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G인바이츠를 창업한 조중명 회장이 회사를 떠난다.
지난해 대표직을 내려놓았다가 이후 개최된 임시주총에서 경영복귀를 알렸던 조 회장이 CG인바이츠 경영에서 물러나 췌장암 치료제 ‘아이발티노스타트’ 임상을 완수하는 데 집중하기로 했다고 13일 밝혔다.
# 임상개발 완수 위해 스핀오프 회사 지분 투자
경영 일선에선 물러나지만 연구자로서 CG인바이츠와 인연은 계속 이어간다. 아이발티노스타트 임상을 완수하기 위해 CG인바이츠 미국 자회사 CGP(CG Pharmaceuticals)에서 연구를 이어가기로 했다.
CG인바이츠는 아이발티노스타트 효율적 임상수행과 리스크 관리를 위해 CGP를 스핀 오프(Spin-off) 하기로 했다. 조 회장과 공동 투자로 리스크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임상 성공시에는 Revenue Sharing 방식으로 수익을 나누어 갖는 구조다. 조 회장이 보유중인 CG인바이츠 지분을 처분해 CGP에 투자하고, 아이발티노스타트 췌장암 미국 임상 2상은 CGP에서 전적으로 담당해 임상 개발과 상업화를 추진한다는 설명이다.
CG인바이츠 관계자는 “조중명 회장은 아이발티노스타트 개발을 이끈 장본인이고 물질에 대해 누구보다도 잘 아는 사람이기 때문에 진행 중인 임상을 성공적으로 완수할 수 있는 최고 적임자”라며 "이번 조 회장 퇴진은 결별을 위한 것이 아니라, 서로가 잘 할 수 있는 부분에 집중하기 위한 아름다운 동행"이라고 밝혔다.
연구자 출신인 조중명 회장은 자신이 중점적으로 추진해왔던 분야인 아이발티노스타트 임상 개발에 집중하기로 한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한편, CG인바이츠는 지난해 최대주주 변경 이후, 주주설명회를 통해 ▲파이프라인 혁신 ▲비핵심자산 매각 ▲ESG 기반 주주친화 정책이라는 3대 중점 과제를 발표하며 체질 개선을 예고했다. 회사는 이번에 조 회장이 경영에서 물러남으로써 기존 저분자(Small molecule) 화합물 중심 파이프라인에서 항암 백신, 디지털 치료제 등 유전체 데이터 기반 신약 개발사로 구조 개혁 작업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조중명 회장은 1948년생으로 한국 바이오산업 1세대로 통한다.
LG생명과학 연구소를 이끌던 조 회장은 세계적인 혁신 신약을 개발하겠다는 포부로 2000년 회사를 나와 크리스탈지노믹스를 창업했다. 2006년 기술평가제도를 통한 코스닥 기술특례상장 1호 바이오벤처로 등극했고, 2015년 바이오벤처 1호 신약, ‘아셀렉스’를 출시했다.
# CG인바이츠,아이발티노스타트 임상 개발 탄력 기대
아셀렉스 출시와 연이어 체결된 수출 계약에도 불구하고, 아셀렉스 매출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또 혈액암 치료제 룩셉티닙(CG-806), 슈퍼박테리아 항생제 닐로파비신(CG-549), 아셀렉스 복합제 등 다양한 임상 과제를 진행했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목표했던 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하지만 지난해 최대주주 변경 이후, 크리스탈지노믹스는 CG인바이츠로 사명을 변경하고 파이프라인과 진행 중인 사업 옥석 가리기를 진행했다. 항서제약으로부터 도입한 PD-1 면역항암제 캄렐리주맙 상업화에 박차를 가하고, 스핀 오프 한 CGP를 통해 췌장암 치료제 아이발티노스타트 임상 개발을 성공으로 이끈다는 것이 핵심이다.
CG인바이츠 관계자는 "조중명 회장과 이번 계약을 통해 아이발티노스타트 임상 개발은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기존 파이프라인 개발 뿐만 아니라 항암백신 및 디지털 치료제 등 유전체 데이터 기반 신약개발사로의 변화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박셀바이오, NK, CAR, 자가골수유래 세포처리시설 식약처 인허가 |
2 | 중국 제약사 비인두 암 치료제 FDA 허가관문 통과 |
3 | 지난해 12월 상장 제약바이오 유보율 코스피 1898.07%-코스닥 2586.69% |
4 | [기업분석] 상장 화장품기업 2024년 부채비율 59.53% …전년比 3.62%p↓ |
5 | AWS가 제시한 '병원·헬스케어 디지털 혁신' 4대 키워드 |
6 | 고려대 류혜진 교수 연구팀, 현대약품 '당뇨 신약' 근감소 억제 가능성 규명 |
7 | 바이오스타 정상목 박사 "FDA를 임상개발 전략으로 설득하라” 성공 노하우 제시 |
8 | "신뢰받는 전문가로" 대한약사회, 4대 TF로 직능 미래 설계 |
9 | 신라젠 'BAL0891', 면역관문억제제 병용 효과 가능성 미국암연구학회 발표 |
10 | 미국 뷰티 트렌드, 아시아계 미국민들이 주도한다!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CG인바이츠를 창업한 조중명 회장이 회사를 떠난다.
