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A교수가 전공의들을 대상으로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지속적 폭언 등 ‘직장 내 괴롭힘’을 자행해 충격을 주고 있다. 병원 내 인권센터는 다양한 피해상황들을 확보하고 조사에 착수했다.
약업닷컴이 입수한 제보 내용에 따르면 여러 피해자들의 신고가 접수된 게 대략 5월말에서 6월초이며, 인권센터는 지금까지 피해상황을 제보를 통해 확보하는데 주력했다.
지난주부터는 조사착수명령이 떨어져 해당 교수를 포함한 다양한 조사가 이뤄지고 있다. 취재에 따르면 피해자 중엔 젊은 전임의도 포함됐으며, 신고한 피해자 중엔 이미 수련을 마치고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까지 있어 직장 내 괴롭힘이 상당히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 이뤄져온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A 교수는 교수라는 지위와 관계의 우위를 이용해 신고인들에게 입에 담을 수 없는 폭언 등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는 문제 행위를 지속·반복적으로 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A 교수의 수위를 넘는 모욕적 발언으로 피해자들은 크나큰 정신적 고통에 시달린 것으로 알려졌다.
더 큰 문제는 산부인과가 필수과라는 점이다. 의대 정원 확대로 촉발한 전공의 집단사직 사태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산부인과 등 필수의료 과목 전공의들의 사직률은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공의 사직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18일 기준 전국의 인턴과 레지던트 전체 임용대상자 1만3531명 중 91.5%인 1만2380명이 현장에 복귀하지 않았다. 이중 산부인과 전공의 사직률은 61.2%에 달한다.
이 같은 상황에서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A 교수는 오히려 병원을 지키고 있는 필수과 전공의들을 내쫓고 있는 셈이다.
지난해 실시한 2024년 상반기 전공의 1년차 선발결과를 보면 산부인과는 정원 183명 중 116명을 선발해 확보율이 63.4%에 그쳤다. 이마저도 2023년도 선발결과보다 8.5%p 하락한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분당서울대병원 A 교수와 같은 불미스러운 사태가 자꾸 발생한다면 산부인과의 위기는 더욱 가중될 것이라는 게 업계 우려다.
한편 병원 관계자는 “인권센터에 연락을 해본 결과, 외부 부서에 얘기를 해줄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는 답변만 받았다”며 “지금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네이처셀, '조인트스템' 미국FDA 제2b/3a상 국내 임상실시기관 추가 승인 |
2 | 커지고 단단해진 ‘발기부전 치료제’ 시장, 너도 나도 줄 ‘섰다’ |
3 | 제약바이오 혁신, ‘제2의 한강의 기적’ 이끌다 |
4 | 당뇨병, 유전자가위로 '싹둑' 자르는 시대 올까? |
5 | 코아스템켐온 "루게릭병 치료제 ‘뉴로나타-알’ 3상 투약 완료" |
6 | '혈당관리'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 600억 시대 |
7 | 김형식 성균관약대 교수, 54대 대한약학회장 당선 |
8 | HLB 간암신약 '리보세라닙',미국 FDA 'BIMO' 실사 일정 통보 |
9 | 서흥‧일동‧콜마, 작년 건기식 매출 뚝 |
10 | 당뇨병 복합제…2제는 기본, 지금은 3제 시대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A교수가 전공의들을 대상으로 우월적 지위를 이용한 지속적 폭언 등 ‘직장 내 괴롭힘’을 자행해 충격을 주고 있다. 병원 내 인권센터는 다양한 피해상황들을 확보하고 조사에 착수했다.
약업닷컴이 입수한 제보 내용에 따르면 여러 피해자들의 신고가 접수된 게 대략 5월말에서 6월초이며, 인권센터는 지금까지 피해상황을 제보를 통해 확보하는데 주력했다.
지난주부터는 조사착수명령이 떨어져 해당 교수를 포함한 다양한 조사가 이뤄지고 있다. 취재에 따르면 피해자 중엔 젊은 전임의도 포함됐으며, 신고한 피해자 중엔 이미 수련을 마치고 병원을 떠난 전공의들까지 있어 직장 내 괴롭힘이 상당히 오랜 기간 지속적으로 이뤄져온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A 교수는 교수라는 지위와 관계의 우위를 이용해 신고인들에게 입에 담을 수 없는 폭언 등 업무상 적정범위를 넘는 문제 행위를 지속·반복적으로 행한 것으로 나타났다.
A 교수의 수위를 넘는 모욕적 발언으로 피해자들은 크나큰 정신적 고통에 시달린 것으로 알려졌다.
더 큰 문제는 산부인과가 필수과라는 점이다. 의대 정원 확대로 촉발한 전공의 집단사직 사태가 장기화하는 가운데 산부인과 등 필수의료 과목 전공의들의 사직률은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김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전공의 사직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 7월 18일 기준 전국의 인턴과 레지던트 전체 임용대상자 1만3531명 중 91.5%인 1만2380명이 현장에 복귀하지 않았다. 이중 산부인과 전공의 사직률은 61.2%에 달한다.
이 같은 상황에서 분당서울대병원 산부인과 A 교수는 오히려 병원을 지키고 있는 필수과 전공의들을 내쫓고 있는 셈이다.
지난해 실시한 2024년 상반기 전공의 1년차 선발결과를 보면 산부인과는 정원 183명 중 116명을 선발해 확보율이 63.4%에 그쳤다. 이마저도 2023년도 선발결과보다 8.5%p 하락한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분당서울대병원 A 교수와 같은 불미스러운 사태가 자꾸 발생한다면 산부인과의 위기는 더욱 가중될 것이라는 게 업계 우려다.
한편 병원 관계자는 “인권센터에 연락을 해본 결과, 외부 부서에 얘기를 해줄 수 있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는 답변만 받았다”며 “지금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