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품유통업체와 약국들이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의 낮은 유통 마진으로 불만이 커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필수의약품이었던 만큼 퇴장방지의약품 수준의 마진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화이자제약 팍스로비드는 건강보험이 적용되면서 의약품유통업체들에게 4% 마진만 제공하고 있다.
현재 의약품유통업체는 약국 거래 시 카드 수수료만 약 4% 발생하는데 팍스로비드를 판매하면 팔수록 손해를 보는 구조가 형성된 것이다.
이에 일부 의약품유통업체는 약국 판매시 반품 불가 조건으로 판매하거나 일각에서는 카드 결제가 아닌 현금 결제를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어 일선 약국에서도 반발을 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의약품유통업체 관계자는 "국가 필수의약품으로 지정됐던 팍스로비드를 시장에서 유통될 수 없는 마진을 주는 것은 정부가 유통업계와 약국가를 너무 무시하는 것 아니냐"며 "저마진을 고수한다면 팍스로비드 취급 거부 목소리가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국가가 공급하던 필수의약품이 일반 유통으로 전환된 만큼 팍스로비드를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줘야 하는데 4% 마진으로는 약국에 공급하기는 힘들다"고 호소했다.
이에 한국의약품유통협회와 약사회 차원에서도 팍스로비드 유통 문제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내부적으로 대응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의약품유통협회 관계자는 "코로나19 치료제가 시중에 원활하게 유통될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며 "필수의약품이었던 만큼 최소한 퇴장방지의약품 수준의 유통 마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의약품유통업계 내부에서는 차라리 계속해서 정부가 책임지고 약국에 배송하는 것이 좋겠다는 푸념도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HLB, 리보세라닙 FDA 승인 미궁 속으로…"CMC 문제 여전" |
2 | 에이프로젠바이오로직스, 2년 연속 순이익 1000억대 '충격 적자' |
3 | 네이처셀, 조인트스템 FDA '혁신적 치료제 지정' 획득 |
4 | "ADC, 1차 치료제 시대 임박…혁신 표적·페이로드 기술이 승부수" |
5 | HLB테라퓨틱스, 전년 영업익 -76억원·순익 -235억원 '적자 지속' |
6 | 블록버스터 의약품 시대 끝나나?…'바이오시밀러 폭풍' 코 앞 |
7 | HLB파나진, 분자진단 매출 100억원 '임박' 전년比 17% 상승 |
8 | “또 보완?” HLB, 리보세라닙 FDA 제동…반복된 실책에 쏟아지는 의문 |
9 | 바이넥스, 수익성 지표 하락세…2024년 매출 1301억원 전년比 16% 감소 |
10 | 알테오젠,미국 '메드이뮨'사와 총 8,700억원 규모 라이선스 계약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의약품유통업체와 약국들이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의 낮은 유통 마진으로 불만이 커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필수의약품이었던 만큼 퇴장방지의약품 수준의 마진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화이자제약 팍스로비드는 건강보험이 적용되면서 의약품유통업체들에게 4% 마진만 제공하고 있다.
현재 의약품유통업체는 약국 거래 시 카드 수수료만 약 4% 발생하는데 팍스로비드를 판매하면 팔수록 손해를 보는 구조가 형성된 것이다.
이에 일부 의약품유통업체는 약국 판매시 반품 불가 조건으로 판매하거나 일각에서는 카드 결제가 아닌 현금 결제를 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어 일선 약국에서도 반발을 사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의약품유통업체 관계자는 "국가 필수의약품으로 지정됐던 팍스로비드를 시장에서 유통될 수 없는 마진을 주는 것은 정부가 유통업계와 약국가를 너무 무시하는 것 아니냐"며 "저마진을 고수한다면 팍스로비드 취급 거부 목소리가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국가가 공급하던 필수의약품이 일반 유통으로 전환된 만큼 팍스로비드를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 줘야 하는데 4% 마진으로는 약국에 공급하기는 힘들다"고 호소했다.
이에 한국의약품유통협회와 약사회 차원에서도 팍스로비드 유통 문제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내부적으로 대응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의약품유통협회 관계자는 "코로나19 치료제가 시중에 원활하게 유통될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며 "필수의약품이었던 만큼 최소한 퇴장방지의약품 수준의 유통 마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의약품유통업계 내부에서는 차라리 계속해서 정부가 책임지고 약국에 배송하는 것이 좋겠다는 푸념도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