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제약(대표이사 송준호)은 제넨셀(대표이사 오영철)과 공동 연구로 자체 개발한 천연물 소재 ‘맥아 및 구절초 복합물(원료명: 프리멘시아)’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여성 월경 전 증후군(PMS) 개선에 관한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 승인을 획득했다고 17일 밝혔다.
동국제약과 제넨셀은 지난 2017년부터 약 6년간 30여억원을 투입한 공동 연구로 이번 원료 개발에 성공했다. 현재 관련 증상 개선 기능성 원료는 고시형인 '감마리놀렌산 함유 유지' 하나만 있으며, 개별인정형 원료는 처음으로 ‘월경 전 변화에 의한 불편한 상태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내용으로 기능성을 인정받았다.
또 전임상시험과 인체적용시험 등으로 ‘프리멘시아’의 도파민 수용체 활성화로 인한 프로락틴 호르몬(유즙 호르몬) 분비 정상화, 에스트로겐(여성 호르몬) 수용체 활성 억제 등을 증명했다. 이를 통해 월경 전 증후군의 증상 완화, 뇌하수체 세포 보호, 자궁 내 염증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동국제약 관계자는 “여성 월경 전 증후군은 장기간 관리가 필요하므로 효능이 우수하고 부작용이 적은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자 요구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며 “국내 자생식물을 활용해 안전한 고기능성 원료를 개발함에 따라 시장에서 호응을 얻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동국제약은 '맥아구절초추출복합물' 원료 제조 공정 표준화 연구에 참여했으며, 인체적용시험용 시험식품 및 대조식품을 생산해 식품의약품안전처 개별인정형 신청서를 제출하고 보완 사항에 대응했다.
현재 타깃 맞춤 제형으로 제품을 개발 중이며 메인 타깃으로는 10대 청소년, 서브 타깃으로는 20대 직장 여성을 선정했다. 오는 12월, 온라인 공식몰에서 연령대별 우먼케어로 프로그램화해 제품을 출시 및 판매 예정이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2023년 1분기 영업이익 톱5 삼바∙셀트리온∙한미약품∙종근당∙대웅제약 |
2 | 1분기 매출 톱10 제약사, 여성임원 고작15%...291명 중 44명 |
3 | "바이오도 한류" 韓 바이오 위상 떨친 'BIO USA' |
4 | “기업의 국제 공중보건 기여, 사회적 가치와 이윤추구간 균형 찾았다” |
5 | 제약바이오 산업 전망…올해 하락하고 내년부터 회복? |
6 | [인터뷰] "최고 피임률 '피하 이식형 피임제', 편리성·안전성 두루 갖춰" |
7 | [기자 수첩] 플랫폼 '협조' 받아 플랫폼 '종속' 막는다는 약사회 |
8 | 에스티팜, 2023년 1Q 품목군 매출 506억...전년동기比 37%↑ |
9 | 크리스탈지노믹스, 최대주주 변경…‘3대 경영혁신’ 발표 |
10 | 산자부-바이오협, 바이오 USA서 '韓 美 라운드 테이블' 개최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동국제약(대표이사 송준호)은 제넨셀(대표이사 오영철)과 공동 연구로 자체 개발한 천연물 소재 ‘맥아 및 구절초 복합물(원료명: 프리멘시아)’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여성 월경 전 증후군(PMS) 개선에 관한 개별인정형 기능성 원료 승인을 획득했다고 17일 밝혔다.
동국제약과 제넨셀은 지난 2017년부터 약 6년간 30여억원을 투입한 공동 연구로 이번 원료 개발에 성공했다. 현재 관련 증상 개선 기능성 원료는 고시형인 '감마리놀렌산 함유 유지' 하나만 있으며, 개별인정형 원료는 처음으로 ‘월경 전 변화에 의한 불편한 상태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내용으로 기능성을 인정받았다.
또 전임상시험과 인체적용시험 등으로 ‘프리멘시아’의 도파민 수용체 활성화로 인한 프로락틴 호르몬(유즙 호르몬) 분비 정상화, 에스트로겐(여성 호르몬) 수용체 활성 억제 등을 증명했다. 이를 통해 월경 전 증후군의 증상 완화, 뇌하수체 세포 보호, 자궁 내 염증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동국제약 관계자는 “여성 월경 전 증후군은 장기간 관리가 필요하므로 효능이 우수하고 부작용이 적은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자 요구가 지속적으로 늘고 있다”며 “국내 자생식물을 활용해 안전한 고기능성 원료를 개발함에 따라 시장에서 호응을 얻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동국제약은 '맥아구절초추출복합물' 원료 제조 공정 표준화 연구에 참여했으며, 인체적용시험용 시험식품 및 대조식품을 생산해 식품의약품안전처 개별인정형 신청서를 제출하고 보완 사항에 대응했다.
현재 타깃 맞춤 제형으로 제품을 개발 중이며 메인 타깃으로는 10대 청소년, 서브 타깃으로는 20대 직장 여성을 선정했다. 오는 12월, 온라인 공식몰에서 연령대별 우먼케어로 프로그램화해 제품을 출시 및 판매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