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포스트(대표 오원일)는 올 들어 위탁개발생산(CDMO) 수주계약 2건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공장 가동에 나섰다고 19일 밝혔다. 회사는 이번 계약을 토대로 추가적인 계약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메디포스트는 앞서 지난 2022년 말 GMP생산시설 내 CDMO 전용 클린룸 및 생산시설 등을 마련하고 CDMO 사업에 진출한다고 밝혔다.
이번 수주계약 두 건은 면역세포치료제 임상시험용의약품 위탁생산과 인체 제대혈 세포배양액 공급계약으로 총 금액 20억원 규모다. 비밀유지계약에 따라 고객사명은 공개되지 않았다.
메디포스트에 따르면 회사 차별화된 경쟁력은 세계 최초 동종 줄기세포치료제 카티스템의 전주기 개발 노하우 및 20년 넘는 GMP 운영을 통한 숙련된 인적자원과 풍부한 경험이다. 또 최고 수준 줄기세포 선별 및 대량 배양 기술과 다수의 협력 병원을 확보하고 있어 바이오 의약품 원료를 수급하는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M&A를 통해 인수한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전문기업인 캐나다 옴니아바이오 (OmniaBio) 와 시너지도 강점이다. 옴니아바이오는 자가·동종세포 치료제, 유전자 치료제, 바이럴 벡터 등 다양한 공정개발 (PD: Process Development) 역량과 cGMP 시설의 생산 플랫폼 및 생산 품질의 관리와 유지를 위한 QMS (Quality Management System) 및 기타 지적재산권 등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북미지역 세포 및 유전자치료제 개발 고객사를 다수 확보하고 있다.
또 메디포스트는 CDMO 해외사업 진출 및 본격화를 위해 지난 2022년 옴니아바이오에 6천만 캐나다달러(약 600억원) 규모 전환사채 투자를 결정, 투자금으로 2025년까지 총 면적 약 10,000㎡ 규모 연구시설 및 cGMP 수준 생산시설을 증설 중이다.
메디포스트 관계자는 “이번 CDMO 수주는 메디포스트 노하우를 인정받아 성사된 계약으로 고무적”이라며 “현재 국내 다른 고객사와 CDMO 계약을 추가 논의 중인 만큼 CDMO 사업 부문에서 지속적인 계약을 성사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블록버스터' 특허절벽! ‘키트루다’도 가고 ‘다잘렉스’도 가고.. |
2 | 강스템바이오텍,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 융복합제제’ 미국 특허 등록 |
3 | 국힘, 정은경 ‘송곳검증’ 예고…복지부 장관 임명 ‘산 넘어 산’ |
4 | 한국바이오협회, 산자부 '탄소순환플랫폼’ 사업 총괄주관기관 선정 |
5 | 건기식 판매 약국 안전위생교육 의무화…면허 미신고 땐 효력 정지 |
6 | K-뷰티서 출발한 '푸디피케이션', 글로벌 브랜드 전략 됐다 |
7 | 지니너스, 에이비엘바이오와 유전체 AI 솔루션 공급계약 체결 |
8 | 비타민C, 일본서 ‘데일리 성분’으로 |
9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일본 의약 전문 유통사 Summit과 업무협약 체결 |
10 | AI 챗봇부터 돌봄 조례까지…서울시약사회, 약사 정책 추진 박차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메디포스트(대표 오원일)는 올 들어 위탁개발생산(CDMO) 수주계약 2건을 체결하고 본격적인 공장 가동에 나섰다고 19일 밝혔다. 회사는 이번 계약을 토대로 추가적인 계약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메디포스트는 앞서 지난 2022년 말 GMP생산시설 내 CDMO 전용 클린룸 및 생산시설 등을 마련하고 CDMO 사업에 진출한다고 밝혔다.
이번 수주계약 두 건은 면역세포치료제 임상시험용의약품 위탁생산과 인체 제대혈 세포배양액 공급계약으로 총 금액 20억원 규모다. 비밀유지계약에 따라 고객사명은 공개되지 않았다.
메디포스트에 따르면 회사 차별화된 경쟁력은 세계 최초 동종 줄기세포치료제 카티스템의 전주기 개발 노하우 및 20년 넘는 GMP 운영을 통한 숙련된 인적자원과 풍부한 경험이다. 또 최고 수준 줄기세포 선별 및 대량 배양 기술과 다수의 협력 병원을 확보하고 있어 바이오 의약품 원료를 수급하는데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M&A를 통해 인수한 세포유전자치료제 CDMO 전문기업인 캐나다 옴니아바이오 (OmniaBio) 와 시너지도 강점이다. 옴니아바이오는 자가·동종세포 치료제, 유전자 치료제, 바이럴 벡터 등 다양한 공정개발 (PD: Process Development) 역량과 cGMP 시설의 생산 플랫폼 및 생산 품질의 관리와 유지를 위한 QMS (Quality Management System) 및 기타 지적재산권 등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 북미지역 세포 및 유전자치료제 개발 고객사를 다수 확보하고 있다.
또 메디포스트는 CDMO 해외사업 진출 및 본격화를 위해 지난 2022년 옴니아바이오에 6천만 캐나다달러(약 600억원) 규모 전환사채 투자를 결정, 투자금으로 2025년까지 총 면적 약 10,000㎡ 규모 연구시설 및 cGMP 수준 생산시설을 증설 중이다.
메디포스트 관계자는 “이번 CDMO 수주는 메디포스트 노하우를 인정받아 성사된 계약으로 고무적”이라며 “현재 국내 다른 고객사와 CDMO 계약을 추가 논의 중인 만큼 CDMO 사업 부문에서 지속적인 계약을 성사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