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의료현장에서 AI가 의사를 대신해 진료한 리얼월드(Real-World Data, RWD) 연구 결과가 공개됐다. AI는 의사 보다 암을 더 많이 발견하고, 판독시간을 줄였다.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대표 서범석)은 1일부터 4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2024 북미 영상의학회(Radiological Society of North America 2024, 이하 RSNA 2024)’에서 유방암 진단 AI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를 실제 의료현장에 도입한 이후 약 1년간의 실사용 임상 데이터(RWD)를 발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스웨덴 최대 규모 사립병원 ‘카피오 세인트괴란 병원(Capio S:t Göran Hospital, 이하 세인트괴란 병원)'에서 이뤄졌다. 세인트괴란 병원은 지난해 6월 유방암 진단 시 2명의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판독하도록 권고한 유럽 ‘이중 판독(Double Reading)’ 제도에 대해 의사 1명을 대신해 AI를 도입, 실사용 임상을 진행했다.
세인트괴란 병원 카린 뎀브로워 박사(Dr. Karin Dembrower) 연구팀은 AI 도입 전인 2018년 7월부터 2019년 3월까지 환자 검진 데이터와 AI 도입 후인 2023년 7월부터 2024년 3월까지 검진을 받은 5만 5천여명 데이터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수검자 1,000명당 암 발견율(CDR)은 AI 도입 전 4.8명에서 도입 후 5.5명으로 15% 증가했다. 이상 소견 이후 추가적인 검사를 위해 환자를 다시 소환하는 리콜률(Recall rate)은 2.8%에서 2.5%로 11% 낮아져, 많은 환자들이 추가 검사 결과를 기다리며 겪는 불필요한 불안감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됐다.
또, 추가 검사 환자 가운데 실제 암이 발견되는 비율을 나타내는 양성예측도(PPV)는 16.9%에서 22.1%로 크게 증가했고, 양성으로 진단했지만 최종 판정은 음성으로 밝혀지는 위양성률(FPR)도 89.6%에서 78%로 줄어들었다. 이는 이중 판독 과정에 의사 1명 대신 AI를 투입한 결과, 불필요한 재검사는 크게 줄이는 동시에 암 발견 정확도는 높였음을 의미한다.
업무 효율성도 개선됐다. AI 도입 이후 의료진 판독 시간도 36% 감소해 의료진이 더욱 복잡한 사례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왔다. 특히, 기존에는 환자가 유방촬영 결과를 받기까지 약 5~6주가 걸렸지만, AI 도입 후 결과를 즉시 받아볼 수 있게 됐다.
카린 뎀브로워 박사는 “루닛 AI 솔루션은 이미 병원 내 유방암 검진 시스템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으며, 이번 실사용 연구 결과를 통해 스웨덴 및 유럽 내 다른 병원에서도 AI 도입을 적극 검토하게 될 것”이라며 “특히 의료진 입장에서는 AI 도입 후 판독 시간이 크게 줄어 보다 중요한 업무에 집중할 수 있다는 것도 매우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올해 RSNA 학회에서는 영상의학 분야에서 AI의 역할이 크게 강조되는 가운데, 이번 연구를 통해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도움을 주는 AI 솔루션 역할을 구체적으로 입증하게 됐다”며 “루닛은 앞으로도 암 검진 미래를 재정의하는 혁신을 계속해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세인트괴란 병원은 의료진 약 1,500명이 근무하는 스웨덴 최대 규모 사립병원으로, 연간 유방촬영술 약 78,000건을 시행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RSNA 2024에서 카린 뎀브로워 박사가 직접 발표했으며, AI 성공적 임상 적용 사례로 글로벌 의료계 주목을 받았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ADC, 1차 치료제 시대 임박…혁신 표적·페이로드 기술이 승부수" |
2 | 잇따른 '유통마진 인하'에...생존 위협받는 의약품유통업계 |
3 | 한국바이오협회,유럽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들과 네트워킹 통한 협력 추진 |
