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창재)은 2023년 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2923억원, 영업이익 31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4%, 15.9% 성장했다고 3일 밝혔다. 연결기준으로는 매출액 3224억원, 영업이익 245억원으로 각각 8.1%, 6.2% 성장했다.
대웅제약은 2022년 사상 최대 연간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한 데 이어 올해도 1분기 기준 사상 최고 영업이익(별도기준)을 또 다시 경신했다고 전했다.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펙수클루 등 고수익 전문의약품의 선전과 국내에서 유일하게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가 전체 성장을 주도했다는 설명이다.
전문의약품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1976억원 대비 4.7% 증가한 2069억원이다.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펙수클루,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리토바젯, 고지혈증 치료제 크레젯 등 수익성 높은 제품군들이 전년 동기 대비 20% 이상 성장하며 실적 상승을 이끌었다.
특히 펙수클루의 1분기 처방액은 108억원으로 직전 분기 대비 46% 증가했으며, 지난 2월부터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시장에서 매출 3위를 차지하고 있다.
나보타 부문은 전년 동기 304억원 대비 40.3% 성장한 426억원의 매출을 달성한 가운데, 특히 수출은 228억원에서 36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9.3% 성장했다. 미국 판매 파트너사인 에볼루스향 수출이 호조를 보인 가운데 태국, 브라질, 터키 등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도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보툴리눔 톡신 브랜드로 자리잡았다.
또 에볼루스가 연내 유럽에만 11개국 이상으로 출시 국가를 확대하고 동시에 연내 호주와 사우디 아라비아에도 발매를 준비 중인만큼 앞으로도 견조한 성장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글로벌 부문은 전년 동기 35억원 대비 11.2% 상승한 39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중국에서 제산제 액제 제품 뉴란타의 영업망 확대와 신제품 이지덤 출시로 매출이 상승했으며, 앞으로는 아시아 지역 내 소화기 제품 매출 성장과 펙수클루의 필리핀, 에콰도르, 칠레 매출 제고에 주력할 계획이다.
한편, 대웅제약은 식약처의 신속심사 대상 1호로 지정되어 성공적으로 개발에 성공한 국산 1호 SGLT-2 억제제 계열 당뇨병 신약 엔블로를 지난 1일 정식 출시했다.
또 우리나라 정부가 미래 성장동력으로 바이오헬스 산업을 주목하고 있는 가운데, 대웅제약은 지난달 27일(현지시각)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 기간 동안 열린 ‘한·미 디지털·바이오헬스 비즈니스 포럼’에서 4억7700만 달러(6391억원) 규모의 경제 효과를 창출했다.
이날 대웅제약은 미국 생명공학 투자 회사 애디텀 바이오의 포트폴리오 회사인 비탈리 바이오와 자가면역질환 신약 후보물질 DWP213388 기술수출 계약을 맺었는데, 해당 신약 후보물질은 지난해 8월 미국 FDA에서 임상 1상 시험계획 승인을 받은 바 있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현 정부의 제약바이오 산업 육성 기조에 맞춰 혁신신약 연구개발과 생산시설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지속적인 성과를 도출해 나가고 있다"며 "나보타, 펙수클루, 엔블로의 글로벌 수출 확대를 통해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 성장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CG인바이츠, 캄렐리주맙 FDA 승인 기대감 고조 |
2 | 한국 경제 전망은 부정적이지만 K-뷰티는 '굳건'할 것 |
3 | "시린이 정복" 하이센스바이오, 치아 지각과민증 신약 'KH001' 2상 성공 |
4 | 지난해 글로벌 제약사 M&A 거래, 전년대비 절반 수준 |
5 | [뷰티누리×트렌디어] '저속노화' 시장 확대 … MZ 관심도 급증 |
6 | 파브리병 '조기 진단'과 '효소 대체 요법'…"합병증 예방의 '열쇠'" |
7 | 대한약사회 권영희 집행부, 22개 위원회 구성…'소통 강화'도 약속 |
8 | 셀트리온제약,프롤리아·엑스지바 바이오시밀러 판매 개시 |
9 | 디엑스앤브이엑스, mRNA 항암백신 글로벌 기술수출 협상 진행 |
10 | 경기도약사회, 제1차 여약사위원회...여약사 회장에 장은숙 약사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이창재)은 2023년 1분기, 별도기준 매출액 2923억원, 영업이익 31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4%, 15.9% 성장했다고 3일 밝혔다. 연결기준으로는 매출액 3224억원, 영업이익 245억원으로 각각 8.1%, 6.2% 성장했다.
대웅제약은 2022년 사상 최대 연간 매출과 영업이익을 기록한 데 이어 올해도 1분기 기준 사상 최고 영업이익(별도기준)을 또 다시 경신했다고 전했다.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펙수클루 등 고수익 전문의약품의 선전과 국내에서 유일하게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보툴리눔 톡신 나보타가 전체 성장을 주도했다는 설명이다.
전문의약품 부문 매출은 전년 동기 1976억원 대비 4.7% 증가한 2069억원이다.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펙수클루, 이상지질혈증 치료제 리토바젯, 고지혈증 치료제 크레젯 등 수익성 높은 제품군들이 전년 동기 대비 20% 이상 성장하며 실적 상승을 이끌었다.
특히 펙수클루의 1분기 처방액은 108억원으로 직전 분기 대비 46% 증가했으며, 지난 2월부터는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시장에서 매출 3위를 차지하고 있다.
나보타 부문은 전년 동기 304억원 대비 40.3% 성장한 426억원의 매출을 달성한 가운데, 특히 수출은 228억원에서 36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9.3% 성장했다. 미국 판매 파트너사인 에볼루스향 수출이 호조를 보인 가운데 태국, 브라질, 터키 등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도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보툴리눔 톡신 브랜드로 자리잡았다.
또 에볼루스가 연내 유럽에만 11개국 이상으로 출시 국가를 확대하고 동시에 연내 호주와 사우디 아라비아에도 발매를 준비 중인만큼 앞으로도 견조한 성장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글로벌 부문은 전년 동기 35억원 대비 11.2% 상승한 39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중국에서 제산제 액제 제품 뉴란타의 영업망 확대와 신제품 이지덤 출시로 매출이 상승했으며, 앞으로는 아시아 지역 내 소화기 제품 매출 성장과 펙수클루의 필리핀, 에콰도르, 칠레 매출 제고에 주력할 계획이다.
한편, 대웅제약은 식약처의 신속심사 대상 1호로 지정되어 성공적으로 개발에 성공한 국산 1호 SGLT-2 억제제 계열 당뇨병 신약 엔블로를 지난 1일 정식 출시했다.
또 우리나라 정부가 미래 성장동력으로 바이오헬스 산업을 주목하고 있는 가운데, 대웅제약은 지난달 27일(현지시각)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 기간 동안 열린 ‘한·미 디지털·바이오헬스 비즈니스 포럼’에서 4억7700만 달러(6391억원) 규모의 경제 효과를 창출했다.
이날 대웅제약은 미국 생명공학 투자 회사 애디텀 바이오의 포트폴리오 회사인 비탈리 바이오와 자가면역질환 신약 후보물질 DWP213388 기술수출 계약을 맺었는데, 해당 신약 후보물질은 지난해 8월 미국 FDA에서 임상 1상 시험계획 승인을 받은 바 있다.
대웅제약 관계자는 “현 정부의 제약바이오 산업 육성 기조에 맞춰 혁신신약 연구개발과 생산시설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지속적인 성과를 도출해 나가고 있다"며 "나보타, 펙수클루, 엔블로의 글로벌 수출 확대를 통해 한국 제약바이오 산업 성장에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