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집단사직으로 인한 의료대란 장기화로 1600곳에 이르는 전국 보건소와 보건지소도 한시적으로 비대면진료를 시행하게 됐다.
보건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은 3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오늘부터 비대면진료 시행기관을 보건소와 보건지소로 확대한다”며 “처방전 약국 전송 등 현행 비대면진료 절차는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 2월23일부터 모든 종별 의료기관에 비대면진료를 전면 허용했으나, 대상 기관에서 보건소와 보건지소는 제외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전라남도 등 일부 지자체는 비상진료체계강화를 위해 공중보건의사 파견이 시작된 이후 지역 보건기관에 일부 공백이 발생한 것을 우려해 보건소와 보건지소의 비대면진료를 허용해달라고 요청해 왔다.
이에 정부는 3일부터 보건소 246개소와 보건지소 1341개소의 비대면진료를 한시적으로 허용한 것. 경증질환자는 지역 보건소나 보건지소의 비대면진료를 통해 상담과 진단‧처방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박민수 차관은 “보건소와 보건지소 의사도 섬‧벽지 등 근무지와 먼 지역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 경증질환자나 동일한 약을 처방받는 만성질환자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며 “시범사업 지침 개정 내용은 오늘 중에 지자체에 안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한 정부는 지난 2일 의대교육 지원 TF에서 국립대 의대 전임교수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내년도 대학별 교수의 증원 규모는 오는 8일까지 각 대학에서 제출한 수요를 토대로 종합 검토 후 반영할 계획이다.
박 차관은 “지난 2월29일 지역‧필수의료를 획기적으로 강화하고 국립대병원의 임상, 교육, 연구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오는 2027년까지 의대 전임교수를 1000명까지 증원하겠다고 발표했다”며 “의대 교수 채용이 차질없이 준비되도록 대학별 교수 정원 증원 규모를 가배정해 사전에 안내하겠다”고 전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메지온,'유데나필' 폰탄 치료제 적응증 확대 미국 FDA 추가임상 '순항' |
2 | "나 지금 떨고 있니?" FDA '보완요구서한(CRL)' 공개에 기업은 긴장 투자자는 환영 |
3 | 아마존 프라임데이 뷰티 부문 매출 1위 '메디큐브' |
4 | 케어젠, 먹는 GLP-1 펩타이드 ‘코글루타이드’ 에콰도르 등록 완료 |
5 | "신약개발 실패, 이유는 현장 단절" 바이오의약공방, 임상 수요 기반 모델 제시 |
6 | 의약품유통업계 "지출보고서 정정,기준 없는 책임 전가..금융비용,리베이트 오인" |
7 | 프리시젼바이오, 씨티바이오와 면역 진단 제품 기술협력 계약 |
8 | 정은경 “‘불법 리베이트 근절’ 제도 보완해야…‘성분명처방’ 도입 협의 필요” |
9 | "30분의 1 용량, 수년간 효과" 뉴라클제네틱스 'NG101' 12조 아일리아 뛰어넘나 |
10 | “합성제제 부작용 넘는다”…천연물 기반 GLP-1 등장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전공의 집단사직으로 인한 의료대란 장기화로 1600곳에 이르는 전국 보건소와 보건지소도 한시적으로 비대면진료를 시행하게 됐다.
보건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은 3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오늘부터 비대면진료 시행기관을 보건소와 보건지소로 확대한다”며 “처방전 약국 전송 등 현행 비대면진료 절차는 동일하게 적용된다”고 밝혔다.
앞서 정부는 지난 2월23일부터 모든 종별 의료기관에 비대면진료를 전면 허용했으나, 대상 기관에서 보건소와 보건지소는 제외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전라남도 등 일부 지자체는 비상진료체계강화를 위해 공중보건의사 파견이 시작된 이후 지역 보건기관에 일부 공백이 발생한 것을 우려해 보건소와 보건지소의 비대면진료를 허용해달라고 요청해 왔다.
이에 정부는 3일부터 보건소 246개소와 보건지소 1341개소의 비대면진료를 한시적으로 허용한 것. 경증질환자는 지역 보건소나 보건지소의 비대면진료를 통해 상담과 진단‧처방을 받을 수 있게 됐다.
박민수 차관은 “보건소와 보건지소 의사도 섬‧벽지 등 근무지와 먼 지역을 직접 방문하지 않고 경증질환자나 동일한 약을 처방받는 만성질환자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며 “시범사업 지침 개정 내용은 오늘 중에 지자체에 안내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또한 정부는 지난 2일 의대교육 지원 TF에서 국립대 의대 전임교수 확대 방안을 논의했다. 내년도 대학별 교수의 증원 규모는 오는 8일까지 각 대학에서 제출한 수요를 토대로 종합 검토 후 반영할 계획이다.
박 차관은 “지난 2월29일 지역‧필수의료를 획기적으로 강화하고 국립대병원의 임상, 교육, 연구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오는 2027년까지 의대 전임교수를 1000명까지 증원하겠다고 발표했다”며 “의대 교수 채용이 차질없이 준비되도록 대학별 교수 정원 증원 규모를 가배정해 사전에 안내하겠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