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사랑병원(병원장 고용곤)이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 손상의 재생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세사랑병원 연구팀은 연골 조직과 잘 맞는 물성, 즉 물질이 갖고 있는 성질을 가진 최적화한 ‘스캐폴드(지지체)’를 이용하는 것이 연골 생성에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스캐폴드는 세포가 부착해 잘 자랄 수 있게 증식, 분화하는 데 담체 역할을 하는 조직화된 구조 이자 공간,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이다.
이번 연구 목적은 의료영상 및 기계조절이론으로 개발한 3차원 무릎관절을 이용, 연골재생에 필요한 최적 지지체의 기계적 성질을 예측하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에 따르면, 연골재생이 잘되기 위해서는 기존 연골과 잘 맞는 성질의 물질을 가지는 지지체를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팀은 이를 위해 최적의 기계적 특성을 가진 스캐폴드는 더 많은 양의 연골 조직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결과를 증명했다.
또 연구에서는 최적화한 스캐폴드를 설계하는 알고리즘의 능력을 입증했으며, 조직 공학을 위한 설정된 기술의 무한한 적용 가능성도 확인했다.
고용곤 병원장은 “이번 연구 성과는 조직재생을 위한 환자 중심의 혁신적 접근법과 최첨단 기술의 융합을 통해 얻어진 결과로, 연골재생과 무릎 관절 치료 분야에서 최적의 효율을 높이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이번 논문은 ‘Optimal mechanical properties of a scaffold for cartilage regeneration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한정된 요소 분석을 이용한 연골 재생용 지지체의 최적 기계적 특성)’이라는 제목으로 조직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Journal of tissue engineering(피인용지수 6.7)’에 게재됐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지난해 12월 상장 제약바이오 부채비율 코스피 78.30%-코스닥 67.38% |
2 | 고려은단 '멀티비타민 올인원' 일부 제품 표시 기준 허용치 초과 회수 |
3 | 동성제약, 최대주주 이양구 외 5인에서 변경 |
4 | 상장 화장품 기업 2024년 지배지분순익 평균 316억…전년비 70.0% ↑ |
5 | "신약 개발, 초기단계부터 QbD 필수...플랫폼 기반 접근도 추천" |
6 | "CMC는 전략이자 핵심 축" FDA 출신 박준태 박사가 전하는 신약개발 전략 |
7 | 오스코텍,AXL 저해제 'SKI-G-801' 임상1상 CSR 수령 |
8 | 종근당,2형 당뇨병 치료제 2종 품목허가 신청 |
9 | 리제네론, 미국 생물의약품 제조 확대 30억 달러 투자 |
10 | K-뷰티 브랜드, 아마존 뷰티 '베스트셀러'에 3개 진입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연세사랑병원(병원장 고용곤)이 관절을 보호하는 연골 손상의 재생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세사랑병원 연구팀은 연골 조직과 잘 맞는 물성, 즉 물질이 갖고 있는 성질을 가진 최적화한 ‘스캐폴드(지지체)’를 이용하는 것이 연골 생성에 핵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증명했다.
스캐폴드는 세포가 부착해 잘 자랄 수 있게 증식, 분화하는 데 담체 역할을 하는 조직화된 구조 이자 공간,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이다.
이번 연구 목적은 의료영상 및 기계조절이론으로 개발한 3차원 무릎관절을 이용, 연골재생에 필요한 최적 지지체의 기계적 성질을 예측하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연구에 따르면, 연골재생이 잘되기 위해서는 기존 연골과 잘 맞는 성질의 물질을 가지는 지지체를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연구팀은 이를 위해 최적의 기계적 특성을 가진 스캐폴드는 더 많은 양의 연골 조직 형성을 유도할 수 있다는 결과를 증명했다.
또 연구에서는 최적화한 스캐폴드를 설계하는 알고리즘의 능력을 입증했으며, 조직 공학을 위한 설정된 기술의 무한한 적용 가능성도 확인했다.
고용곤 병원장은 “이번 연구 성과는 조직재생을 위한 환자 중심의 혁신적 접근법과 최첨단 기술의 융합을 통해 얻어진 결과로, 연골재생과 무릎 관절 치료 분야에서 최적의 효율을 높이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한편 이번 논문은 ‘Optimal mechanical properties of a scaffold for cartilage regeneration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한정된 요소 분석을 이용한 연골 재생용 지지체의 최적 기계적 특성)’이라는 제목으로 조직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Journal of tissue engineering(피인용지수 6.7)’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