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멥신이 습성황반변성 치료제 후보물질 ‘PMC-403’ 임상 1상에서 세 번째 용량군(3mg) 단회 투여에 대한 안전성 검토위원회(Safety Review Committee, SRC)
승인을 받았다고 2일 밝혔다.
황반변성 치료제 후보물질 'PMC-403'은 TIE-2 활성 항체로 비정상적인 혈관을 안정화하는 기전을 갖고 있다. TIE-2는 내피세포에 발현하는 세포 표면 수용체로, 신생혈관 생성과 세포 간 부착을 정상화하는 역할을 한다.
해당 임상 1상은 신생혈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회사는 이번 안전성 검토위원회 결정으로 단회 투여 최고 용량군(4mg)과 반복 투여 첫 번째 용량군(MAD 3mg)으로 증량이 결정된 만큼, 1상 임상시험에서 한 단계 진전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파멥신 이원섭 연구소장은 "습성 황반변성 환자들은 항-VEGF 표준 치료제에도 불구하고 시력 저하와 망막 혈관 누수가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며 "이들에게 혁신적인 신약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이번 임상 1상에서 최종 안전성이 확인되면, 임상 2상으로 진입 가능성도 높아져, 치료제가 상용화될 수 있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황반변성은 망막 노화로 발생하는 실명 질환으로, 시신경 조직인 황반의 비정상적 혈관이 원인이다. 인구 고령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황반변성 환자 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현재 표준치료제인 항-VEGF 억제제만으로는 완전한 치료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새로운 기전 치료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파로스아이바이오 "PHI-501, 기존 폐암치료제 내성 암세포 증식 강력 억제 확인" |
2 | 큐리옥스,영국 정부 프로젝트 주도 바이오테크 기업에 'Pluto' 판매 |
3 | 지난해 12월 상장 제약바이오 총차입금의존도 평균, 코스피 21.73%‧코스닥 21.95% |
4 | "강스템바이오텍, 골관절염 신약 '오스카' 1상 성공…근본 치료 가능성 입증" |
5 | “한미로 걸려온 '키닥터' 전화”…블록버스터 제품 개발로 이어졌다 |
6 | [인터뷰] "마약 예방부터 재활까지…국민 신뢰받는 공공기관으로" |
7 | [전문가 칼럼] 혁신 제품 넘쳐나는 중국…저가 공세로는 승산 없어 |
8 | 현대약품 ‘하이페질정 3mg’,고령·저체중 치매 환자 치료옵션 확대 |
9 | 올릭스, 한소 기술수출 GalNAc 기반 치료제 옵션 1종 첫 마일스톤 수령 |
10 | 박셀바이오,수도권 R&D 허브 개소..표적률 높인 고형암 세포치료제 등 개발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파멥신이 습성황반변성 치료제 후보물질 ‘PMC-403’ 임상 1상에서 세 번째 용량군(3mg) 단회 투여에 대한 안전성 검토위원회(Safety Review Committee, SRC)
승인을 받았다고 2일 밝혔다.
황반변성 치료제 후보물질 'PMC-403'은 TIE-2 활성 항체로 비정상적인 혈관을 안정화하는 기전을 갖고 있다. TIE-2는 내피세포에 발현하는 세포 표면 수용체로, 신생혈관 생성과 세포 간 부착을 정상화하는 역할을 한다.
해당 임상 1상은 신생혈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다.
회사는 이번 안전성 검토위원회 결정으로 단회 투여 최고 용량군(4mg)과 반복 투여 첫 번째 용량군(MAD 3mg)으로 증량이 결정된 만큼, 1상 임상시험에서 한 단계 진전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파멥신 이원섭 연구소장은 "습성 황반변성 환자들은 항-VEGF 표준 치료제에도 불구하고 시력 저하와 망막 혈관 누수가 지속되는 경우가 많다"며 "이들에게 혁신적인 신약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이번 임상 1상에서 최종 안전성이 확인되면, 임상 2상으로 진입 가능성도 높아져, 치료제가 상용화될 수 있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황반변성은 망막 노화로 발생하는 실명 질환으로, 시신경 조직인 황반의 비정상적 혈관이 원인이다. 인구 고령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황반변성 환자 수가 급증하고 있으며, 현재 표준치료제인 항-VEGF 억제제만으로는 완전한 치료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따라 새로운 기전 치료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