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Z 야간 혈색소뇨증 신약 '보이데야' 허가
ALPHA 3상 임상 통해 헤모글로빈 농도 증가·수혈 회피 가능성 등 위약 대비 우월성 확인
성인 PNH 환자 대상 라불리주맙 또는 에쿨리주맙 부가 요법 허가
입력 2024.07.01 09:45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한국아스트라제네카(대표 전세환)는 자사의 경구용 D인자 저해제 보이데야(다니코판)가 지난 6월 2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성인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aroxysmal Nocturnal Hemoglobinuria) 환자의 혈관 외 용혈 치료를 위한 부가 요법으로 허가를 받았다고 1일 밝혔다.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PNH)는 유전자 돌연변이에 의해 나타나는 희귀질환으로, 용혈 및 혈전증으로 인해 빈혈, 피로, 헤모글로빈뇨 등이 나타나며,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치료는 혈관 내 용혈과 혈전증을 감소시킬 수 있는 C5 억제제인 라불리주맙 또는 에쿨리주맙을 통해 이뤄지는데, 치료 과정에서 결함이 있는 적혈구가 C3에 축적될 경우 혈관 외 용혈이 발생할 수 있다. 혈관 외 용혈은 빈혈 및 수혈이 요구되며, 수혈이 필요한 심각한 혈관 외 용혈은 PNH 환자 10명 중 1~2명이 경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이데야는 최초의 경구용 D인자 억제제로 이번 식약처 허가를 통해 기존에 C5 억제제(라불리주맙 또는 에쿨리주맙)를 투여 중인 PNH 환자에서 혈관외용혈(Extravascular Hemolysis) 증상이나 징후가 있는 경우, 울토미리스(라불리주맙) 혹은 솔리리스(에쿨리주맙)에 부가 요법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됐다.

식약처 허가는 라불리주맙 또는 에쿨리주맙 치료를 시행한 성인 PNH 환자 중 유의미한 혈관 외 용혈이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보이데야 추가 요법의 우월성을 확인한 무작위, 이중맹검, 다기관 3상 임상 ALPHA연구가 바탕이 됐다.

연구 결과, 보이데야는 1, 2차 평가변수를 모두 충족한 것으로 확인됐다.

1차 평가변수인 베이스라인 대비 12주차 헤모글로빈 농도 변화에서 보이데야는 2.94g/dL, 위약은 0·50g/dL으로 나타났으며, 보이데야와 위약 간의 LSM 차이 는 2.44g/dL였다. 특히 보이데야와 위약 간의 평균 헤모글로빈 농도 차이는 치료 1주차부터 나타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보이데야는 수혈 없이 12주차 헤모글로빈이 2g/dL 이상 증가한 환자의 비율이 60%(42명 중 25명)에 달한 반면, 위약은 0명에 그쳤다. 치료 12주차까지 수혈을 회피한 환자 비율 역시 보이데야가 83%(42명 중 35명), 위약은 38%(21명 중 8명)로 나타났다. 피로도를 평가하는 FACIT-Fatigue에서 보이데야는 베이스라인 대비 7.97점 감소, 위약은 1.85점 감소했다. 임상 기간 동안 가장 흔한 이상반응은 두통이었으며, 약물 관련 심각한 이상반응은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인터뷰] “반항하라, 그리고 너만의 길을 걸어라”
파브리병 '조기 진단'과 '효소 대체 요법'…"합병증 예방의 '열쇠'"
P-CAB으로 보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의 새로운 방향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AZ 야간 혈색소뇨증 신약 '보이데야' 허가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산업]AZ 야간 혈색소뇨증 신약 '보이데야' 허가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