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ADHD의 주요 증상인 주의력 결핍으로 인해 환자들이 공부나 직장생활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확인됐다. 전문가는 증상을 자각하기 쉽지 않은 만큼,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를 동시에 진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지수혁 교수<사진>는 최근 소아ADHD 환자 중 70%가 성인기에서도 증상을 보이고 있을 만큼 많이 나타나고 있다며, ADHD와 성인ADHD 특징에 대해 분석했다.
ADHD(주의력결핍 과다 행동장애)는 지속적으로 주의력이 부족해 산만하고 과다활동, 충동성을 보이는 질환이다. ADHD는 주로 아동기에 많이 나타나는 질환이지만 성인기가 돼서도 나타난다.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표한 'ADHD 진료현황' 분석 결과 지난 2017년 5만3056명이었던 국내 ADHD 환자는 지난 2021년 10만2322명으로 92.9% 증가했다.
지 교수는 “성인ADHD는 시간이 지나면서 자신의 행동에 적응돼 스스로 자각하기 어려워 치료 받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특히 소아기때 ADHD 진단을 받았다면 지속적인 확인과 치료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지 교수에 따르면 소아ADHD 환자 70%가 성인기까지 이어진다. ADHD는 신경 발달 질환 일종으로 뇌 특정 부위의 회로 및 발달 이상으로 생기는 질환으로, 일반적으로 소아기에 증상이 시작돼 학령기부터 눈에 띄며, 증상이 다소의 변동을 거쳐 성인기에 가까워질수록 경감되는 편이다.
ADHD 증상은 크게 주의력 결핍, 충동성, 과잉행동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충동성 및 과잉행동은 주로 가만히 있지 못하고 꼼지락거리거나 조용히 있어야 하는 장소나 상황에서도 그러지 못한다. 주의력 결핍은 어떤 일에 집중하지 못하는 증상을 보인다.
지 교수는 “성인ADHD 환자 대부분이 주의력 결핍 증상을 보인다”며 “이는 당장의 만족을 찾게 돼 공부나 직장생활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특히 충동성, 과잉행동이 소아기에 비해 두드러지지 않기 때문에 자각하기 쉽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ADHD 치료는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를 동시에 진행해야 한다”며 “ADHD 치료는 약물학적 치료와 비약물학적치료로 나눌 수 있다. 약물치료는 ‘메칠페니데이트’, ‘아토목세틴’ 계통 약물을 사용하며, 비약물학적치료법은 안지행동 치료 등을 시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이 두 가지 치료법은 선택해서 할 수 있는 치료법이 아니며, 각각 맡은 영역이 다르기 때문에 병행해서 치료하는 것이 좋다”고 전했다.
지 교수는 “ADHD는 우울장애·불안장애 등으로 이어질 수 있어 반드시 치료 받아야 한다”며 ADHD 치료가 중요한 이유는 2차적인 증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충동성이 높고 주의력이 저하되면서 회사나 어떤 목표에 있어 성취도를 얻기 힘들고, 대인관계와 같은 사회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런 문제로 우울장애·불안장애·양극성장애·충동조절 장애와 같은 공존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