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 온라인몰의 카드 포인트 등이 리베이트 용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약국 반품 보상 플랫폼 '약올려'는 의약품 구매 시 최대 7% 혜택을 제공 중이다. 약올려가 제공하는 총 7% 혜택은 금융할인 1.8%에 카드포인트 1.2%, 약올려 포인트 적립 4% 등 구성이다. 타 온라인몰보다 3% 이상 이익을 챙길 수 있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약올려는 의약품 구매 품목 별로 최대 20%가 적립 가능하며 이 포인트로 의약품 재구매가 가능한데, 약올려가 올린 품목과 적립 포인트를 살펴보면 종합 의약품 유통업체가 제약사에 받는 유통 마진 수준까지 육박한다.
의약품유통업체 관계자는 "의약품 유통업체들의 약국 의약품 마진 수준의 포인트를 적립해주는 것에 자괴감을 느낄 정도"라며 "제약사들은 매년 마진을 인하하는데, 온라인 플랫폼에서 어떻게 이런 포인트 적립이 가능한지 제약사들에게 되묻고 싶다"고 말했다.
셀트리온 고덱스, 한독 아리셉트, 한미약품 로수젯, JW중외제약 로수젯이 무려 7%의 포인트를 제공하고 있으며 동아에스티 플라비톨, 건일제약 오마코연질캡슐, 유한양행 로수바이브정, 한미약품 로수젯 등은 4.5% 이상 포인트를 제공한다.
특히 낮은 의약품 유통 마진으로 의약품 유통업체들로부터 눈총을 받고 있는 길리어드 비리어드정도 무려 2.5%의 포인트를 제공하고 있어 의약품 유통업계가 허탈해하고 있다.
약올려가 제공하는 4.5~7%의 포인트는 금융할인 1.8%, 카드 포인트 적립 1.2%를 제외한 것으로 포인트 제공이 과도한 수준이라는 게 의약품 유통업계 얘기다.
약올려에 의약품을 제공하는 의약품 유통업체를 살펴보면 중소병원 전납하는 등 품목 의약품유통업체들이 대부분으로, 제약사들의 의약품 관리에 헛점을 보이고 있다.
약업발전협의회도 최근 회의를 개최하고 일부 온라인몰에서 제공하고 있는 과도한 포인트 제공에 우려감을 표명하고 정부차원에서의 대책을 촉구했다.
카드 포인트는 그동안 일부 요양기관에서 발생한 과도한 채권을 정상적으로 돌리기 위한 수단이었는데 이제는 도를 넘어 리베이트 수준을 넘어섰다는 것.
약업발전협의회 관계자는 "과도한 카드 포인트 제공은 온라인몰로 끌어들이기 위해 플랫폼 회사가 카드사를 앞세워 만든 변칙 리베이트 합작품"이라며 "정부차원에서 이제는 의약품 플랫폼 회사를 비롯해 카드사에 제공하는 과한 포인트 정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블록버스터 의약품 시대 끝나나?…'바이오시밀러 폭풍' 코 앞 |
2 | 환인제약, 지난해 매출 2596억원...전년동기比 12.7%↑ |
3 | 고려제약, 상품 매출과 영업이익 크게 하락...순익은 '흑자전환' |
4 | 한국 자생식물이 화장품 원료로…연구개발 활발 |
5 | 디지털 치료제 100억 달러 성장 전망…보험수가‧경제성 평가 기준 확립 요구 |
6 | 폴라리스AI파마, 지난해 영업이익 96.7% 폭락...순이익은↑ |
7 | 다계통 위축증 치료제 FDA ‘희귀의약품’ 지정 |
8 | 메디컬아이피, 비전프로로 보는 3D 인체…GTC서 첫 공개 |
9 | 제테마, 더마 코스메틱 브랜드 ‘에피티크 바이덤’ 패키지 디자인 전면 리뉴얼 |
10 | 돌아오지 않는 전공의-의대생...한의협 "한의사 활용이 답"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의약품 온라인몰의 카드 포인트 등이 리베이트 용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1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약국 반품 보상 플랫폼 '약올려'는 의약품 구매 시 최대 7% 혜택을 제공 중이다. 약올려가 제공하는 총 7% 혜택은 금융할인 1.8%에 카드포인트 1.2%, 약올려 포인트 적립 4% 등 구성이다. 타 온라인몰보다 3% 이상 이익을 챙길 수 있다는 게 회사 설명이다.
약올려는 의약품 구매 품목 별로 최대 20%가 적립 가능하며 이 포인트로 의약품 재구매가 가능한데, 약올려가 올린 품목과 적립 포인트를 살펴보면 종합 의약품 유통업체가 제약사에 받는 유통 마진 수준까지 육박한다.
의약품유통업체 관계자는 "의약품 유통업체들의 약국 의약품 마진 수준의 포인트를 적립해주는 것에 자괴감을 느낄 정도"라며 "제약사들은 매년 마진을 인하하는데, 온라인 플랫폼에서 어떻게 이런 포인트 적립이 가능한지 제약사들에게 되묻고 싶다"고 말했다.
셀트리온 고덱스, 한독 아리셉트, 한미약품 로수젯, JW중외제약 로수젯이 무려 7%의 포인트를 제공하고 있으며 동아에스티 플라비톨, 건일제약 오마코연질캡슐, 유한양행 로수바이브정, 한미약품 로수젯 등은 4.5% 이상 포인트를 제공한다.
특히 낮은 의약품 유통 마진으로 의약품 유통업체들로부터 눈총을 받고 있는 길리어드 비리어드정도 무려 2.5%의 포인트를 제공하고 있어 의약품 유통업계가 허탈해하고 있다.
약올려가 제공하는 4.5~7%의 포인트는 금융할인 1.8%, 카드 포인트 적립 1.2%를 제외한 것으로 포인트 제공이 과도한 수준이라는 게 의약품 유통업계 얘기다.
약올려에 의약품을 제공하는 의약품 유통업체를 살펴보면 중소병원 전납하는 등 품목 의약품유통업체들이 대부분으로, 제약사들의 의약품 관리에 헛점을 보이고 있다.
약업발전협의회도 최근 회의를 개최하고 일부 온라인몰에서 제공하고 있는 과도한 포인트 제공에 우려감을 표명하고 정부차원에서의 대책을 촉구했다.
카드 포인트는 그동안 일부 요양기관에서 발생한 과도한 채권을 정상적으로 돌리기 위한 수단이었는데 이제는 도를 넘어 리베이트 수준을 넘어섰다는 것.
약업발전협의회 관계자는 "과도한 카드 포인트 제공은 온라인몰로 끌어들이기 위해 플랫폼 회사가 카드사를 앞세워 만든 변칙 리베이트 합작품"이라며 "정부차원에서 이제는 의약품 플랫폼 회사를 비롯해 카드사에 제공하는 과한 포인트 정리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