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젠사이언스(대표 김혜연, 박희덕)는 서울대학교생명공학공동연구원(원장 김병기)과 지난 2021년부터 함께 진행한 ‘AI∙빅데이타를 활용한 바이오신약 발굴 위탁연구’ 과제를 종료하고, 개량신약(이상지질증 복합제) 1건 개발에 착수하는 등 성과를 이뤘다고 19일 밝혔다.
팜젠사이언스는 서울대학교 측과 최근 과제 종료 보고회를 갖고, 황대희 교수(생물정보연구소장)가 진행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질환 치료제 개발’과 김선 교수(컴퓨터공학부 생물정보 및 생명정보연구실)가 진행한 ‘빅데이터 딥러닝을 통한 질환치료제 예측 시스템 개발’ 결과를 발표했다.
황대희 교수는 이번 연구로 당뇨 복합제와 간질환 복합제 등 다양한 개량신약에 대해 연구한 결과 이상지질증 복합제(RD1401) 개발에 착수하는 큰 성과를 냈다고 전했다. 황 교수는 서울대병원의 대사성질환자 18만명의 코호트를 확보하고, 분석법을 개발하여 이상지질증 복합개량신약의 의학통계학적 타당성을 확보해 최종 이상지질증 개량신약 과제를 도출해 냈다.
김선 교수는 총 논문 2건 진행, 특허 1건 출원 진행, 국책과제 선정 1건이라는 좋은 결과를 선보였다. 김 교수는 공공 빅데이터를 통합해 DB화 하고, 빅데이터 기반의 네트워크 분석 및 딥러닝 모델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신약 및 약물 재창출 후보 물질 발굴 프레임워크에 관한 논문과 약물 조합 예측 인공지능 프레임워크에 관한 논문 각 1편을 관련 분야 저널에 출판할 예정이다.
또 서울대학교와 공동으로 생명 의학 지식 그래프 기반 약물 조합 예측 기술 특허 출원도 진행 중이다. 아울러 한국제약바이오협회로부터 인공지능을 활용한 자가면역 질환 합성신약 유효물질 발굴’ 국책과제에 선정돼 관련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팜젠사이언스 관계자는 “양 기관 간의 진정한 산학협력으로 개량신약 과제를 도출하고 개발 착수한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특히 개량신약 개발에 AI를 적용한 사례가 아직 없기 때문에 현재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증례 방식을 넘어, 빠르고 다양한 고부가가치 개량신약 개발에도 본 연구결과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향후 팜젠사이언스는 이상지질증 개량신약(RD1401) 개발에 대해, 비임상을 거쳐 2024년부터 임상에 돌입한다는 계획을 수립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오젬픽·위고비 핵심성분 '세마글루타이드' 희귀 안과질환 상관성 조사 개시 |
2 | 조기 치료 중요한 '파브리병'…"인식·보험 환경 개선됐으면..." |
3 | “국내 제약바이오 육성, 컨트롤타워 구조 개선‧R&D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해야” |
4 | “건강이 선물이 된다” 제약업계 설 명절 선물 기획전 ‘활기’ |
5 | HLB파나진 "바이오스퀘어, 의료기 3종 미국 FDA 제품 등록 완료" |
6 | "K-뷰티 인플루언서, 일본 성공을 꿈꾸다" |
7 | 대웅제약, 신약 소재 ‘화합물’ 공개… ‘오픈 이노베이션’ 기회 찾는다 |
8 | "2025 10대 바이오 미래유망기술 선정…AI 유전자편집·항노화 항체 등" |
9 | 필수약 안정적 공급하려면...퇴장방지약 지정 기준 현실화 필요 |
10 | 칼리시-셀프리 사이언스, 혁신 신약 개발 -치료제 연구 MOU 체결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팜젠사이언스(대표 김혜연, 박희덕)는 서울대학교생명공학공동연구원(원장 김병기)과 지난 2021년부터 함께 진행한 ‘AI∙빅데이타를 활용한 바이오신약 발굴 위탁연구’ 과제를 종료하고, 개량신약(이상지질증 복합제) 1건 개발에 착수하는 등 성과를 이뤘다고 19일 밝혔다.
팜젠사이언스는 서울대학교 측과 최근 과제 종료 보고회를 갖고, 황대희 교수(생물정보연구소장)가 진행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질환 치료제 개발’과 김선 교수(컴퓨터공학부 생물정보 및 생명정보연구실)가 진행한 ‘빅데이터 딥러닝을 통한 질환치료제 예측 시스템 개발’ 결과를 발표했다.
황대희 교수는 이번 연구로 당뇨 복합제와 간질환 복합제 등 다양한 개량신약에 대해 연구한 결과 이상지질증 복합제(RD1401) 개발에 착수하는 큰 성과를 냈다고 전했다. 황 교수는 서울대병원의 대사성질환자 18만명의 코호트를 확보하고, 분석법을 개발하여 이상지질증 복합개량신약의 의학통계학적 타당성을 확보해 최종 이상지질증 개량신약 과제를 도출해 냈다.
김선 교수는 총 논문 2건 진행, 특허 1건 출원 진행, 국책과제 선정 1건이라는 좋은 결과를 선보였다. 김 교수는 공공 빅데이터를 통합해 DB화 하고, 빅데이터 기반의 네트워크 분석 및 딥러닝 모델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신약 및 약물 재창출 후보 물질 발굴 프레임워크에 관한 논문과 약물 조합 예측 인공지능 프레임워크에 관한 논문 각 1편을 관련 분야 저널에 출판할 예정이다.
또 서울대학교와 공동으로 생명 의학 지식 그래프 기반 약물 조합 예측 기술 특허 출원도 진행 중이다. 아울러 한국제약바이오협회로부터 인공지능을 활용한 자가면역 질환 합성신약 유효물질 발굴’ 국책과제에 선정돼 관련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팜젠사이언스 관계자는 “양 기관 간의 진정한 산학협력으로 개량신약 과제를 도출하고 개발 착수한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면서 “특히 개량신약 개발에 AI를 적용한 사례가 아직 없기 때문에 현재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증례 방식을 넘어, 빠르고 다양한 고부가가치 개량신약 개발에도 본 연구결과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향후 팜젠사이언스는 이상지질증 개량신약(RD1401) 개발에 대해, 비임상을 거쳐 2024년부터 임상에 돌입한다는 계획을 수립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