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FDA,올 상반기까지 총 56개 바이오시밀러 허가...한국 '2위'
지난해까지 45개서 올 상반기 삼성바이오에피스 'Pyzchiva' 등 11개 허가
미국 24개-한국 12개-스위스 6개 ...인터체인저블 바이오시밀러 13개 허가
최다 허가 바이오시밀러 '휴미라' 10개...허셉틴 뉴라스타 각 6개, 아바스틴 5개
입력 2024.07.02 09:51 수정 2024.07.02 09:52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미국 FDA가 2024년 상반기까지 총 56개 바이오시밀러를 허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한국바이오협회 바이어경제연구센터가 '미국 FDA Biosimilar Product Information'(7월 2일), '미국 FDA 바이오시밀러 허가 현황'(‘24.7.1기준)을 바탕으로   2일  낸 이슈 브리핑에 따르면  미국 FDA는 6월 28일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Pyzchiva', 대만 Tanvex BioPharma의 뉴포젠 바이오시밀러 'Nypozi', 독일 Formycon의 아일리아 바이오시밀러 ' Ahzantive' 등 3개 바이오시밀러를 허가했다.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로는 3번째, 뉴포젠 바이오시밀러로는 4번째, 아일리아 바이오 시밀러로는 2번째 허가다. 이에 따라 2024년 6월말까지 총 56개 바이오시밀러가 FDA로부터 허가받았다. 

바이오시밀러는 2023년 말까지 45개가 허가됐으며, 올해 상반기에만 11개가 허가됐다. 

총 56개 바이오시밀러 중 인터체인저블 바이오시밀러로 13개가 허가 지정됐다. 

그간 미국, 한국, 스위스, 독일 등이 주도했으나 최근 인도, 아이슬란드, 중국 등 새로운 국가 소재 기업들이 허가를 받았다.( 국가별 FDA 바이오시밀러 허가 개수 : 미국 24, 한국 12, 스위스 6, 독일 5, 인도 5, 아이슬란드 2, 중국 1, 대만 1)

이중 인도 기업은 미국 마일란(Mylan)을 인수함으로써 마일란이 허가받은 제품 4개와 자체적으로 1개를 허가받아 총 5개를 보유하게 됐다. 

현재까지 가장 많이 허가된 바이오시밀러는 휴미라로 총 10개 바이오시밀러가 허가받았고, 허셉틴과 뉴라스타 바이오시밀러가 각각 6개,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는
5개가 허가받았다.  

반면, 솔리리스, 프롤리아/엑스지바, 티사브리, 에포젠에 대한 바이오시밀러는 각각 1개만 허가받았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P-CAB으로 보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의 새로운 방향
[인터뷰] AI, 신약 개발 핵심으로…AI신약융합연구원, 경쟁력 강화 박차
한국약제학회 조혜영 회장 "연구와 산업 잇는 혁신적 허브 목표"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미국 FDA,올 상반기까지 총 56개 바이오시밀러 허가...한국 '2위'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미국 FDA,올 상반기까지 총 56개 바이오시밀러 허가...한국 '2위'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