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케어(대표 이상경)는 자사 의약품 처방 의료 기관수 분석 솔루션인 ‘UBIST HCD’에서 도출한 국내 의약품 처방 의료 기관수 분석 결과를 담은 ‘UBIST HCD Summary Report(유비스트 에이치씨디 서머리 리포트)’를 발표했다고 7일 밝혔다.
‘UBIST HCD Summary Report’에 따르면 6월 의약품 분류 코드(ATC) ‘[D7B] 외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제(복합제제)의 의약품’을 처방한 의료 기관수가 전월 대비 232처 늘며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특히 [D7B3] 항균제와 항진균제를 배합한 코르티코스테로이드제가 전월대비 126처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이를 처방한 의료 기관수는 4758처로 전월 대비 의료 기관 수 증가폭이 가장 컸다.
이어 △[J5B9] 기타 항바이러스제 110처 증가 △[D7A] 외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제 (단일제제) 86처 증가 △[D7B1] 항균제 배합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제 64처 증가 △[D6A] 외용 항생제 50처 증가 △[D7B2] 항진균제 배합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제 42처 증가 순으로 나타났다.
또 전월 대비 당월 처방 의료 기관수 증가 7위와 10위에 랭크된 [A10P] 당뇨에 대한 SGLT2 억제제 시장도 눈에 띈다. 각각의 세부 ATC 처방 의료 기관수를 합하면 전월 대비 처방 의료 기관수 증가율 4위로 올라선다.
의약품 처방 기관수가 증가한 시장의 경우 특정 제약사의 의약품을 처방한 신규 의료기관이 증가했을 수도 있고, 시장 내 경쟁 제품과 동시 취급하는 의료기관이 증가한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제약사가 ‘UBIST HCD’를 기반으로 거래처 수 변화의 원인을 분석하고 대응하는 전략을 실행하면서, 의약품 매출 변화까지 분석 가능한 유비케어의 원외 의약품 분석 솔루션인 UBIST Pharmacy(유비스트 파마시) 데이터를 함께 참고하면 영업전략을 수립하고 검증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게 회사 설명이다.
유비케어 관계자는 “UBIST HCD 데이터는 표본 데이터이기 때문에 데이터의 절대값 보다는 전월 대비 증감률 및 트렌드를 분석하여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며, ‘UBIST HCD Summary Report’를 통해 ATC 기관 수, ATC 신규처방 기관 수, 제조사 기관 수, 의약품 기관 수 및 증가율과 의약품 처방 의료 기관의 주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인기기사 | 더보기 + |
1 | 살빼려 했더니 실명 위기?… GLP-1 계열 약물 새 경고 |
2 | 에이비엘바이오, 또 한번 밸류업㊤…이중항체 ADC 2건 임상 진입 확실시 |
3 | 미국, 비만 치료 확대· 치료제 의료보험 적용 추진...왜? |
4 | 상장 제약바이오 1분기 평균 매출총이익, 코스피 766억원‧코스닥 239억원 |
5 | 비보존제약 7월 사후마진 4→3%…유통업계, 얀센發 '도미노' 우려 |
6 | “양손 가득 돌아오겠습니다” K제약바이오 'BIO USA'서 승부수 띄운다 |
7 | 메지온,230억원 투자 유치..'유데나필' 폰탄치료제 FDA 임상3상 가속 |
8 | 상장 제약바이오 1분기 평균 연구개발비, 코스피 176억원‧코스닥 29억원 |
9 | 동성제약 1분기 실적 상승…영업익 ‘흑자전환’ |
10 | 리가켐바이오, 또 한번 밸류업㊤ “ADC 독성 난제 해결사…파이프라인만 30여개” |
인터뷰 | 더보기 + |
PEOPLE | 더보기 + |
컬쳐/클래시그널 | 더보기 + |
유비케어(대표 이상경)는 자사 의약품 처방 의료 기관수 분석 솔루션인 ‘UBIST HCD’에서 도출한 국내 의약품 처방 의료 기관수 분석 결과를 담은 ‘UBIST HCD Summary Report(유비스트 에이치씨디 서머리 리포트)’를 발표했다고 7일 밝혔다.
‘UBIST HCD Summary Report’에 따르면 6월 의약품 분류 코드(ATC) ‘[D7B] 외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제(복합제제)의 의약품’을 처방한 의료 기관수가 전월 대비 232처 늘며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특히 [D7B3] 항균제와 항진균제를 배합한 코르티코스테로이드제가 전월대비 126처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으며, 이를 처방한 의료 기관수는 4758처로 전월 대비 의료 기관 수 증가폭이 가장 컸다.
이어 △[J5B9] 기타 항바이러스제 110처 증가 △[D7A] 외용 코르티코스테로이드제 (단일제제) 86처 증가 △[D7B1] 항균제 배합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제 64처 증가 △[D6A] 외용 항생제 50처 증가 △[D7B2] 항진균제 배합의 코르티코스테로이드제 42처 증가 순으로 나타났다.
또 전월 대비 당월 처방 의료 기관수 증가 7위와 10위에 랭크된 [A10P] 당뇨에 대한 SGLT2 억제제 시장도 눈에 띈다. 각각의 세부 ATC 처방 의료 기관수를 합하면 전월 대비 처방 의료 기관수 증가율 4위로 올라선다.
의약품 처방 기관수가 증가한 시장의 경우 특정 제약사의 의약품을 처방한 신규 의료기관이 증가했을 수도 있고, 시장 내 경쟁 제품과 동시 취급하는 의료기관이 증가한 경우에도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제약사가 ‘UBIST HCD’를 기반으로 거래처 수 변화의 원인을 분석하고 대응하는 전략을 실행하면서, 의약품 매출 변화까지 분석 가능한 유비케어의 원외 의약품 분석 솔루션인 UBIST Pharmacy(유비스트 파마시) 데이터를 함께 참고하면 영업전략을 수립하고 검증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게 회사 설명이다.
유비케어 관계자는 “UBIST HCD 데이터는 표본 데이터이기 때문에 데이터의 절대값 보다는 전월 대비 증감률 및 트렌드를 분석하여 활용할 것을 권장한다”며, ‘UBIST HCD Summary Report’를 통해 ATC 기관 수, ATC 신규처방 기관 수, 제조사 기관 수, 의약품 기관 수 및 증가율과 의약품 처방 의료 기관의 주요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