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리어드, ‘베클루리’ 급감 여파 3/4분기 5% ↓
AIDS 치료제 성장‧세포치료제 약진으로 영향 상쇄
입력 2022.11.01 12:06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스크랩하기
작게보기 크게보기
길리어드 사이언스社가 ‘코로나19’ 치료 항바이러스제 ‘베클루리’(렘데시비르)의 매출급감에 따른 여파로 매출액이 지난해 같은 분기에 비해 5% 감소하면서 70억4,200만 달러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난 3/4분기 경영실적을 27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길리어드 사이언스는 3/4분기 순이익 또한 17억8,600만 달러로 집계되어 전년도 같은 분기의 25억8,600만 달러에 비해 30.9%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출액의 경우 ‘베클루리’의 매출감소로 인한 영향을 AIDS 치료제와 항암제들이 상당부분 상쇄한 것으로 분석됐다.

대니얼 오데이 회장은 “AIDS 예방‧치료제들이 성장을 지속함에 따라 ‘빅타비’(빅테그라비르+엠트리시타빈+테노포비르 알라페나마이드)의 마켓셰어가 더욱 확대된 데다 우리의 첫 번째 장기지속형 AIDS 치료제 레나카파비르(lenacapavir)가 유럽에서 허가를 취득했고, 항암제 부문에서도 세포치료제들과 삼중 음성 유방암 치료제 ‘트로델비’(사시투주맙 고비테칸)의 수요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면서 “마케팅과 임상과정에서 놀라운(terrific) 진일보를 지속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3/4분기 경영실적을 제품별로 살펴보면 AIDS 치료제들 가운데 ‘빅타비’(빅테그라비르+엠트리시타빈+테노포비르 알라페나마이드)가 27억6,600만 달러로 실적이 21.5% 껑충 뛰어오른 가운데 ‘데스코비’(엠트리시타빈+테노포비르 알라페나마이드) 또한 5억 달러를 기록하면서 15.5% 괄목할 만하게 성장했음이 눈에 띄었다.

AIDS 치료제 전체적으로 보면 44억8,700만 달러로 7.1% 향상된 것으로 집계됐다.

C형 간염 치료제 ‘엡클루사’(소포스부비르+벨파타스비르)도 4억5,500만 달러로 37.0% 크게 뛰어올라 돋보였고, B형 간염 치료제 중에서는 ‘베믈리디’(테노포비르 알라페나마이드)가 2억2,800만 달러로 9.6% 실적이 증가했다.

백혈병 치료 세포치료제 ‘테카투스’(브렉수캅타진 오토류셀)가 8,100만 달러 72.3%, B세포 림프종 치료 세포치료제 ‘예스카타’(악시캅타진 실로류셀) 또한 3억1,700만 달러로 81.1% 고속성장해 세포치료제의 약진이 단연 주목할 만해 보였다.

유방암 치료제 ‘트로델비’(사시투주맙 고비테칸) 역시 1억8,000만 달러의 실적을 기록하면서 78.2% 뛰어올라 돋보였다.

반면 AIDS 치료제 ‘심투자’(다루나비르+코비시스타트+엠트리시타빈+테노포비르 알라페나마이드)는 1억3,000만 달러로 제로 성장률을 내보였다.

특히 항바이러스제 ‘베클루리’(렘데시비르)는 9억2,500만 달러의 실적을 기록하는 데 그치면서 52% 큰 폭의 감소세를 보여 전체적인 경영지표에도 여파를 미쳤다.

AIDS 치료제 중에서는 ‘젠보야’(엘비테그라비르+코비시스타트+엠트리시타빈+테노포비르)가 6억 달러로 19.4% 두자릿수 감소율을 감추지 못했고, ‘컴플레라’(엠트리시타빈+릴피비린+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도 4,300만 달러로 32.8%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뎁세이’(엠트리시타빈+릴피비린+테노포비르 알라페나마이드)도 3억7,400만 달러로 6.3% 줄어든 실적을 보였다.

‘트루바다’(엠트리시타빈+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 또한 3,000만 달러에 머물러 55.2% 급감했고, ‘스트리빌드’(엘비테그라비르+코비시스타트+엠트리시타빈+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의 경우 3,200만 달러의 실적으로 23.8% 마이너스 성장률을 기록했다.

C형 간염 치료제 ‘하보니’(소포스부비르+레디파스비르)는 2,500만 달러로 44.4% 크게 하락했고, B형 간염 치료제 ‘비리어드’(테노포비르 디소프록실)가 2,200만 달러로 15.4% 주저 앉았다.

항진균제 ‘암비솜’(암포테리신 B)이 1억500만 달러로 26.6%, 폐동맥 고혈압 치료제 ‘레타이리스’(Letairis: 암브리센탄)가 4,300만 달러로 6.5% 실적이 줄어들었다.

이날 길리어드 사이언스 측은 2022 회계연도 전체적으로 볼 때 259억~262억 달러 상당의 매출액을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해 당초 제시했던 245억~250억 달러에 비해 상향조정하는 자신감을 보였다.

주당순이익 역시 한 주당 3.35~3.55달러선으로 제시해 당초의 한 주당 2.90~3.30달러선에 비해 끌어올렸다.
전체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인기기사 더보기 +
인터뷰 더보기 +
면역항암제, 폐암 치료 성적 높이는 신호탄 되나?
약학회 학술대회서 빛난 미래 약학 이끌 신진 연구자들
" 'Nanozorb' 기술 건강식품 시장 게임 체인저 될 것"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글로벌]길리어드, ‘베클루리’ 급감 여파 3/4분기 5% ↓
아이콘 개인정보 수집 · 이용에 관한 사항 (필수)
  - 개인정보 이용 목적 : 콘텐츠 발송
- 개인정보 수집 항목 : 받는분 이메일, 보내는 분 이름, 이메일 정보
- 개인정보 보유 및 이용 기간 : 이메일 발송 후 1일내 파기
받는 사람 이메일
* 받는 사람이 여러사람일 경우 Enter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 (최대 5명까지 가능)
보낼 메세지
(선택사항)
보내는 사람 이름
보내는 사람 이메일
@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약업신문 타이틀 이미지
[글로벌]길리어드, ‘베클루리’ 급감 여파 3/4분기 5% ↓
이 정보를 스크랩 하시겠습니까?
스크랩한 정보는 마이페이지에서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Yakup.com All rights reserved.
약업신문 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