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 전문기업 고바이오랩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3년 바이오산업기술개발 사업’의 휴먼마이크로바이옴 의약품 제품화 지원 분야(세부주제: 세로토닌과 T 도움 17세포 이중 조절 휴먼마이크로바이옴을 통한 자폐스펙트럼 장애 중증도 개선) 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본 사업의 목적은 세로토닌과 장내 T 도움 17세포를 동시에 조절하여 자폐스펙트럼 장애 중증도를 개선할 수 있는 휴먼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작용 기전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고려대학교 김은하 교수가 연구책임자를 맡게 되며, 고바이오랩 및 경희의료원, 분당서울대병원, 순천향대학교병원의 임상기관이 함께 참여한다. 총 사업비는 32억 원 규모이며, 연구기간은 오는 2025년 12월까지다.
공동 연구진은 본 연구를 통해 대표적인 난치성 신경발달장애인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중증도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용도의 신규 휴먼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를 개발할 계획이다. 특히 다양한 자폐스펙트럼 장애 마우스 모델과 무균동물모델을 활용하여 개발 중인 치료제의 구체적인 작용 기전을 제시할 계획이다.
고바이오랩 관계자는 “본 연구 결과는 확고한 치료방안이 부재한 자폐스펙트럼 장애 치료제 시장에 큰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향후 휴먼마이크로바이옴을 기반으로 한 자폐스팩트럼 치료제 시장을 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기업의 국제 공중보건 기여, 사회적 가치와 이윤추구간 균형 찾았다” |
2 | 제약바이오 산업 전망…올해 하락하고 내년부터 회복? |
3 | 크리스탈지노믹스, 최대주주 변경…‘3대 경영혁신’ 발표 |
4 | 씨엔알리서치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 성공, 협력·소통이 답" |
5 | 감기 증상 소아에 정신과약,남성에 사후피임약...처방오류 '심각' |
6 | [인터뷰] "최고 피임률 '피하 이식형 피임제', 편리성·안전성 두루 갖춰" |
7 | "새 의약품유통협회장, 강한 협회 만들고 중소업체 목소리 들을 수 있어야" |
8 | 파마리서치, 케이메디허브와 MOU 체결 |
9 | 노바티스 ‘키스칼리’ 유방암 재발 위험 25% ↓ |
10 | 요양병원 평가결과 공개...'질지원금' 첫 적용해 7월 보상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개발 전문기업 고바이오랩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하는 ‘2023년 바이오산업기술개발 사업’의 휴먼마이크로바이옴 의약품 제품화 지원 분야(세부주제: 세로토닌과 T 도움 17세포 이중 조절 휴먼마이크로바이옴을 통한 자폐스펙트럼 장애 중증도 개선) 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본 사업의 목적은 세로토닌과 장내 T 도움 17세포를 동시에 조절하여 자폐스펙트럼 장애 중증도를 개선할 수 있는 휴먼마이크로바이옴 기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작용 기전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는 고려대학교 김은하 교수가 연구책임자를 맡게 되며, 고바이오랩 및 경희의료원, 분당서울대병원, 순천향대학교병원의 임상기관이 함께 참여한다. 총 사업비는 32억 원 규모이며, 연구기간은 오는 2025년 12월까지다.
공동 연구진은 본 연구를 통해 대표적인 난치성 신경발달장애인 자폐스펙트럼 장애의 중증도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용도의 신규 휴먼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를 개발할 계획이다. 특히 다양한 자폐스펙트럼 장애 마우스 모델과 무균동물모델을 활용하여 개발 중인 치료제의 구체적인 작용 기전을 제시할 계획이다.
고바이오랩 관계자는 “본 연구 결과는 확고한 치료방안이 부재한 자폐스펙트럼 장애 치료제 시장에 큰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향후 휴먼마이크로바이옴을 기반으로 한 자폐스팩트럼 치료제 시장을 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