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당뇨병 환자 자살 위험이 높아 사회적 관심과 실질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당뇨병을 앓는 저소득층 자살 위험은 당뇨병이 없는 고소득층보다 4.34배나 높았다.
대한당뇨병학회(이사장 차봉수)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기반으로 '당뇨병 환자의 사회경제적 처지에 따른 자살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이번 분석은 2012~2022년 국가 건강검진을 받은 30~64세 343만9천170명이 낸 총 건강보험료(총 1~20분위)를 4분위로 나눠 소득에 따른 자살 관련성을 살펴보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 결과 당뇨병 발병 여부와 관계없이 소득이 낮을수록, 당뇨병이 없는 경우보다 당뇨병이 있는 경우 자살률이 더 높았다.
세부적으로 소득수준이 가장 높은 4분위 경우 비당뇨인보다 당뇨병 환자 자살 위험성이 1.25배 높았으며, 소득수준이 낮아질수록 자살 위험성은 더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당뇨병이 있는 의료급여 수급권자 경우 당뇨병이 없는 고소득층보다 자살 위험성이 4.34배 높았다. 저소득 상태가 오래 지속되는 당뇨인일수록 자살 위험은 더욱 높았다. 연구 기간 동안 하위 25% 저소득층에 속한 연속 횟수가 5회인 경우 자살 위험은 저소득층에 속하지 않은 비당뇨인 2배에 달했다.
소득수준 잦은 변화도 자살 위험성을 높이는 요인이었다.
소득 변화 정도를 4단계로 구분했을 때 소득 변동성이 가장 낮은 그룹(Q1) 자살 위험성은 당뇨병이 없는 수진자에 비해 1.21배 높았지만, 소득 변화가 가장 큰 그룹(Q4)에서는 이런 위험성이 1.89배로 상승했다.
당뇨병 환자만 분석했을 때도 소득수준에 따라 자살 위험성이 높아지는 연관성은 확연했다.
소득수준이 가장 높은 4분위 당뇨병 환자에 대비한 의료급여 수급권자 자살 위험성은 3.48배나 됐다. 또 10년 연속 하위 25% 저소득층에 속한 당뇨병 환자는 지속적인 저소득 경험이 없는 환자보다 자살 위험성이 1.56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차봉수 대한당뇨병학회 이사장(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교수)은 "당뇨병 환자의 장기간 투병 생활은 직장 생활 어려움, 실직, 경력단절 등 경제적 빈곤을 초래할 수 있다"며 "저소득으로 인한 개인의 우울증은 가정 불화나 가족 유대감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자살로 이어지곤 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생활고 등으로 자살 위험이 높아질 수 있는 당뇨병 환자를 조기 선별해 지원책을 펴는 등 정책적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게 학회 지적이다.
차 이사장은 "당뇨병 환자는 나이가 들어가면서 합병증 등으로 의료비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면서 "정부가 당뇨병 환자 경제적 어려움 뿐 아니라 이들이 겪는 정신건강 문제도 세심히 들여다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대한당뇨병학회는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와 오는 12월 1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공동 심포지엄을 개최해 급증하고 있는 국내 당뇨병 환자 현황과 지원정책, GLP-1 계열 주사제 관련 내용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룰 예정이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토니모리 ‘본셉’, 다이소서 립·아이 메이크업 신제품 19종 출시 |
2 | 오가노이드사이언스, 'ODC25' 성황리 마무리 |
3 | 셀트리온, 1Q 북미만 668억원 매출 기록…전년 동기比 248% 대폭 확대 |
4 | 와이바이오로직스, 크로스포인트서 '스텔스바디' Fc 사일런싱 기술 도입 |
5 | 샤페론, 염증복합체 억제제 플랫폼 기술 중국 진출 |
6 | 큐리진-압타머사이언스, '압타머-siRNA 복합형 표적 치료제' 공동개발 착수 |
7 | 현대ADM,고형암 '펨브롤리주맙-페니트리움' 병용 임상1상 신청 |
8 | '바이오스타 줄기세포 창생의학 임상센터 오픈 |
9 | 종근당, 미국 보스턴 ‘2025 CKD Pharm Golden Ticket’ 성료 |
10 | 암 검진 새로운 대안,미국 가던트사 ‘쉴드’ 혈액검사 국내 도입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는 당뇨병 환자 자살 위험이 높아 사회적 관심과 실질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당뇨병을 앓는 저소득층 자살 위험은 당뇨병이 없는 고소득층보다 4.34배나 높았다.
대한당뇨병학회(이사장 차봉수)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기반으로 '당뇨병 환자의 사회경제적 처지에 따른 자살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8일 밝혔다. 이번 분석은 2012~2022년 국가 건강검진을 받은 30~64세 343만9천170명이 낸 총 건강보험료(총 1~20분위)를 4분위로 나눠 소득에 따른 자살 관련성을 살펴보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이 결과 당뇨병 발병 여부와 관계없이 소득이 낮을수록, 당뇨병이 없는 경우보다 당뇨병이 있는 경우 자살률이 더 높았다.
세부적으로 소득수준이 가장 높은 4분위 경우 비당뇨인보다 당뇨병 환자 자살 위험성이 1.25배 높았으며, 소득수준이 낮아질수록 자살 위험성은 더 높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당뇨병이 있는 의료급여 수급권자 경우 당뇨병이 없는 고소득층보다 자살 위험성이 4.34배 높았다. 저소득 상태가 오래 지속되는 당뇨인일수록 자살 위험은 더욱 높았다. 연구 기간 동안 하위 25% 저소득층에 속한 연속 횟수가 5회인 경우 자살 위험은 저소득층에 속하지 않은 비당뇨인 2배에 달했다.
소득수준 잦은 변화도 자살 위험성을 높이는 요인이었다.
소득 변화 정도를 4단계로 구분했을 때 소득 변동성이 가장 낮은 그룹(Q1) 자살 위험성은 당뇨병이 없는 수진자에 비해 1.21배 높았지만, 소득 변화가 가장 큰 그룹(Q4)에서는 이런 위험성이 1.89배로 상승했다.
당뇨병 환자만 분석했을 때도 소득수준에 따라 자살 위험성이 높아지는 연관성은 확연했다.
소득수준이 가장 높은 4분위 당뇨병 환자에 대비한 의료급여 수급권자 자살 위험성은 3.48배나 됐다. 또 10년 연속 하위 25% 저소득층에 속한 당뇨병 환자는 지속적인 저소득 경험이 없는 환자보다 자살 위험성이 1.56배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차봉수 대한당뇨병학회 이사장(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교수)은 "당뇨병 환자의 장기간 투병 생활은 직장 생활 어려움, 실직, 경력단절 등 경제적 빈곤을 초래할 수 있다"며 "저소득으로 인한 개인의 우울증은 가정 불화나 가족 유대감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고 자살로 이어지곤 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생활고 등으로 자살 위험이 높아질 수 있는 당뇨병 환자를 조기 선별해 지원책을 펴는 등 정책적 대안 마련이 시급하다는 게 학회 지적이다.
차 이사장은 "당뇨병 환자는 나이가 들어가면서 합병증 등으로 의료비가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다"면서 "정부가 당뇨병 환자 경제적 어려움 뿐 아니라 이들이 겪는 정신건강 문제도 세심히 들여다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대한당뇨병학회는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와 오는 12월 13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공동 심포지엄을 개최해 급증하고 있는 국내 당뇨병 환자 현황과 지원정책, GLP-1 계열 주사제 관련 내용 등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룰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