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뇨병 및 만성 심부전 치료에 활용되는 'SGLT2 억제제'가 당뇨병 환자의 급성 심부전의 퇴원 후 예후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신주영 교수 연구팀(1저자 현 UCL 소속 박소희 박사, 공저자 이혜성 연구교수, 정한얼 박사)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유승찬 교수 공동연구팀은 국내 당뇨병 환자 중 급성심부전이 발생한 환자 5만 6343명을 추적 관찰해 SGLT2-억제제 사용에 따른 퇴원 후 심부전 재입원률 및 심혈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급성 심부전은 국내 연구 결과 1년 사망률이 10%가 넘는 예후가 매우 나쁜 질환 중 하나로, 예후를 개선시킬 수 있는 초기 치료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SGLT2 억제제가 만성 심부전 치료제로 인정받으며 대한심부전학회에서 개정한 가이드라인에도 심부전 치료제로서 자리잡았지만, 급성 심부전으로 입원한 환자들에 대한 치료 효과는 아직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다.
연구팀은 건강보험청구자료를 활용하여 국내 당뇨병 환자 중 2016부터 2019년까지 급성심부전이 발생해 입원한 환자 3만여명을 입원 중 또는 퇴원 시 사용한 약제에 따라 SGLT2억제제 사용자군과 비사용자군으로 구분하고, 군 간 다른 요인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위해 성향점수 역확률 가중치 방법을 활용했다.
이후 퇴원일로부터 1년간 추적관찰하여 심부전으로 인한 재입원률과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종합적·개별적으로 측정하고, 그룹 간 차이를 비교분석했다.
분석 결과, SGLT2-억제제를 처방 받은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퇴원 후 1년 이내 심부전 재입원 또는 심혈관 사망 발생 위험이 10% 낮았으며, 특히 재입원 위험이 높은 퇴원 직후 30일 동안에는 26% 낮았다.
SGLT2-억제제가 재입원 위험이 높은 퇴원 직후 예후에 더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기존의 심부전 치료제와 구별되는 SGLT2-억제제의 기전 때문일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가설이다. 기존 약제들이 대개 신경호르몬 중계물질들의 영향을 억제하는 기전이었던 것과 달리, SGLT2-억제제는 포도당 재흡수 과정을 억제하여 삼투성 이뇨를 일으킨다. SGLT2-억제제는 이를 통해 장기적인 심혈관 보호 효과에 더해 울혈 및 관련 증상의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것.
다만 연구팀은 본 연구가 모든 급성심부전 환자가 아닌 제2형 당뇨병 환자 중 급성심부전이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제한된 결과이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주의해서 해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주영 교수는 “최근 다양한 적응증으로 각광받고 있는 SGLT2-억제제가 급성심부전의 치료에서도 주요한 역할을 하게 될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향후 구체적인 급성심부전 치료 가이드라인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대규모 국내 의료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도출된 연구 결과가 급성심부전 환자 및 의료진들의 치료 선택에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당뇨 및 심혈관 분야 국제학술지 ‘Cardiovascular Diabet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미국 하원의장,'바이오' 시선 집중 '생물보안법' 연내 통과 최후수단 강구 |
2 | 3Q 누적 영업이익 톱5 삼바∙셀트리온∙한미약품∙대웅제약∙종근당 |
3 | 제약바이오,3Q 누적 순익 톱5 삼바∙셀트리온∙한미약품∙종근당∙유한양행 |
4 | 제약바이오 3Q 누적 상품매출 코스피 톱5 '광동제약∙유한양행∙종근당∙GC녹십자∙보령' |
5 | 이엔셀, 희귀난치질환 'CMT1A' 새 치료 가능성 제시…"인슐린 관련 최초 발견" |
6 | 네이처셀, 줄기세포 재생의료 원료 수출 호조 |
7 | 장동석 전 약준모 회장, 3년 전 최광훈 후보와 단일화 합의문 공개 |
8 | 제노포커스,김의중-김도연 각자대표 체제 돌입- 상호도 변경 |
9 | 이변 낳은 온라인투표, 젊은 藥心 선택 '권영희'..첫 여성 대한약사회장 '등극' |
10 | 제약바이오 3Q 누적 해외매출 톱5 삼바∙셀트리온∙한미약품∙SK바이오팜∙GC녹십자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당뇨병 및 만성 심부전 치료에 활용되는 'SGLT2 억제제'가 당뇨병 환자의 급성 심부전의 퇴원 후 예후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균관대학교 약학대학 신주영 교수 연구팀(1저자 현 UCL 소속 박소희 박사, 공저자 이혜성 연구교수, 정한얼 박사)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유승찬 교수 공동연구팀은 국내 당뇨병 환자 중 급성심부전이 발생한 환자 5만 6343명을 추적 관찰해 SGLT2-억제제 사용에 따른 퇴원 후 심부전 재입원률 및 심혈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급성 심부전은 국내 연구 결과 1년 사망률이 10%가 넘는 예후가 매우 나쁜 질환 중 하나로, 예후를 개선시킬 수 있는 초기 치료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SGLT2 억제제가 만성 심부전 치료제로 인정받으며 대한심부전학회에서 개정한 가이드라인에도 심부전 치료제로서 자리잡았지만, 급성 심부전으로 입원한 환자들에 대한 치료 효과는 아직 근거가 부족한 실정이다.
연구팀은 건강보험청구자료를 활용하여 국내 당뇨병 환자 중 2016부터 2019년까지 급성심부전이 발생해 입원한 환자 3만여명을 입원 중 또는 퇴원 시 사용한 약제에 따라 SGLT2억제제 사용자군과 비사용자군으로 구분하고, 군 간 다른 요인이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위해 성향점수 역확률 가중치 방법을 활용했다.
이후 퇴원일로부터 1년간 추적관찰하여 심부전으로 인한 재입원률과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을 종합적·개별적으로 측정하고, 그룹 간 차이를 비교분석했다.
분석 결과, SGLT2-억제제를 처방 받은 그룹이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퇴원 후 1년 이내 심부전 재입원 또는 심혈관 사망 발생 위험이 10% 낮았으며, 특히 재입원 위험이 높은 퇴원 직후 30일 동안에는 26% 낮았다.
SGLT2-억제제가 재입원 위험이 높은 퇴원 직후 예후에 더 영향을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기존의 심부전 치료제와 구별되는 SGLT2-억제제의 기전 때문일 수 있다는 것이 연구팀의 가설이다. 기존 약제들이 대개 신경호르몬 중계물질들의 영향을 억제하는 기전이었던 것과 달리, SGLT2-억제제는 포도당 재흡수 과정을 억제하여 삼투성 이뇨를 일으킨다. SGLT2-억제제는 이를 통해 장기적인 심혈관 보호 효과에 더해 울혈 및 관련 증상의 개선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것.
다만 연구팀은 본 연구가 모든 급성심부전 환자가 아닌 제2형 당뇨병 환자 중 급성심부전이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제한된 결과이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주의해서 해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주영 교수는 “최근 다양한 적응증으로 각광받고 있는 SGLT2-억제제가 급성심부전의 치료에서도 주요한 역할을 하게 될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향후 구체적인 급성심부전 치료 가이드라인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대규모 국내 의료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도출된 연구 결과가 급성심부전 환자 및 의료진들의 치료 선택에 도움이 되길 희망한다”고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당뇨 및 심혈관 분야 국제학술지 ‘Cardiovascular Diabet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