한편 지난해 화이자社는 신경성장인자(NGF)를 표적으로 작용하는 모노클로날 항체의 일종인 타네주맙(tanezumab)의 개발에 괄목할 만한 진전을 일궈내면서 섬유근육통 치료제 시장의 기대주로 주목받고 있다.
타네주맙은 임상시험에서 섬유근육통과 관련된 통증을 감소시키는 데 괄목할 만한 효능이 입증되면서 기존의 치료제들에 반응을 나타내지 않는 환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를 싣게 하고 있다.
일라이 릴리社는 지난해 ‘엠겔러티’를 섬유근육통 치료제로도 선보이기 위한 혁신을 지속하면서 기대치를 끌어올리게 했다.
‘엠겔러티’는 초기임상에서 섬유근육통 환자들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임이 시사됐다.
이에 따라 ‘엠겔러티’는 장차 유망하고 새로운 섬유근육통 치료제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플랫폼 기술'로 초대박 친 '에이비엘바이오' 앞날이 더 기대되는 이유 |
2 | 코스피 제약바이오 지난해 순이익 증가율 톱5 '삼진 파미셀 보령 JW중외 JW생명' |
3 | 온코크로스, AACR서 췌장암 치료제 ‘OC212e’ 전임상 성과 첫 공개 |
4 | 메지온 “국제질병분류 개정판, 폰탄 관련 질환코드 처음 발표” |
5 | 지난해 코스피 제약바이오 연구개발비 톱5 ‘셀트리온 삼성바이오 대웅 유한 한미’ |
6 | "R&D 삭감에 제약바이오는 무너졌다" 과학 살릴 다음 대통령은 누구인가? |
7 | 뉴로바이오젠, 美사이렉스바이오에 '티솔라질린' 6.5조 규모 L/O 성공 |
8 | [약업닷컴 분석] 3월 바이오 '3상 8건'…항암제·보톡스·CAR-T까지 임상 승인 러시 |
9 | 지난해 코스피 제약바이오 상품매출 톱5 ‘광동제약 유한양행 종근당 GC녹십자 보령’ |
10 | 화장품 기업 74개사 2024년 순이익 평균 305억…전년比 58.6%↑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섬유근육통 치료제 시장이 2024~2034년 기간 동안 연평균 3.8% 준수한 확대 추세를 이어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지난해 19억 달러 규모를 형성한 글로벌 섬유근육통 치료제 마켓이 오는 2034년에 이르면 29억 달러 볼륨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이다.
미국 델라웨어州 윌밍턴에 소재한 시장조사기관 트랜스페어런시 마켓 리서치社(Transparency market Research)는 15일 공개한 ‘섬유근육통 치료제 시장’ 보고서에서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섬유근육통 치료제 시장은 이 만성 통증장애 증상에 대한 인식도의 향상과 진단률 증가에 힘입어 괄목할 만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골격계 통증과 피로, 수면장애 및 인지력 문제 등을 수반하는 섬유근육통은 세계 각국에 다수의 환자들이 존재하는 가운데 여성들에게서 발병률이 훨씬 높게 나타나고 있는 추세이다.
섬유근육통은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지 못했지만, 유전적‧환경적 요인들과 심리적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면서 뇌와 척수 내부에서 비정상적인 통증절차가 진행되는 것으로 사료되고 있다.
기존의 섬유근육통 치료제들은 증상들을 완화하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주안점이 두어지고 있을 뿐, 완치요법제는 부재한 형편이다.
현재 섬유근육통 치료제 시장은 약리학적 치료제와 비 약리학적 치료제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약리학적 치료제들로는 진통제, 항우울제, 항경련제 및 근육이완제 등이 꼽히고 있는데, 이 같은 약물들은 통증을 관리하고 기분장애와 수면장애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리리카’(프레가발린), ‘심발타’(둘록세틴) 및 ‘익셀’(밀나시프란) 등이 광범위하게 처방되면서 섬유근육통에 수반되는 증상들을 완화시키는 데 효능을 나타내고 있다.
비 약리학적 치료제들의 경우 포괄적인 섬유근육통 관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물리치료, 운동 프로그램, 인지-행동 치료(CBT) 및 스트레스 관리기술 등이 섬유근육통 환자들에게 빈도높게 권고되고 있다.
규칙적인 운동과 건강한 식생활, 충분한 수면 등의 라이프스타일 개선 또한 섬유근육통을 치료하는 데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포함되고 있다.
섬유근육통을 치료하는 약물들로 생물학적 제제들과 모노클로날 항체, 기타 새로운 계열의 신약들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치료효과의 개선을 기대케 해 주고 있다.
여기에 원격의료, 모바일 헬스 애플리케이션 등의 디지털 건강 기술들이 결합되면서 환자들의 증상관리를 돕고 있고, 자연스럽게 섬유근육통 치료제 시장이 확대되는 데 기폭제 역할을 하고 있다.
글로벌 섬유근육통 치료제 시장에서 지난해 최대의 마켓셰어를 점유한 지역은 북미시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북미시장은 오는 2034년까지도 현재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섬유근육통 치료제 시장에서 아시아‧태평양시장은 중국과 인도 등의 의료 인프라 향상에 힘입어 마켓셰어가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아울러 중국과 인도의 제네릭 제약사들이 볼륨확대에 힘을 보태고 있다.
통계자료에 따르면 미국 내 섬유근육통 환자 수가 500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이 중 80~90%가 여성환자들일 것으로 사료되고 있다.
섬유근육통을 치료하는 데 비 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들(NSAIDs)은 권고되지 않고 있다.
주요한 섬유근육통 치료제 발매 제약사들은 마켓셰어를 유지하고 존재감을 끌어올리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예를 들면 일라이 릴리社는 지난 2021년 12월 섬유근육통을 치료하는 데 ‘엠겔러티’(갈카네주맙)이 나타내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본임상 시험의 막바지 단계에 돌입했다.
원래 ‘엠겔러티’는 군발성 두통과 편두통을 치료하는 용도로 허가를 취득한 제품이다.
이밖에 ‘SP-104’의 임상 1상 시험에서 도출된 자료를 보면 건강한 피험자들에게서 속효성 날트렉손을 사용한 대조그룹에 비해 부작용이 수반된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한편 지난해 화이자社는 신경성장인자(NGF)를 표적으로 작용하는 모노클로날 항체의 일종인 타네주맙(tanezumab)의 개발에 괄목할 만한 진전을 일궈내면서 섬유근육통 치료제 시장의 기대주로 주목받고 있다.
타네주맙은 임상시험에서 섬유근육통과 관련된 통증을 감소시키는 데 괄목할 만한 효능이 입증되면서 기존의 치료제들에 반응을 나타내지 않는 환자들에게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에 무게를 싣게 하고 있다.
일라이 릴리社는 지난해 ‘엠겔러티’를 섬유근육통 치료제로도 선보이기 위한 혁신을 지속하면서 기대치를 끌어올리게 했다.
‘엠겔러티’는 초기임상에서 섬유근육통 환자들의 통증을 완화시키고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임이 시사됐다.
이에 따라 ‘엠겔러티’는 장차 유망하고 새로운 섬유근육통 치료제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