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를 개발중인 HLB 미국 계열사 베리스모(Verismo Therapeutics)가 재발성/불응성 비호지킨 림프종 치료제 ‘SynKIR-310’ 임상1상 진행을 위해 미국 FDA에 임상시험계획(IND) 신청서를 제출했다.
이번 임상은 혈액암 일종인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LBCL)을 포함해 재발성, 불응성 B세포 비호지킨 림프종(NHL) 등 다양한 타입 림프종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회사 측에 따르면 지금까지 허가된 CAR-T 치료제는 혈액암에서 반응률이 높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40~50% 환자에서 재발이 나타나고 있어 한계점도 뚜렷하다. 더욱이 CAR-T 치료를 받은 후 재발한 환자에서는 기존 CAR-T 치료제로는 더이상 치료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치료 옵션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단점도 갖고 있다.
반면, 베리스모는 공동창업자이자 미국 UPenn(이하 유펜) 교수인 도널드 시겔 박사(Dr. Donald Siegel)와 마이클 밀론 박사(Dr. Michael Milone)가 자체 발굴한 B세포 유래 암 주요 타깃 항원인 ‘CD19’를 표적하는 독자적 CD19 바인더(DS191) 개발에 성공했다. 기존 승인된 CAR-T 치료제들 single-chain 구조와 디자인이 다른 구조로, multi-chain을 이용하는 베리스모 KIR-CAR 플랫폼과의 조합을 통해 기존 CAR-T 세포보다 더욱 오랫동안 활성화돼 효과적으로 항암효과를 나타낼 뿐 아니라, 암 재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아울러, 회사에서 별도로 고형암인 메소텔린 발현 중피종, 담관암종, 난소암 치료제로 개발중인 ‘SynKIR-110’ 임상 1상(STAR-101)도 진행되고 있다. SynKIR-110 임상은 미국 유펜 병원과 MD 앤더슨 암센터에서 진행 중으로, 임상 속도를 높이기 위해 올해 임상 사이트 2곳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계획이다.
이번 임상을 기획한 베리스모 로라 존슨 박사(Dr. Laura Johnson)는 “베리스모가 개발하고 있는 SynKIR-310은 기존 CAR-T 치료제로는 더 이상 치료가 어려운 환자들, 특히 재발성, 불응성 B세포 비호지킨 림프종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옵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멀티체인 KIR-CAR에 DS191 바인더를 결합한 SynKIR-310은 T세포 항암 기능과 함께 공격성 림프종 환자 대항력을 강화해 암 조기 재발을 효과적으로 막아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메지온,'유데나필' 폰탄 치료제 적응증 확대 미국 FDA 추가임상 '순항' |
2 | "나 지금 떨고 있니?" FDA '보완요구서한(CRL)' 공개에 기업은 긴장 투자자는 환영 |
3 | 아마존 프라임데이 뷰티 부문 매출 1위 '메디큐브' |
4 | 케어젠, 먹는 GLP-1 펩타이드 ‘코글루타이드’ 에콰도르 등록 완료 |
5 | "신약개발 실패, 이유는 현장 단절" 바이오의약공방, 임상 수요 기반 모델 제시 |
6 | 의약품유통업계 "지출보고서 정정,기준 없는 책임 전가..금융비용,리베이트 오인" |
7 | 프리시젼바이오, 씨티바이오와 면역 진단 제품 기술협력 계약 |
8 | 정은경 “‘불법 리베이트 근절’ 제도 보완해야…‘성분명처방’ 도입 협의 필요” |
9 | "30분의 1 용량, 수년간 효과" 뉴라클제네틱스 'NG101' 12조 아일리아 뛰어넘나 |
10 | “합성제제 부작용 넘는다”…천연물 기반 GLP-1 등장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차세대 CAR-T 세포 치료제를 개발중인 HLB 미국 계열사 베리스모(Verismo Therapeutics)가 재발성/불응성 비호지킨 림프종 치료제 ‘SynKIR-310’ 임상1상 진행을 위해 미국 FDA에 임상시험계획(IND) 신청서를 제출했다.
이번 임상은 혈액암 일종인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DLBCL)을 포함해 재발성, 불응성 B세포 비호지킨 림프종(NHL) 등 다양한 타입 림프종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회사 측에 따르면 지금까지 허가된 CAR-T 치료제는 혈액암에서 반응률이 높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40~50% 환자에서 재발이 나타나고 있어 한계점도 뚜렷하다. 더욱이 CAR-T 치료를 받은 후 재발한 환자에서는 기존 CAR-T 치료제로는 더이상 치료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치료 옵션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단점도 갖고 있다.
반면, 베리스모는 공동창업자이자 미국 UPenn(이하 유펜) 교수인 도널드 시겔 박사(Dr. Donald Siegel)와 마이클 밀론 박사(Dr. Michael Milone)가 자체 발굴한 B세포 유래 암 주요 타깃 항원인 ‘CD19’를 표적하는 독자적 CD19 바인더(DS191) 개발에 성공했다. 기존 승인된 CAR-T 치료제들 single-chain 구조와 디자인이 다른 구조로, multi-chain을 이용하는 베리스모 KIR-CAR 플랫폼과의 조합을 통해 기존 CAR-T 세포보다 더욱 오랫동안 활성화돼 효과적으로 항암효과를 나타낼 뿐 아니라, 암 재발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아울러, 회사에서 별도로 고형암인 메소텔린 발현 중피종, 담관암종, 난소암 치료제로 개발중인 ‘SynKIR-110’ 임상 1상(STAR-101)도 진행되고 있다. SynKIR-110 임상은 미국 유펜 병원과 MD 앤더슨 암센터에서 진행 중으로, 임상 속도를 높이기 위해 올해 임상 사이트 2곳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계획이다.
이번 임상을 기획한 베리스모 로라 존슨 박사(Dr. Laura Johnson)는 “베리스모가 개발하고 있는 SynKIR-310은 기존 CAR-T 치료제로는 더 이상 치료가 어려운 환자들, 특히 재발성, 불응성 B세포 비호지킨 림프종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옵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멀티체인 KIR-CAR에 DS191 바인더를 결합한 SynKIR-310은 T세포 항암 기능과 함께 공격성 림프종 환자 대항력을 강화해 암 조기 재발을 효과적으로 막아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