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암 백신 연구개발 전문 기업 애스톤사이언스(대표이사 정헌, 신헌우)는 HER2 발현 위암 환자 대상 치료용 암 백신 AST-301의 대만 임상 2상 IND 승인이 완료됐다고 15일 밝혔다.
‘CornerStone-003’으로 명명된 이번 연구는 HER2 발현이 되는 위암 환자 중 표준보조요법을 완료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조기 개념증명 연구(early proof-of-concept study)다.
이번 임상은 안전성 및 면역 효능 평가를 위한 무작위 배정 임상시험으로 연구 참가자는 AST-301 치료를 총 3회 또는 총 6회 받게 되며 이를 통해 약물의 안전성과 면역학적 효과를 평가한다. 애스톤사이언스는 이후 최적의 투여 스케줄을 확인하고 2차 평가 변수로 무질병 생존율(DFS)을 확인하여, 면역원성과 임상적 유효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할 예정이다.
AST-301은 HER-2 항원을 코딩한 DNA 기반 암 치료 백신이다. 애스톤사이언스는 AST-301의 적응증을 유방암과 위암으로 나누어 각각 임상을 진행 중이다. 현재 미국, 호주 그리고 대만에서 유방암을 대상으로 하는 CornerStone-001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한편 위암은 아시아에서 발생률이 높은 암종이지만 HER2 발현 위암 환자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고위험군 환자에서 수술 후 재발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보조 치료가 필요하지만 선택지가 적어, 새로운 치료의 도입이 시급한 분야다.
애스톤사이언스 관계자는 “일부 위암이 면역관문억제제에 반응하는 것으로 미뤄보아 항암백신처럼 새로운 기전의 면역치료가 환자의 생존율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애스톤사이언스의 정은교 최고의학책임자는 “이번 임상시험을 통해 AST-301이 HER2 발현 위암 치료에 대한 새로운 치료 선택지로서의 가능성을 알리고, 위암에 대한 면역치료의 범위를 넓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2023년 1분기 영업이익 톱5 삼바∙셀트리온∙한미약품∙종근당∙대웅제약 |
2 | 1분기 매출 톱10 제약사, 여성임원 고작15%...291명 중 44명 |
3 | "바이오도 한류" 韓 바이오 위상 떨친 'BIO USA' |
4 | “기업의 국제 공중보건 기여, 사회적 가치와 이윤추구간 균형 찾았다” |
5 | 제약바이오 산업 전망…올해 하락하고 내년부터 회복? |
6 | [인터뷰] "최고 피임률 '피하 이식형 피임제', 편리성·안전성 두루 갖춰" |
7 | [기자 수첩] 플랫폼 '협조' 받아 플랫폼 '종속' 막는다는 약사회 |
8 | 에스티팜, 2023년 1Q 품목군 매출 506억...전년동기比 37%↑ |
9 | 크리스탈지노믹스, 최대주주 변경…‘3대 경영혁신’ 발표 |
10 | 산자부-바이오협, 바이오 USA서 '韓 美 라운드 테이블' 개최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클래시그널 | 더보기 + |
항암 백신 연구개발 전문 기업 애스톤사이언스(대표이사 정헌, 신헌우)는 HER2 발현 위암 환자 대상 치료용 암 백신 AST-301의 대만 임상 2상 IND 승인이 완료됐다고 15일 밝혔다.
‘CornerStone-003’으로 명명된 이번 연구는 HER2 발현이 되는 위암 환자 중 표준보조요법을 완료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조기 개념증명 연구(early proof-of-concept study)다.
이번 임상은 안전성 및 면역 효능 평가를 위한 무작위 배정 임상시험으로 연구 참가자는 AST-301 치료를 총 3회 또는 총 6회 받게 되며 이를 통해 약물의 안전성과 면역학적 효과를 평가한다. 애스톤사이언스는 이후 최적의 투여 스케줄을 확인하고 2차 평가 변수로 무질병 생존율(DFS)을 확인하여, 면역원성과 임상적 유효성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할 예정이다.
AST-301은 HER-2 항원을 코딩한 DNA 기반 암 치료 백신이다. 애스톤사이언스는 AST-301의 적응증을 유방암과 위암으로 나누어 각각 임상을 진행 중이다. 현재 미국, 호주 그리고 대만에서 유방암을 대상으로 하는 CornerStone-001 연구가 진행 중이다.
한편 위암은 아시아에서 발생률이 높은 암종이지만 HER2 발현 위암 환자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고위험군 환자에서 수술 후 재발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보조 치료가 필요하지만 선택지가 적어, 새로운 치료의 도입이 시급한 분야다.
애스톤사이언스 관계자는 “일부 위암이 면역관문억제제에 반응하는 것으로 미뤄보아 항암백신처럼 새로운 기전의 면역치료가 환자의 생존율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애스톤사이언스의 정은교 최고의학책임자는 “이번 임상시험을 통해 AST-301이 HER2 발현 위암 치료에 대한 새로운 치료 선택지로서의 가능성을 알리고, 위암에 대한 면역치료의 범위를 넓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