4 | 넥스트바이오메디컬,내시경용 지혈제 ‘Nexpowder’ 일본 첫 수출 |
5 | FDA, 일부 여드름 개선제서 벤젠 검출 리콜결정 |
6 | 선정성·인종차별 …무책임한 온라인 화장품 광고 |
7 | GSK, 6개월 지속형 HIV 치료제 개발 속도낸다 |
8 | [인터뷰] ‘불가사리’로 지구와 피부를 모두 이롭게 |
9 | 인니(印尼) 뷰티마켓 붐 ‘키 트렌드’ 알고 있니? |
10 | 현대바이오·ADM, ”가짜내성,진짜내성 오인 항암치료 80년 최대 오류 실증“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실제 의료현장에서 AI가 의사를 대신해 진료한 리얼월드(Real-World Data, RWD) 연구 결과가 공개됐다. AI는 의사 보다 암을 더 많이 발견하고, 판독시간을 줄였다.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대표 서범석)은 1일부터 4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2024 북미 영상의학회(Radiological Society of North America 2024, 이하 RSNA 2024)’에서 유방암 진단 AI 솔루션 ‘루닛 인사이트 MMG’를 실제 의료현장에 도입한 이후 약 1년간의 실사용 임상 데이터(RWD)를 발표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스웨덴 최대 규모 사립병원 ‘카피오 세인트괴란 병원(Capio S:t Göran Hospital, 이하 세인트괴란 병원)'에서 이뤄졌다. 세인트괴란 병원은 지난해 6월 유방암 진단 시 2명의 영상의학과 전문의가 판독하도록 권고한 유럽 ‘이중 판독(Double Reading)’ 제도에 대해 의사 1명을 대신해 AI를 도입, 실사용 임상을 진행했다.
세인트괴란 병원 카린 뎀브로워 박사(Dr. Karin Dembrower) 연구팀은 AI 도입 전인 2018년 7월부터 2019년 3월까지 환자 검진 데이터와 AI 도입 후인 2023년 7월부터 2024년 3월까지 검진을 받은 5만 5천여명 데이터를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수검자 1,000명당 암 발견율(CDR)은 AI 도입 전 4.8명에서 도입 후 5.5명으로 15% 증가했다. 이상 소견 이후 추가적인 검사를 위해 환자를 다시 소환하는 리콜률(Recall rate)은 2.8%에서 2.5%로 11% 낮아져, 많은 환자들이 추가 검사 결과를 기다리며 겪는 불필요한 불안감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됐다.
또, 추가 검사 환자 가운데 실제 암이 발견되는 비율을 나타내는 양성예측도(PPV)는 16.9%에서 22.1%로 크게 증가했고, 양성으로 진단했지만 최종 판정은 음성으로 밝혀지는 위양성률(FPR)도 89.6%에서 78%로 줄어들었다. 이는 이중 판독 과정에 의사 1명 대신 AI를 투입한 결과, 불필요한 재검사는 크게 줄이는 동시에 암 발견 정확도는 높였음을 의미한다.
업무 효율성도 개선됐다. AI 도입 이후 의료진 판독 시간도 36% 감소해 의료진이 더욱 복잡한 사례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왔다. 특히, 기존에는 환자가 유방촬영 결과를 받기까지 약 5~6주가 걸렸지만, AI 도입 후 결과를 즉시 받아볼 수 있게 됐다.
카린 뎀브로워 박사는 “루닛 AI 솔루션은 이미 병원 내 유방암 검진 시스템 핵심 요소로 자리 잡았으며, 이번 실사용 연구 결과를 통해 스웨덴 및 유럽 내 다른 병원에서도 AI 도입을 적극 검토하게 될 것”이라며 “특히 의료진 입장에서는 AI 도입 후 판독 시간이 크게 줄어 보다 중요한 업무에 집중할 수 있다는 것도 매우 큰 장점”이라고 말했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올해 RSNA 학회에서는 영상의학 분야에서 AI의 역할이 크게 강조되는 가운데, 이번 연구를 통해 의료진과 환자 모두에게 도움을 주는 AI 솔루션 역할을 구체적으로 입증하게 됐다”며 “루닛은 앞으로도 암 검진 미래를 재정의하는 혁신을 계속해서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세인트괴란 병원은 의료진 약 1,500명이 근무하는 스웨덴 최대 규모 사립병원으로, 연간 유방촬영술 약 78,000건을 시행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RSNA 2024에서 카린 뎀브로워 박사가 직접 발표했으며, AI 성공적 임상 적용 사례로 글로벌 의료계 주목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