지난해 대표직을 내려놓았다가 이후 개최된 임시주총에서 경영복귀를 알렸던 조 회장이 CG인바이츠 경영에서 물러나 췌장암 치료제 ‘아이발티노스타트’ 임상을 완수하는 데 집중하기로 했다고 13일 밝혔다.
# 임상개발 완수 위해 스핀오프 회사 지분 투자
경영 일선에선 물러나지만 연구자로서 CG인바이츠와 인연은 계속 이어간다. 아이발티노스타트 임상을 완수하기 위해 CG인바이츠 미국 자회사 CGP(CG Pharmaceuticals)에서 연구를 이어가기로 했다.
CG인바이츠는 아이발티노스타트 효율적 임상수행과 리스크 관리를 위해 CGP를 스핀 오프(Spin-off) 하기로 했다. 조 회장과 공동 투자로 리스크에 대한 노출을 최소화하면서 임상 성공시에는 Revenue Sharing 방식으로 수익을 나누어 갖는 구조다. 조 회장이 보유중인 CG인바이츠 지분을 처분해 CGP에 투자하고, 아이발티노스타트 췌장암 미국 임상 2상은 CGP에서 전적으로 담당해 임상 개발과 상업화를 추진한다는 설명이다.
CG인바이츠 관계자는 “조중명 회장은 아이발티노스타트 개발을 이끈 장본인이고 물질에 대해 누구보다도 잘 아는 사람이기 때문에 진행 중인 임상을 성공적으로 완수할 수 있는 최고 적임자”라며 "이번 조 회장 퇴진은 결별을 위한 것이 아니라, 서로가 잘 할 수 있는 부분에 집중하기 위한 아름다운 동행"이라고 밝혔다.
연구자 출신인 조중명 회장은 자신이 중점적으로 추진해왔던 분야인 아이발티노스타트 임상 개발에 집중하기로 한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한편, CG인바이츠는 지난해 최대주주 변경 이후, 주주설명회를 통해 ▲파이프라인 혁신 ▲비핵심자산 매각 ▲ESG 기반 주주친화 정책이라는 3대 중점 과제를 발표하며 체질 개선을 예고했다. 회사는 이번에 조 회장이 경영에서 물러남으로써 기존 저분자(Small molecule) 화합물 중심 파이프라인에서 항암 백신, 디지털 치료제 등 유전체 데이터 기반 신약 개발사로 구조 개혁 작업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조중명 회장은 1948년생으로 한국 바이오산업 1세대로 통한다.
LG생명과학 연구소를 이끌던 조 회장은 세계적인 혁신 신약을 개발하겠다는 포부로 2000년 회사를 나와 크리스탈지노믹스를 창업했다. 2006년 기술평가제도를 통한 코스닥 기술특례상장 1호 바이오벤처로 등극했고, 2015년 바이오벤처 1호 신약, ‘아셀렉스’를 출시했다.
# CG인바이츠,아이발티노스타트 임상 개발 탄력 기대
아셀렉스 출시와 연이어 체결된 수출 계약에도 불구하고, 아셀렉스 매출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또 혈액암 치료제 룩셉티닙(CG-806), 슈퍼박테리아 항생제 닐로파비신(CG-549), 아셀렉스 복합제 등 다양한 임상 과제를 진행했지만, 여러가지 이유로 목표했던 사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하지만 지난해 최대주주 변경 이후, 크리스탈지노믹스는 CG인바이츠로 사명을 변경하고 파이프라인과 진행 중인 사업 옥석 가리기를 진행했다. 항서제약으로부터 도입한 PD-1 면역항암제 캄렐리주맙 상업화에 박차를 가하고, 스핀 오프 한 CGP를 통해 췌장암 치료제 아이발티노스타트 임상 개발을 성공으로 이끈다는 것이 핵심이다.
CG인바이츠 관계자는 "조중명 회장과 이번 계약을 통해 아이발티노스타트 임상 개발은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며 "기존 파이프라인 개발 뿐만 아니라 항암백신 및 디지털 치료제 등 유전체 데이터 기반 신약개발사로의 변화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